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미술자료 보존 처리 번역

 

근현대 미술자료 보존 처리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근현대 미술자료 보존 처리 번역

근현대 미술자료 보존 처리 번역(한국어 원본)

아카이브(archives) 분류에서 특정한 목적에 따라 여러 출처로부터 의도적으로 수집된 기록을 매뉴스크립트(manuscripts)라 지칭한다. 현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소장중인 매뉴스크립트 미술자료들은 작가의 작품 및 생애사 연구에 토대가 되는 동시에 제작 당시 시대상을 입증하는 미술사적 가치를 지닌 귀중한 자료들이다. 특히 작품이 소실될 경우 남아 있는 유일한 자료가 되며 작품의 제작 시기를 추정해 볼 수 있는 귀중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소장 자료들 중 종이의 건조화, 잘못된 배접 및 지속적인 열화로 인하여 보존 처리를 통해 안정성 확보가 시급한 자료들이 상당수로 파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사적으로 영구보존 가치가 있는 소장 자료의 보존성 확보를 위해 건칠 공예가 강창원(1906∼1977)의 드로잉 39점에 대하여 지질 분석 및 보존 처리를 실시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미술자료의 재질 특성 및 보존 처리에 대한 자료를 축적 하였으며, 향후 한국 근·현대 미술자료 보존 처리의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보존과학실은 2013년 11월 12일 서울관이 개관하면서 만들어졌고 미술품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보존처리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14년 동안 서울관의 보존업무전반을 잘 이끌어 나가기 위해 노력하였고, 여러 부분에서 부족하지만 빠르게 안정되었다. 향후 작품보존처리와 연구 등을 통해 내실을 다지고 발전적인 보존과학실이 되어야 할 것이다.

권진규(1922~1973)는 테라코타를 이용한 수많은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52세 이른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어 생을 마감하였지만, 한국 근대 조각의 선각자로서 확고부동한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크기와 형태가 유사한 2점의 권진규 테라코타 여인좌상 에디션과 작품의 세부 형상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제작 기법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제작 기법 연구를 바탕으로 재현을 하여 권진규 작품의 제작에 관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권진규(1922~1973)는 테라코타를 이용한 수많은 작품들을 제작하였다. 52세 이른 나이에 스스로 목숨을 끊어 생을 마감하였지만, 한국 근대 조각의 선각자로서 확고부동한 평가를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크기와 형태가 유사한 2점의 권진규 테라코타 여인좌상 에디션과 작품의 세부 형상을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제작 기법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제작 기법 연구를 바탕으로 재현을 하여 권진규 작품의 제작에 관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근·현대 미술작품에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 광물을 원료로 하는 전통 안료는 국내에서는 재현하기 힘들어 일본과 중국에서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천연안료에 대한 연구는 실제 사용된 문화재나 미술품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가 일반적이며, 현재 시판되고 있는 안료에 대해서는 연구 사례가 드물다. 이러한 상황은 일본, 중국에서 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와 그 기법이 상이한 점, 그리고 색상을 표현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인 안료 입자 크기를 구분하는 호수에 대한 표기 방법도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에 국내에 시판되어 사용되고 있는 전통 안료에 대한 보존과학적 기초 연구로서 일본과 중국의 전통 안료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는 작품의 보존을 위해 매우 중요한 자료로서 판단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일본과 중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천연안료의 대표적인 색상인 녹색과 청색 24점을 선정하여 재질적 특성에 대해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영상 현미경 고배율 관찰을 통해 안료의 입자 크기와 색상을 확인하였으며, 색도 측정을 통해 대상 안료의 호수별 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SEM-EDS와 XRD를 통한 분석을 진행함으로서 안료별 주원소와 입자의 형태를 비교하고, 화합물의 결정 구조를 비교 고찰하였다.


초록 인류의 창조 활동 역사는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정도로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그것을 지키고 유구히 남기고자 하는 보존의 개념은 아직도 많은 발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서구권 나라에서도 작품 보존 처리의 본격적인 틀을 잡기 시작한 것은 불과 100년도 채 되지 않았으며, 우리나라 대학에 문화재 보존 관련 학과가 생기기 시작한 것은 1998년 경의 일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같은 동양권이며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의 보존 처리 역사와 전문 인재 육성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고,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전문가와의 인터뷰 등을 통하여 그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근현대 미술자료 보존 처리 번역(영어 번역본)

Records that have been intentionally gathered from various sources for a specific purpose from an archives classification are called manuscripts. Presently museum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he manuscript art data are the precious data that carry art history value that are both a foundation to the artists’ works and research on their life history and a testament to the sign of the times in which they were created. Especially in cases where the work has disappeared, the manuscripts become the only remaining data on the works and offer valuable clues in which the period of the creation of the works can be traced. Of the museum collection, there is a great deal of data that is in urgent need of stabilization through preservation treatment due to paper dry-rot, the paper not being layered properly, and heat deterioration. In this study lipid analysis and preservation treatment was implemented for 39 drawings by the dry lacquer craftsman Kang Chang-won (1906∼1977), to secure the integrity of collections that have enduring preservation value from an art history perspective. Through this research data was accumulated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treatment of art materials, and the research is intended to be beneficial to future research on the preservation treatment of Korean modern art material.

The Conservation Science Department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Seoul Branch was established together with the opening of the Seoul branch on November 12th, 2013.
Professional preservation treatment and research is underway intended for works of art. The Seoul branch worked hard in 2014 in over-all preservation tasks, and though lacking in many areas was able to quickly stabilize. In the future, the expansive Conservation Science Department will ensure internal stability through the preservation treatment and research of works.

Abstract: Gwon Jin-gyu (1922~1973) created many works using terra cotta. He cut his life short committing suicide at the age of 52, but is well-established in being seen as the pioneer of Korean modern sculpting. This study compared manufacturing techniques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detailed shapes in two works by Gwon Jin-gyu that are similar in size and shape, the terra cotta Seated Woman edition. Also, through the reemergence by the means of manufacturing technique research, it is expected to become an important material collection regarding Gwon Jin-gyu’s works.

This architectural drawing that was the target of preservation treatment is of a work by Kim Su-geun (1931~ 1986) who is seen as a pioneer of modern Korean architecture. The 3 pages of this architectural drawing are of the work, and are in a framed appearance, and when turning over the map board one can find that tape plays the role of holding the edges of the work in place on both sides. Two of the three pages were partially folded over the mat board to fit the size of the other page. This caused a pronounced wrinkle in the surface of the work and the edge was damaged with tears and deletions. The main focus of the preservation treatment was on restoring the folded section of the work. This work consists of water-based pen ink that was drawn on thin tracing paper making the general methods of smoothing wrinking by layering or pressing down with heavy objects unsuitable. Accordingly, a strip of traditional Korean paper was attached to the edge, that part was then sprayed with deionized water and after indirectly applying moisture to the blot paper it was attached to the dryer and the fold came undone after it dried. Also, a material analysis and composi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tracing paper upon which the work was drawn.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traditional paints in Korea, which include natural minerals, widely thought to be used in works of modern art, so most of the traditional paints on the market have been produced in Japan or China. Research on such natural paints is rather fragmentary as it mostly covers the cultural assets actually used, or works of art, and there are few cases of research on the natural paints currently on the market. Under such circumstances, I think there is the aspect that materials and the techniques used in paint produced in Japan and China are different from Korean materials, and I think that the labeling method for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natural paint, particle size is also different. As a conservational basic research for traditional paints used in the market in Korea, the comparative study for traditional paints from Japan and China could be judged very important material for the preservation of works. From this standpoint, in this study the comparative research began by selecting 24 greens and blues,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traditional paint that are on the market and originate from Japan and China. The size and color of particles could be confirmed using a high-powered video microscope as the analysis method, and measuring the chromacity changes in the colors could be examined by the number of the target paint. And in proceeding with analysis through SEM-EDS and XRD the shape of major elements and the form of particles could be analyzed by paint type, and the crystal structure of the compounds were compared.

The long history of mankind’s creative activity dates back to prehistoric times, but as far as preservation concepts that can match this activity, much development is still required. No sooner than 100 years ago have Western countries gotten a firm grasp on preservation treatment, and the first college department in Korea to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assets opened around 1998. This study will examine the history of preservation treatment and efforts to train qualified individuals in Japan, which is geographically close and is also located within the Orient, and seeks to introduce the status of such throug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working on-site.

.

이상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의뢰한 근현대 미술자료 보존 처리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