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의 행동특성 번역

 

고령층의 행동특성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고령층의 행동특성 번역

고령층의 행동특성 번역(한국어 원본)

고령층의 통행특성에 관한 문헌고찰 결과 개인 특성, 가구 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등이 고령층의 통행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ge는 고령자의 통행발생 빈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Age가 많을수록 통행발생 빈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Tacken, 1998; Golob and Hensher, 2007; paez et al., 2007). 고령층의 통행특성은 비고령층의 통행특성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Collia et al., 2003; Kim and Ulfarsson, 2004; Schmocker et al., 2005; Zheng et al., 2007). 고령층의 통행발생 특성은 고령층내에서도 차이가 나며(Newbold et al., 2005; Hjorthol et al., 2010), 특히 고령층의 나이를 구분하여 고령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통행발생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Asnih and Hensher, 2003). 또한 고령자는 생활패턴(Hilderband, 2003) 및 승용차 이용가능 여부(Evans, 1999)에 따라 통행특성이 상이하다.
건강상태는 고령자의 통행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고령자의 이동성과 관련이 깊다(Tacken, 1998; Sikder and Pinjari, 2012). 특히, 장애는 고령자의 통행발생에 장애요소로 작용된다. 나이와 통행발생의 상관관계를 살펴볼 때, 나이 그 자체 만으로는 통행빈도 감소에 중요한 설명요인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즉, 건강의 쇠퇴와 통행빈도의 감소가 좀 더 나이와 통행발생의 관계를 잘 설명할 수 있는 요인이다 (Tacken, 1998).
고령자의 성별에 따른 통행빈도는 다양한 견해가 있으며, 특정 성별이 통행빈도가 항상 많다는 결론은 내리기 어렵다(Tacken, 1998; Schmocker et al., 2005; paez et al., 2007; Golob and Hensher, 2007). 소득 역시 고령자의 통행빈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자가운전을 하는 경우 통행빈도 뿐만 아니라 통행거리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Tacken, 1998; Schmocker et al., 2005; paez et al., (2007).
대중교통 수단은 고령층의 통행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그러나 대중교통수단은 고령자들이 이용하기에 불편하고 안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고령층의 이동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한다(Evans, 2001; Adler and Rottunda, 2006; Silvis and Niemeier, 2009). 반면, 양질의 대중교통 서비스는 고령층의 이동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난다 (Kim and Ulfarsson, 2004; Schmöcker et al., 2008; Buehler and Nobis, 2010; Kim, 2011; Peck and MA, 2010; Haustein, 2011; Nordbakke, 2013; Kim et al., 2014). 이는 대중교통수단의 서비스에 따라 고령자들에게 유효한 통행수단으로 간주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고령자의 통행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Rosenbloom and Morris, 1998; Ahn, 2002; Wilson, 2002; Yun and Ahn, 2003; Lee et al., 2005; Seo et al., 2006; Franklin and Niemeier, 1998; Cho and Yun, 2002; Stern, 2003; Kim and Ulfarsson, 2004; Lucas et al., 2007; Kim et al., 2014).
고령층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통행발생 빈도간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들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고령자의 심리적 성향, 건강상태 등을 고려한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고령층은 동일한 연령이라도 자신의 건강상태, 신체조건 등에 따라 통행발생 빈도의 차이가 비고령층보다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고령자의 연령에 따른 심리적 성향, 건강과 같은 개인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기 위하여, 고령자의 연령이 이분산성을 일으킬 수 있다고 가정하고 이분산성을 고려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개인특성, 가구특성 뿐만 아니라 고령자의 도착지 특성도 함께 고려하여 고령자의 통행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고령층의 행동특성 번역(영어 번역본)

The literature on travel characteristics of elderly population suggests that individual, household,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ffect trip frequency of the elderly population.
Ag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rip frequency of the elderly (Tacken, 1998; Golob and Hensher, 2007; Paez et al., 2007).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of the younger population (Collia et al., 2003; Kim and Ulfarsson, 2004; Schmocker et al., 2005; Zheng et al., 2007). Travel characteristics vary even within the elderly group (Newbold et al., 2005; Hjorthol et al., 2010), and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elderly group into different age groups and analyze the travel characteristics with respect to individual health conditions (Asnih and Hensher, 2003). Moreover, the elderly population exhibits varying trave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lifestyle and whether the individual can drive a car (Evans, 1999).
Health condition is a major factor affecting trip frequency of the elderly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ir mobility (Tacken, 1998; Sikder and Pinjari, 2012). Disability acts as a hindrance to the trip generation of the elderly. Whe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trip generation, age alone is an insufficient explanatory variable to explain decreasing trip frequency. Rather, deterioration of health and subsequent decrease in trip frequency are better at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trip generation (Tacken, 1998).
There are conflicting views on the effect of gender on trip frequency of the elderly, and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specific gender always has higher trip frequency over the other (Tacken, 1998; Schmocker et al., 2005; Paez et al., 2007; Golob and Hensher, 2007). Income also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rip frequency of the elderly, and those that drive themselves tend to have higher trip frequency as well as trip distance (Tacken, 1998; Schmocker et al., 2005; Paez et al., 2007).
Public transportation affects trip generation of the elderly to certain extent. Public transportation may be inconvenient and unsafe for the elderly, and it has been shown not to affect mobility of the elderly (Evans, 2001; Adler and Rottunda, 2006; Silvis and Niemeier, 2009). On the other hand, high-quality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improves the mobility of the elderly (Kim and Ulfarsson, 2004; Schmöcker et al., 2008; Buehler and Nobis, 2010; Kim, 2011; Peck and MA, 2010; Haustein, 2011; Nordbakke, 2013; Kim et al., 2014). These studies show that depending on the level of service provided by public transportation, it may or may not serve as an effectiv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the elderly.
Many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trave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Rosenbloom and Morris, 1998; Ahn, 2002; Wilson, 2002; Yun and Ahn, 2003; Lee et al., 2005; Seo et al., 2006; Franklin and Niemeier, 1998; Cho and Yun, 2002; Stern, 2003; Kim and Ulfarsson, 2004; Lucas et al., 2007; Kim et al., 2014).
Although there exist numerous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trip frequency of the elderly, studies on the psychological disposition and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are lacking. Even within the same age group, travel frequency of the elderly population is expected to be more influenced by individual’s health and physical conditions compared to the younger popul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psychological disposition and health, we assumed that age of the elderly can cause heteroscedasticity and developed a heteroscedastic model. In addition, we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ip destination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o individual and household characteristics in our analysis of the trip generation characteristics.

.

이상 성균관대학교에서 의뢰한 고령층의 행동특성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