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전시 번역

 

갤러리 전시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갤러리 전시 번역

갤러리 전시 번역(한국어 원본)

우리는<S.E.O.U.L>을 앞에 두고 『Urban Network』에 대해 얘기한다. 무엇인가를 안다는 것은, 그것에 대해 정의하거나 상세히 적을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때로는 아주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대상을 전혀 모르는 것으로 가정하고, 그 실체에 도전해보는 것이 대상을 조금이라도 더 깊이 인식하게 해준다.
대상은 색체와 윤곽 그리고 그림자로 구성된다. 회화는 건축의 역사와 마찬가지로 진행되어왔다. 중세에는 다양한 기법들이 연구되었고 르네상스를 거쳐 화실에서 모델이나 정물을 유리창을 통과한 자연광을 이용하거나 혹은 실내전등이 뿜어내는 인위적인 빛의 효과에 의존하였다. 그리고 드디어 과학적 사고를 미술에 도입한 19세기 인상주의 화가들은 화실 밖의 외부자연공간에서 일어나는 빛의 순간적인 관심을 쏟게 된다. 기계시대에 이어 20세기 전자시대로 들어서면서 전자회로의 변형을 이용한 비디오아트가 그리고 21세기 디지털 시대로 들어서면서 더 다양한 빛의 직간접적인 효과를 이용한 디지털 미술을 새롭게 변용하게 된다. 기계를 통해 이미지가 구현되는 ‘미디어아트’는 그 속성상 손으로 작업하는 전통회화에 비해 차갑게 느껴질 수밖에 없다. 도리어 담백한 회화에 지친영혼을 씻으려는 자기정화차원의 작업들이 생겨나기도 했다. 그래서인지 백남준이라는 걸출한 아티스트가 있었음에도 아직 미디어 아트는 우리에게 낯선 장르중 하나다. 그러던 미디어 아트가 최근 관객들과의 거리 좁히기에 나섰고 관련 전시와 페스티벌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처럼 미디어 아트가 점점 친숙한 장르로 자리 잡고 있는 이유는 작가와 관람객 모두 미디어에 친숙한 세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지금시대에 미디어를 사용하는 것은 예술가는 당연히 해야 할 부분이 되었고 이전에 <테크놀로지>라 하면 인간에게서 거리가 먼 어떤 것으로 보였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아침에 모바일을 켜고 일상 속 미디어에 노출되고 도시 간 네트워킹을 시도한다.
도시를 이야기 할 때 『Architecture, Landscape』를 건축가에게 묻는다. 이후 조언이나 언급을 주목하지만 그리 녹녹하지만은 않다. 이는 사실 건축가들만큼 자기 직업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많지 않을 뿐더러 건축가라는 이름에는 특정분야의 실무에 정통한 전문가로서의 입장을 넘어서는 ‘그 무엇이’ 함축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싶은 이유에서다. 이것이 때로는 건축가들을 현실의 이해관계로부터 유리시키고 작업의 의미와 과정에 대한 끝없는 재사고라는 가시밭길로 몰아넣기도 한다. 하지만 때론 우리는 흔히 책상위에 가볍게 턱을 괴어보는 것만으로 세계가 다르게 보일 때가 있다. 여기에 미디어 아티스트의 새로운 ‘그 무엇이’ 있는 것이다. 사물을 혹은 대상을 보고 느끼는 방법은 무수히 많다. 그 수없이 많은 보고 느끼는 방법을 일상의 대상이나 커뮤니케이션에 의식적으로 반영해 가는 것이 바로 이번 전시 <유기체로서의 도시>전이다.
작가들은 많은 것들을 고려하고 있다. 갤러리로 들어서는 누군가가 작품과 마주했을 때 느낄 당혹감과 <S.E.O.U.L>은 굳이 일컬어 불가해한 어느 도시 유형 중에 하나라는 사실, 그 한 국면에 도시가 존재하고 혼란한 깊이와 넓이 속에 부침하지만 결국 그것들을 단촐한 미와 기쁨으로 승화, 정리시켜보려는 시도 등등..
미디어 아트는 결국 빛에 의한 상호 소통이고 그 행위를 통해 빛은 하나의 의미가 된다. 하지만 이번 전시는 빛에 의해 그 의미가 가려졌던 그림자(현실)의 모습을 새롭게 조명하고 이를 통해서 역으로 빛을 바라보는 즉 <서울이라는 도시>를 새롭게 바라보는 방법을 관람객은 느꼈으면 한다. 이는 일상에서 우리와 다른 관점을 가진 사람들의 생각을 배려하고 우리의 시야가 넓어질 수 있는 평범한 진리를 다시 한 번 강조하려는 것이다. 이번에 전시된 작품들은 향후 다른 예술가 혹은 건축가들의 세계에 영향을 주고 때론 관객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난이도와 완성도를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될 것이며 그렇게 되도록 나는 도울 것이다. 이 자리를 빌어 <김경미, 김현주, 박성환, 이동엽, 이준>작가의 건승을 기원하며 다시 한 번 흔쾌히 전시하게 된 것에 감사드린다.

갤러리 전시 번역(영어 번역본)

With <S.E.O.U.L> just in the offing, we are talking about 『Urban Network』. To know something does not mean to be able to define it or describe it in detail. Sometimes if you assume that you don’t know anything about something you know very well, and try and get to the heart of it, you will be able to know it a little deeper.
The object consists of color, contour and shadow. The history of painting is similar to that of architecture. In the Middle Ages various techniques were researched, and during the Renaissance painters used the natural light passing through the window or relied on the effect of the artificial light emitted by indoor lamps was relied on to draw models or still life. At last the impressionist painters of the 19th century who introduced scientific thoughts to fine art began to show momentary interest in the light in the natural settings outside of the atelier. In the Electronic Age of the 20th century following the Machine Age, video art using the transformation of electronic circuits is changing digital art utiliz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a greater variety of light in the digital age of the 21st century. ‘Media art,’ which materializes images through machines, cannot but feel colder than traditional painting which is manually done. Rather, art works for autocatharsis appeared in an attempt to cleanse tired souls with forthright painting. Although we had a great artist named Nam-Joon Baek, media art is still unfamiliar to us. Media Art is recently trying to close the distance between itself and the audience, and exhibitions and festivals are held in abundance. The reason why media art is becoming a more familiar genre is that both the artists and the audience are familiar with media. In this day and age artists are supposed to use media. It is true that <technology> seemed a long way from people. However, now we turn on mobile devices in the morning, and we are exposed to media and tries inter-city networking in our daily lives.
When we are talking about a city, we ask architects about 『Architecture and Landscape』. We pay attention to their advice and comments afterwards, but it’s not that easy. As a matter of fact, few people want to affirm their identity more than architects, and they want to confirm that the name ‘architect’ connotes ‘something’ that transcends an expert well versed in the practical affairs of a certain field. Sometimes this extricates architects from the interests of reality, and sends them along the thorny path of endlessly rethinking about the meaning and process of working. However, the world will look different sometimes when we are sitting at our desk lightly resting our chin in our hand. Here lies media artists’ ‘something’ new. There are innumerable ways to see and feel things or objects. Consciously reflecting the innumerable ways of seeing and feeling to objects in daily life or communication is the objective of this <Urban Organism> exhibition.
Artists take many things into consideration. The embarrassment that someone entering into a gallery would feel looking at their works, the fact that <S.E.O.U.L> is one of the so-called incomprehensible cities, the attempt to sublimate and organize the cities existing in one of the states and rising and falling in the depth and width of confusion into simple beauty and joy, etc…
After all, media art is communication based on light, and light becomes a meaning through this action. However, this exhibition sheds a new light on the shadow (reality), whose meaning has been hidden by light, and I hope that the audience will learn to look at light invesrely through the shadow, i.e. a new of looking at the <City called Seoul>. It is an attempt to emphasize once again the plain truth that, in our daily lives, we should give consideration to the thoughts of other people who have different point of view than us, and then our vision will be broadened. The works of art on display will affect the world of other artists or architects in the future, and absolutely require the level of difficulty and completeness that the audience cannot easily approach, and I will do whatever I can to make that a reality. I’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wish <Gyeong-Mi Kim, Hyeon-Joo Kim, Seong-Hwan Park, Dong-Yeop Lee and Joon Lee> the best of luck, and express my gratitude to them for allowing their works to be displayed at this exhibition.

.

이상 한빛미디어갤러리에서 의뢰한 갤러리 전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