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비례요금제 논문번역

 

거리비례요금제 논문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일본어번역)

 

거리비례요금제 논문번역

거리비례요금제 논문번역(한국어 원본)

요약문
본 연구는 단핵도시와 비단핵도시에서 거리비례요금제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하고 거리비례요금제로 인한 사회적 후생개선 효과의 원인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제한된 이론적 틀에서 정책수단을 비교한 선행연구들의 한계점을 완화코자 가구가 각자의 효용을 근거로 자유롭게 입지를 선택하고 시장가격(임대료, 임금, 상품가격)이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확률론적 일반균형모형(Stoche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구축한다. 연구결과, 거리비례요금제는 단핵도시에 비하여 비단핵도시에서 후생개선 효과가 훨씬 높고 양쪽 도시에서 최적 요금은 유사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거리비례요금제의 후생개선 효과는 도시전역의 혼잡수준의 증가와는 상관없으며 도심과 도심외곽 구역의 혼잡수준이 유사한 경우 거리비례요금제의 효율성은 보다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거리비례요금제의 후생개선효과는 시장가격 변화로 인한 간접효과는 무시할 수준이고, 직접효과인 통행량 감소 및 직주근접성의 향상으로 대부분의 후생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Ⅰ. 서론
거리비례요금제(flat kilometer charges)는 Pigou(1920)와 Knight(1924)의 연구로부터 유래된 최선의 통행료(Fist-best pricing)인 피구세(Pigouvian Tax)와 기능적 목표를 같이하며 더욱이 세금부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가격탄력성이 낮은 재화에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Ramsey(1927)의 논리에도 부합한다. 최선의 통행료는 혼잡을 유발한 통행자에게 사회적 한계비용을 혼잡통행료로 징수하는 이상적인 교통수요관리방식이다. 이에 반해 거리비례요금제는 정책결정자가 선정한 일정한 단위거리당 통행요금을 거리에 비례하여 통행자에게 징수하는 현실적인 교통수요관리방식으로, 유류세(Gasoline tax), 진입통행료(Cordon charges), 그리고 구역혼잡통행료(Area chareges) 등과 함께 차선의 통행료(Second-best pricing)로서 인정되고 있다. 거리비례요금제는 네델란드에서 통행시간대 및 통행경로와는 상관없이 일정하게 시행되고 있으며(Verhoef, 2005: 368), 오스트리아, 프랑스, 스위스 등에서는 화물운송차량을 대상으로 부과되고 있다(SDI. 2001: 5).
혼잡통행료 연구는 Pigou(1920)과 Knight(1924)가 최선의 혼잡통행료 징수방식의 이론적 원리를 개척한 이후 약 40년 동안 Vickrey(1963)에 의해 꾸준하게 수행되었다(Lindsey and Verhoef (2001)의 Introduction 참고). 혼잡통행료는 명료성, 보편성, 그리고 효율성 이라는 장점과 함께 가격메카니즘(Price mechanism)을 내재하기 때문에 경제학자들에게 사회적 후생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Lindsey and Verhoef, 2001). 그러나 초기 혼잡통행료 연구들은 엄정한 이론 틀 속에서 제한된 도시공간구조와 교통환경을 가정하여 논의를 전개시킨 바, 적용가능한 차선의 통행료들을 관찰하거나 이들을 비교한 연구가 1980년대부터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차선의 통행료 징수방식들을 비교한 연구들은 도시공간모형 내 토지시장 포함 유무에 따라 구분되고 토지시장을 고려한 경우는 도시공간구조가 단핵도시(Mono-centric city) 또는 다핵도시(Non-monocentric city)를 가정하고 있느냐에 따라 세분화 된다. Verhoef(2002, 2007), Zang and Yang(2004), Wong et al.(2005), 그리고 Maruyama et al.(2007) 등은 부분균형조건 아래 교통망(Network)을 대상으로 차선의 혼잡통행료를 비교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Sullivan(1992), Mun et al. (2003, 2005) 그리고 Verhoef(2005)은 토지시장을 포함하고 있는 데 Mun et al.(2005)만이 다핵도시를 가정하고 있다. 이중 본 연구와 동일하게 거리비례요금제를 관찰하고 있는 연구는 도시공간구조가 단핵도시인 Sullivan(1992)와 Verhoef(2005) 이다. 도심지역에 비주거용지가 위치한 Sullivan(1992)의 경우 최선의 통행료에 대한 거리비례요금제의 상대적 효율성(식(19) 참고)은 30.4% 이고 비주거시설이 도시 중앙 한점에 위치한 Verhoef(2005)의 경우 상대적 효율성은 약 90%에 달한다(Cobb-Douglas utility function: 89.9%, CES utility function: 90.1%).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가구의 자유로운 입지선택과 시장가격(임대료, 임금, 상품가격)이 내생적으로 결정되는 단핵도시와 다핵도시에서 거리비례요금제의 후생개선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Verhoef(2005)와 비교하여 도시의 모든 구역은 주거용지와 생산용지로 구분된다(본 연구에서 단핵도시는 도심구역만이 두 가지 용지로 구분된다). 가구는 각자의 효용을 고려하여 주거지-직장 쌍과 소비묶음(Consumption bundle)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도시 내 구역별 용지별 밀도는 내생적으로 결정된다. 그리고 통행은 통근통행과 구매통행, 그리고 구역별 통과통행을 고려하고 교통량은 모든 시장균형조건을 충족시킨 후 안정화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목적은 거리비례요금제의 요인별 후생개선효과를 분석적 방법(Analytical method)을 사용하여 관찰토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시공간모형은 Anas and Kim(1996)을 시원으로 하여 Anas and Xu(1999), Anas and Rhee(2006, 2007)로 이어지는 확률론적 일반균형모형으로 이들과 동일한 후생함수를 사용한다. 이들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갖춘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하여 특정함수를 통해 수치해석적으로 풀이하여 후생함수에 영향을 주는 직간접적 요인별 영향력을 측정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를 완화코자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후생함수를 요인별로 분해한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들의 효과를 측정토록 한다.
본 연구는 다섯 장으로 구분된다. 2장에서는 구축된 도시공간모형의 기본형태와 논리구조를 설명토록 하며, 3장에서는 수치해석을 위한 모수를 선정토록 한다. 4장에서는 요인별 후생개선효과를 측정하고 마지막 5장에서는 결과를 요약토록 한다.
Ⅱ. 분석적 모형
1. 기본형태
본 연구에서는 생산용지(직장과 구매지가 위치)가 도심에만 입지한 단핵도시와 생산용지가 도시전체에 분산되어 있는 비단핵도시를 구현토록 한다(주거용지는 모든 구역에 분산되어 있다). 도시형태는 논의의 간편성을 위해 <그림1>과 같이 좌우측이 대칭을 이루는 7개 구역으로 구분되는 방사형 도시(Circular city)를 요약된 쐐기형 도시(Wedge city)를 가정토록 한다. 이러한 도시형태를 전제로 단핵도시는 구역4에만, 비단핵도시는 도시전역에 고용과 생산시설이 분산된 도시이다. 두 가지 도시 모두 도시형태, 인구 및 고용인구 수, 그리고 구역 면적 등이 동일한 도시환경에 피구세인 최선의 혼잡통행료(식(12) 참조)가 부과될 경우 최선의 도시(First-best city), 거리비례요금제가 부과될 경우 차선의 도시(Second-best city), 그리고 어떠한 정책도 시행되지 않은 경우 기준도시(Base city)로 명명된다. 즉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구조별 2개 도시(단핵도시와 비단핵도시)와 이들을 다시 정책별 3개 도시(기준도시, 차선의 도시, 최선의 도시)로 구분한 총 6개 도시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공간모형의 부문별 설명은 다핵도시를 기준으로 기술토록 한다(단핵도시는 다핵도시의 통근목적지와 구매목적지를 도심(구역 4)으로 고정시킨 경우와 동일하다).

거리비례요금제 논문번역(일본어 번역본)

都市空間構造別距離比例料金制の効率性における比較
Comparison of the Relative Efficiency of flat kilometer charges by Urban structure
要約文
本研究は単一中心都市と非単一中心都市において距離比例料金制の相対的効率性を測定し、距離比例料金制による社会的厚生改善効果の原因を探る。このために、本研究は、制限された理論的枠組みにおいて政策手段を比較した先行研究の限界点を緩和すべく、各世帯が各自の効用を根拠に自由に立地を選択し、市場価格(賃貸料、賃金、商品価格)が内生的に決まる確率論的一般均衡モデル(Stochestic general equilibrium model)を構築する。研究結果、距離比例料金制は単一中心都市に比べて非単一中心都市において厚生改善効果がはるかに高く、両都市における最適料金は類似しているものと測定された。また距離比例料金制の厚生改善効果は、都市全域の混雑水準の増加とは関係がなく、都心と都心外郭区域の混雑水準が類似している場合、距離比例料金制の効率性はより高くなることを確認した。このような距離比例料金制の厚生改善効果について、市場価格の変化による間接効果は無視できる水準で、直接効果の通行量減少及び職住近接性の向上により大部分の厚生改善がなされるものと把握された。
Ⅰ. 序論
距離比例料金制(flat kilometer charges)は Pigou(1920)と Knight(1924)の研究に由来する最適通行料金(Fist-best pricing)であるピグー税(Pigouvian Tax)と機能的目標を同じくして、なおかつ税金賦課の効率性を高めるために価格弾力性の低い財貨に税金を賦課するのが望ましいという Ramsey(1927)の理論にも合致する。最適通行料金は、混雑を誘発した通行者に社会的限界費用を混雑通行料として払わせる理想的な交通需要管理方式だ。これに反して距離比例料金制は、政策決定者が選定した一定の単位距離当たりの通行料金を、距離に比例して通行者から徴収する現実的な交通需要管理方式で、油類税(Gasoline tax)、進入通行料(Cordon charges)、そして区域混雑通行料(Area chareges)などと共に、次善の通行料(Second-best pricing)として認められている。距離比例料金制はオランダで通行時間帯及び通行経路にかかわらず一律に施行されており(Verhoef、2005: 368) 、オーストリア、フランス、スイスなどでは貨物運送車を対象に賦課されている(SDI.2001: 5)。
混雑通行料の研究は、Pigou(1920)とKnight(1924)が最善の混雑通行料徴収方式の理論的原理を開拓して以来、約40年間、Vickrey(1963)によって絶えず遂行されれきた(Lindsey and Verhoef (2001)のIntroduction 参照)。混雑通行料は明瞭性、普遍性、そして効率性という長所と同時に価格メカニズム(Price mechanism)を内在しているため、経済学者らに社会的厚生を増進させることができる最も効果的な手段であると認められている(Lindsey and Verhoef、2001)。しかし、初期の混雑通行料研究は、厳正な理論的枠組みの中で制限された都市空間構造と交通環境を仮定して論議を展開させ、適用可能な次善の通行料を観察したり、これらを比較する研究は1980年代から登場し始めた。次善の通行料徴収方式を比較した研究は、都市空間モデル内の土地市場を含むかどうかによって区分され、土地市場を考慮した場合は、都市空間構造が単一中心都市(Mono-centric city)または非単一中心都市(Non-monocentric city)を仮定しているのかによって細分化される。Verhoef(2002、2007)、Zang and Yang(2004)、Wong et al.(2005)、そしてMaruyama et al.(2007)などは、部分均衡条件下で交通網(Network)を対象に次善の混雑通行料を比較している。これと反対に、Sullivan(1992)、Mun et al.(2003、2005)そしてVerhoef(2005)は、土地市場を含んでいるが、Mun et al.(2005)だけが非単一中心都市を仮定している。この中で、本研究と同様に距離比例料金制を観察している研究は、都市空間構造が単一中心都市であるSullivan(1992)とVerhoef(2005)である。都心地域に非住居用地が位置するSullivan(1992)の場合、最適通行料金に対する距離比例料金制の相対的効率性(式(19)参照)は30.4% で、非住居施設が都市中央一点に位置しているVerhoef(2005)の場合、相対的効率性は約90%に達する(Cobb-Douglas utility function: 89.9%、CES utility function: 90.1%)。
本研究の第一の目的は、各世帯の自由な立地選択と市場価格(賃貸料、賃金、商品価格)が内生的に決まる単一中心都市と非単一中心都市において、距離比例料金制の厚生改善効果を比較することにある。本研究はVerhoef(2005)に比べて、都市の全区域が住居用地と生産用地に区分される(本研究で単一中心都市は都心区域だけが二つの用地に区分される)。世帯は各自の効用を考慮して、住居地-職場ペアと消費バンドル(Consumption bundle)を自由に選択して、都市内の区域別用地別密度は内生的に決まる。そして、通行は通勤通行と購買通行、区域別通過通行を考慮し、交通量は全ての市場均衡条件を満たした後に安定する。
本研究の第二の目的は、距離比例料金制の要因別厚生改善効果について、分析的方法(Analytical method)を使って観察することにある。本研究で使われた都市空間モデルは、Anas and Kim(1996)から始まりAnas and Xu(1999)、Anas and Rhee(2006、2007)に続く確率論的一般均衡モデルで、これらと同様の厚生関数を用いる。これら先行研究は多様な構成要素を揃えた理論的基盤を土台にして、特定関数により数値解釈的に解いて、厚生関数に影響を与える直間接的要因別影響力を測定することは容易ではない。したがって、本研究はこのような限界を緩和するために、微分方程式を利用して厚生関数を要因別に分解した後、シミュレーションを通じてこれらの効果を測定することにする。
本研究は5ページに分けられる。2ページで構築された都市空間モデルの基本形態と論理構造を説明し、3ページめでは数値解釈のための母数を選定する。4ページめでは要因別厚生改善効果を測定して、最後の5ページめでは結果を要約する。
Ⅱ. 分析的モデル
1. 基本形態
本研究では、生産用地(職場と購買地が位置)が都心にだけ立地した単一中心都市と、生産用地が都市全体に分散している非単一中心都市を具現させる(住居用地は全区域に分散している)。都市形態は論議の簡便性のために、図1のように左右が対称をなす7区域に分けられる放射形都市(Circular city)が要約された楔形都市(Wedge city)を仮定することにする。このような都市形態を前提に、単一中心都市は区域4にだけ、非単一中心都市は都市全域に雇用と生産施設が分散した都市だ。二つの都市はどちらも、都市形態、人口及び雇用人口数、区域面積などが等しい都市環境に、ピグー税である最善の混雑通行料(式(12) 参照)が賦課される場合の最善の都市(First-best city)、距離比例料金制が賦課される場合の次善の都市(Second-best city)、そして、いかなる政策も施行されない場合の基準都市(Base city)に命名される。すなわち、本研究では都市空間構造別の2都市(単一中心都市と非単一中心都市)と、これらを再び政策別3都市(基準都市、次善の都市、最善の都市)に区分した計6都市を対象に実験を遂行する。本研究で構築された空間モデルの部門別説明は、非単一中心都市を基準に記述する(単一中心都市は非単一中心都市の通勤目的地と購買目的地を都心(区域 4)で固定させた場合と同一である)。

.

이상 남서울대학교에서 의뢰한 거리비례요금제 논문번역(일본어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