간호사 건강 케어 연구 번역

 

간호사 건강 케어 연구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간호사 건강 케어 연구 번역

간호사 건강 케어 연구 번역(한국어 원본)

이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에 대하여 알아보고 주관적 만족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바람직하지 않는 생활습관이 초래할 수 있는 건강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고 향후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00지역에서 1개의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19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 행위, 주관적 안녕감, 삶의 질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DU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건강증진 행위가 주관적 안녕감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을 하기 위해 사용한 프로그램은 SPSS 19.0K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으로 20대와 30대사이의 미혼의 학사 이상의 일반 간호사가 주를 이루었다. 평균수면시간은 6-7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편(58.1%)으로 스트레스의 원인은 직장생활( 56.1%)로 가장 많았다.
2. 총 간호사의 평균 점수는 3.0점으로 보통수준이었고 하부영역을 보면 정서적지지가 3.6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위생적인 생활 3.4점, 조화로운 관계(M=3.3), 자아조절(M=3.1), 식이조절(M=3.0), 휴식 및 수면(M=3.0), 자아실현(M=3.0) 순 이었으며 평균 3점 이하인 경우는 건강식이(M=2.9), 운동 및 활동(M=2.7), 전문적 건강관리(M=2.7)와 규칙적인 식사(M=2.2) 순으로 건강증진을 위한 실제적 행위 항목인 운동, 식사, 전문적 건강관리 등이 낮음을 알수 있었다.
3. 간호사의 주관적 만족감 정도는 긍정정서 3.0점 부정 정서 3.7점으로 나타났다.
4. 삶의 질은 근로생활 여건, 자아존중감, 정서상태, 여가활동, 가족 및 친구관계, 신체상태와 기능 등 6개 요인으로 분리 되었고, 가족 및 친구 관계가 가장 높았고(3.4), 다음으로 자아 존중감(3.2), 신체상태와 기능(3.0), 정서상태(2.9), 여가활동(2.9), 근로생활여건(2.8) 순으로 나타났다.
5. 건강증진 요인들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 위하여 모두선택 방법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식이조절이 높을수록(B=0.106), 자아조절이 높을수록(B=0.264)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삶의 질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41.1%로 나타났으며, 자아조절(=.367), 식이조절(=.177), 휴식 및 수면(=.131) 순으로 자아조절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건강증진 요인들이 긍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전문적인 건강관리, 자아실현이 긍정정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적인 건강관리가 높을수록, 자아실현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삶의 질을 설명하는 설명력의 정도는 37.9%로 나타났으며, 자아실현이 전문적인 건강관리 보다 긍정 정서에 더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 요인들이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건강식이, 식이조절, 자아조절, 전문적인 건강관리 가 부정정서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식이가 높을수록, 식이조절이 낮을수록, 자아조절이 낮을수록, 전문적인 건강관리가 높을수록 부정 정서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7. 건강증진 요인들이 긍정정서, 부정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건강증진행위, 긍정정서, 부정정서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가 높을수록, 긍정정서가 높을수록, 부정정서가 낮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의 수행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스트레스 관리를 도와주는 정신건강 프로그램을 개발 하는 등, 간호사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사 건강 케어 연구 번역(영어 번역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es working in a general hospital, to understand relation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and to present basic data for preventing health problems that may be caused by undesirable life habits and for developing health promoting programs for nurses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urses who worked in a general hospital. After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them, we used 196 questionnaires collected in analysis.
As for data analysi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activities, subjective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uncan’s new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as a postmortem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health promoting activitie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by using the SPSS 19.0K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 majority of the subjects was general nurses who were single, had a bachelor’s degree, and between their 20s and 30s. Their average sleep hours were six to seven hours. They answered they felt much stress (58.1%), and the most occupying cause of the stress was work life (56.1%).
2. The average points of all the nurses were 3.0, middle leveled. As for the sub-domains, emotional support was highest (3.6), followed by hygienic life (3.4), harmonious relation (M=3.3), self regulation (M=3.1), dietary control (M=3.0), rest and sleep (M=3.0), and self actualization (M=3.0). Meanwhile, healthy diet (M=2.9), exercise and activities (M=2.7), professional health care (M=2.7), and regular meal (M=2.2), indicating that items of actual behaviors for promoting health such as exercise, meal, and professional health care were lower.
3. As for the subjective satisfaction of the nurses, positive emotion was 3.0 and negative emotion was 3.7 points.
4. Quality of life was divided into six factors such as work life conditions, self-esteem, emotional state, leisure activities, relations with family and friends, and physical state and functions; relations with family and friends were highest (3.4), followed by self-esteem (3.2), physical state and functions (3.0), emotional state (2.9), leisure activities (2.9), and work life conditions (2.8).
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full mode was conducted to identify effects of health promoting factors on quality of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as dietary control (B=0.106) and self regulation (B=0.264) were higher. The explanation of such variables on quality of life was 41.1%, and self regulation was more affected by self regulation (=.367), dietary control (=.177), and rest and sleep (=.131) in order.
6. As for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ng factors on positive emotion, professional health care and self actualization affected positive emotion. As professional health care and self actualization were high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The explanation of such variables on quality of life was 37.9%, and self actualization was higher than professional health care in effects on positive emotion. As for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ng factors on negative emotion, healthy diet, dietary control, self regulation, and professional health care had significant effects on negative emotion. Negative emotion was higher as healthy diet was higher, dietary control and self regulation were lower, and professional health care was higher.
7. As for the effects of health promoting factors on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health promoting activities,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quality of life. As health promoting activities and positive emotion were higher and negative emotion was higher, quality of life was higher.
In conclusion, further studies may be consistently needed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nurses in order to develop programs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health promoting activities and mental health programs for helping stress management for them.

.

이상 원광대학교에서 의뢰한 간호사 건강 케어 연구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