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전시회 번역

 

갤러리 전시회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갤러리 전시회 번역

갤러리 전시회 번역(한국어 원본)

『지나간 미래 Futures Past』전을 열면서….
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면서 알 수 있었던 단 하나의 진실은 끝없는 증식에 의해 생성되고 소멸되는 과정의 연속선상에 잠시 머물고 있다는 사실이다. 때론 편안하고 친숙하며 침울하기도 한 불확실한 기억들이 우리를 상상과 현실의 모호한 환상 속으로 내몰기도 한다.
공수경의 작업은 사물과 기억의 동질성과 이질성이 충돌하고 교감하며 빚어내는 이 섬세한 이미지에서부터 시작이 되었다. 그것은 초기 작업의 정서적 흐름과는 다른 방향이다. 사물들이, 기억들이 어떻게 결합할지 전혀 예측할 수 가 없다. 나비는 꽃을 향해 날아가지만, 어떤 향기를 따라갈지 그 방향을 알 수 없는 것처럼 그것은 일정한 규칙성을 띠지 않고 비선형적 흐름을 갖는다. 사물과 사물, 사물과 기억, 기억과 현실이 결합하는 밀착도도 천차만별이다. 부분 부분은 필요에 따라 감각적 흐름의 방향을 다르게 잡아나간다. 한마디로 그것은 카오스적이다. 그런데도 각각의 이미지들은 그것대로 거대한 또 다른 거대한 이미지덩어리로 남는다. 즉, 하나의 기억들이 파편처럼 산재해 있다가 어느새 그것은 거대한 현실에서 드러나는 상상으로 존재한다. 그것은 카오스이론에서 대기의 비주기성 흐름을 나타내는 로렌츠 어트렉터가 한번도 같은 지점을 통과하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거대한 규칙적인 불규칙성을 보여주는 구조와 형상을 지니는 것과 흡사하다. 공수경은 “은유는 무겁고 직유는 가볍다”는 생각을 충실히『마치 ~처럼』 보여주고 싶을 뿐이다. 그런 까닭에 화면에 나타나는 형상들은 현실과 유린된 구체성을 띠고 더 나아가 상상하게 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직유는 대부분 홀로 존재하지 않는다. 하나의 거대한 에너지 장 속에 존재하는 이미지의 계속된 증식이다. 그것은 분열하고 결합하며 형체를 드러낼 수 없지만 새로운 주관적인 의미가 된다. 아니 혹은 존재이유가 된다.
공수경의 작업은 시간 속에 뻗치는 힘을 새겨서 그곳은 꿈틀거리는 거대한 물결처럼 되고, 검은색(어둠의 공간)은 타인의 절망의 깊이만큼 나타나며 슬픔도 그 속에 몇 개의 부음처럼 봉인된 기억으로 남는다. 또한 거대한 검은색 띠의 꿈틀거림은 역동적 속성(혹은 기억)이 개입하여 두 사물 -상상과 현실 혹은 진실과 절망 – 의 결합을 보여준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꿈틀거렸던」 지난 현실이 고스란히 공간에 빛으로 역동성을 강화하는데 일조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눈에 보여 지는 것 이상의 절망의 형체를 드러낼 수 없지만 우리의 인식 속에 뚜렷이 존재하며 확장되어간다. 때론 차갑고 위태로운 느낌이 감돌기도 한다. 그러나 공수경의 어법이 어느 지점까지 맞닿을지는 알 수 없다. 아마 도착한 순간 또 다른 이미지의 덩어리로 변하기 때문이다. 계속된 이미지 증식과 그 이후 분열하는 다른 이미지들, 감각적인 묘사는 도처에 깔려있다. 구석구석 이미지의 꿈틀거림과 융합, 고요한 듯 물결치는 비유적 이미지들, 이 모두는 전체적인 아우라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묘사적 이미지들은 애초에 뿌려진 이미지 기억을 근거로 확장되고 여행을 하게 된다. 여행은 일상을 벗어나려는 기억의 조각들이 작가자신의 뇌리를 후벼 파고 절망의 깊이만큼 에너지를 부여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묘사들은 공감각적 이미지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것이 현재로서 공수경이 해나가는 작업의 기본구조라 할 수 있다.
지난 날 일상의 공허가 밀려들고, 그것을 메워주는 것이 시간으로의 여행, 기억으로의 여행이었다. 그러나 이제 그것은 새로운 이미지를 만나는 탈주의 공간으로의 감각여행이다. 여행에서 잉태된 마치 기억장치 같기도 한 정서적 감응의 장치들을 표출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새로운 이미지의 세계를 재창조하는 것이다. 기억은 단지 여행으로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과거진행형 현실이다. 이는 자신과 관련된, 마치 몸속으로 끌려들어 몸과 연대한다. 그 연대는 존재에 대한 인식, 인식을 넘어서는 이미지, 그 이미지로 엮이는 새로운 세계, 혹은 그 텅 비어 있는 작가자신의 몸속으로 무수한 풍경들이 들어 왔다 그림이 되어 나가고 이제 다시 그곳을 채울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을 때 비로소 공수경은 밝고 환한 이미지가 곳곳에 널려 있으면서도 아련한 애조가 여린 틈으로 삐져나오리라. 작업을 이루는 근원이 더 이상 채워도 채울 수 없을 때 비로소 그곳은 텅 빈 공허, 여백으로 남아 공수경의 작업방향을 돌려놓을 것이리라 믿는다.
한빛미디어갤러리 관장 배기열

갤러리 전시회 번역(영어 번역본)

About the『Futures Past』Exhibition….
The single truth we learned from looking at the world is that we are temporarily staying on the continuum of the creation and extinction processes enabled by endless proliferation. Uncertain memories, which are comfortable, friendly or depressing at times, drive us into an ambiguous illusion of imagination and reality.
Kong Soo Kyung’s work started from the delicate image created by the collision and communion between the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of thins and memories. This is quite different than the emotional flow of her early works. It is impossible to predict how things and memories will be combined. Butterflies will fly toward flowers, but it is impossible to know which scent the butterflies will follow. Likewise, there is no regularity or linearity. The closeness of the combination between things and things, between things and memories, and between memories and realities varies as well. Parts take different courses in their sensuous flow when necessary. In a word, it is chaotic. Nevertheless, individual images remain as another gigantic mass of image. That is, single memories, scattered like fragments, exist as an imagination revealing itself in the colossal reality before we know it. It is similar to the fact that the Lorenz attractor, which represents the nonperiodic flow in the Chaos theory, never passes the same location, but has a structure and shape that shows a gigantic regular irregularity in general. Kong Soo Kyung simply wants to show her belief: “A metaphor is heavy and a simile is light” as faithfully as 『as if ~』. For this reason, the shapes appearing on the screen take on specificity isolated from reality, and engender imagination. However, a simile does not exist alone in most cases. It is the continuous proliferation of the images existing in a gigantic energy field. It is divided, and combined, and never shows itself, but becomes a new subjective meaning, or becomes the raison d’être.
Kong Soo Kyung’s work engraved their power exuberant power in time, and it becomes a huge twisting wave, and the black (space of darkness) reveals itself as deep as the depth of others’ desperation. Sorrow remains as a sealed memory like the several pieces of news of death in there. Also, the wiggling of the huge black band shows the combination of two things – imagination and reality, or truth and desperation – as the dynamic attribute (or memory) intervenes. Fortunately, the past reality that 「wiggled」 contributes to reinforcing the dynamism in space with light. As a matter of course, it cannot reveal the shape of desperation more than meets the eye, but it clearly exists in our consciousness and expands itself. At times it feels cold and perilous. However, there is no knowing how far the grammar of Kong Soo Kyung will reach. Perhaps because it turns into another mass of image the moment it arrives. The continuous proliferation of images, the subsequent division of other images, and sensuous depictions are everywhere. The wiggling and fusion of images everywhere and the metaphorical images that are rippling tranquilly, all of them play an important role in forming a holistic aura. The descriptive images are expanded on the basis of the memories of images that were scattered in the first place, and undertake a journey. On this journey the fragments of memories trying to escape the daily routine dig into the mind of the artist and give energy as much as desperation is deep. Of course, these depictions are sometimes composed of synaesthetic images. This is the basic structure of the work done by Kong Soo Kyung as of now.
When the void of daily lives flooded in, the journey into time and memory used to fill this void. However, it is now replaced by a sensuous journey into the space of escape where we encounter new images. The emotional sensors like memory units conceived during the journey are not expressed, but a completely new world of images is re-created. Memory is simply a past progressive reality that provides a clue to the journey. It is absorbed into the body and bands together with the body. It is when the consciousness of existence, the images transcending consciousness, a new world weaved with these images, or innumerable scenes come into the empty body of the artist and escape as paintings, and now there is no knowing what will fill this void again that Kong Soo Kyung will stick out through the crack where bright images are scattered all around and there is faint sadness. When there is no filling the source of her work, I believe that the place will remain as an empty void and margin, and reorient the works of Kong Soo Kyung.
Bae Gi Yeol, Director of Hanbit Media Gallery

.

이상 갤러리에서 의뢰한 갤러리 전시회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