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법 사적 집행 활성화 번역

 

경쟁법 사적 집행 활성화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경쟁법 사적 집행 활성화 번역

경쟁법 사적 집행 활성화 번역(한국어 원본)

우리나라의 경쟁법 집행은 공정거래위원회의 행정적 제재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법집행은 지난 30년 동안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법위반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구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받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반영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사적 집행을 활성화하자는 논의가 활발하다.
법제도의 개선을 위해서 외국의 주요 법제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인데, 미국은 경쟁법의 모법국가로서 사적 집행을 강력하게 유인하는 제도들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서, EU의 경우 대륙법계와 영미법계의 적절한 혼용과 회원국들간의 이해관계 조정을 통해 효율적인 경쟁법제를 제도화하면서 글로벌 표준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이 두 법제의 비교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경쟁법 집행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적절한 사적 집행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미국의 경우 징벌적 손해배상, 주 검찰총장에 의한 후견소송과 같은 집단소송의 활성화, 증거개시 명령과 같은 법 위반 피해자들 입장에서의 소송절차 이용의 편의성 등 사적 집행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한편으로는 그로 인한 기업활동의 위축, 남소 등의 부작용에 대한 비판도 있는 바, 이는 우리가 경쟁법의 사적 집행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할 때 염두에 두어야 할 점으로 생각되었다.
유럽연합은 공적 집행을 중심으로 하는 대륙법계 법리에 의한 경쟁법을 운용하면서 사적 집행의 활성화를 위하여 개혁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이 의미가 있었다. 특히 경쟁법 위반으로 인하여 발생한 피해에 대한 효과적인 구제를 위하여 발표한 지시문이 유럽연합의 현실을 고려하면서 남소방지를 염두에 두었다는 것은 우리가 사적 집행 활성화 과정에서 정책적으로 고려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 상기시켜 준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사적 집행 활성화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 검토한 것은 징벌적 손해배상과 집단소송, 금지청구이다. 이들 제도는 그동안 우리나라가 사적 집행 제도의 개선을 위하여 내놓았던 것들과는 다르게 기존의 법체제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도입할 경우에 사적 집행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이지만, 도입에 따른 부작용도 다수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도입될 경우에 실손해 배상을 원칙으로 하는 우리의 법제와 충돌할 수 있고 법위반행위의 제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경쟁법 집행체제를 뒤흔들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집단소송과 금지청구 또한 악용될 경우 사업자의 정당한 경제활동을 방해하는 것이 될 수 있다는 부작용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과 검토를 통해 우리나라의 사적 집행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결론을 도출해 볼 수 있었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는 사적 집행 활성화를 위한 강력한 유인책이 되겠지만,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법 체제와는 맞지 않는 것으로 긍정적인 효과보다는 부작용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집단소송제도와 금지청구제도는 우리나라가 소액 다수의 피해자 구제와 사전적 피해 구제에 미흡하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법위반행위로 인하여 개인들이 입은 피해가 제대로 구제되지 못한다면 공적 집행에 의한 적발과 처분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또한 그것은 경쟁법이 목표로 하는 소비자 후생복리의 극대화의 입장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비록 우리나라의 공적 집행이 공정거래위원회를 통하여 법위반행위를 제재하고 억제하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더라도 법위반의 피해자 스스로 법 위반 행위에 대한 시정을 구하고, 이들이 직접 법위반행위자들을 상대로 하는 소송의 한쪽 당사자가 되어 피해를 전보 받을 수 있도록 법의 체감성을 높여주는 것은 경쟁법의 실효성을 담보함에 있어 매우 요긴한 일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경쟁법 사적 집행 활성화 번역(영어 번역본)

In Korea, competition law is enforced through the Fair Trade Commission of Korea’s administrative sanctions. This kind of law enforcement has been evaluated as successful for the past 30 years.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 problem where damage caused by law violations is not being properly remedied, and because of this reality, there have been active discussions in Korea about activating private enforcement.
It is necessary to examine other countries’ major legal systems to improve Korea’s existing legal system. In this paper, we endeavored to propose appropriate ways to activate private enforcem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competition law enforcement in Korea through a comparative study of the legal systems of the U.S. and the EU — the former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country that invented competition law and is establishing systems that can powerfully induce private enforcement while the latter is significant in that it aims to achieve global standardization by institutionalizing a effective competition law system through using both civil law and common law in an appropriate manner and mediating between the interests of the membership countries.
In the U.S., private enforcement is active, as evidenced by the active filing of class action lawsuits, such as parens patriae action lawsuits,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legal procedures on the part of victims of breaches of laws such as criminal discovery order. However, there is also criticism about its negative effects such as shrinking business activities and overuse of lawsuits. Therefore, we regarded such matters as things to consider when promoting active private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U, the significant point is that it operates competition law based on the principles of civil law while establishing reform plans for activating private enforcement.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directive issued by the EU for the purpose of effectively remedying damage caused by breaches of competition law considers the prevention of lawsuit overuse,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EU, brings to attention what we should consider in terms of policy in the process of activating private enforcement.
In this paper, punitive damage, class actions, and injunctive relieves were examined as ways to activate private enforcement. If introduced, these systems, different from those proposed so far in Korea to improve its private enforcement system, will bring big changes to Korea’s existing legal system and are expected to activate private enforcement, but not without a number of negative effects. Punitive damage in particular, if introduced, is likely to clash with Korea’s existing law system founded upon the principle of actual damage compensation and, because it aims to impose sanctions on law violations, shake the foundations of Korea’s existing competition law enforcement system as well. In addition, there is a negative effect identified where if class actions and injunctive relieves were misused, the rightful economic activities of business owners could be hampered.
Through the analysis and examination mentioned above, we could draw conclusions regarding ways to active private enforcement in Korea. Punitive damage could be a strong inducement for activating private enforcement, but it does not suit Korea’s overall legal system because it has been judged to have more negative effects than positive ones. And given Korea’s insufficiency in remedying a numerous victims who lost a small amount of money and in proactively remedying damage, it is thought that class actions and injunctive relieves need to be introduced.
If damage sustained by individuals because of law violations are not to be remedied properly, discovery and punishment through public enforcement is bound to be limited. In addition, it is not desirable in the light of maximization of consumer welfare. Even if Korea’s public enforcement is effectively being conducted via the Fair Trade Commission of Korea for sanctioning and restraining law violation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competition law, it is utmost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 of law experienced first-hand so that victims of law violations can seek corrections for the law violations on their own, become one party in lawsuits against law violators, and then get fully compensated for the damage they suffered.

.

이상 서강대학교에서 의뢰한 경쟁법 사적 집행 활성화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