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시 수혈주거지 번역

 

내포시 수혈주거지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내포시 수혈주거지 번역

내포시 수혈주거지 번역(한국어 원본)

고려~조선시대 ‘내포신도시’에서 확인된 수혈주거지의 역사적 의미

이 글은 ‘내포시’에서 확인된 수혈주거지를 발굴자료와 문헌의 접목을 통해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취락 및 주거형태의 변화상을 밝히고자 했다.
고려시대의 수혈주거지와 생산시설 등에 대한 분포를 확인한 결과 대체로 2-1지점과 2-4지점의 A구역에 일정 범위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곳은 홍성에서 덕산으로 이어지는 옛길인 ‘발리사로’ 상에 위치하는 곳으로 『동국여지승람』고적조에 전하는 ‘마여소’의 모습을 담고 있다고 판단된다.
출토유물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전기와 후기에 해당하는 수혈주거지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려시대는 ‘발리사로’ 교통로 인근인 2-1지점과 2-4지점의 A구역에 치중되어 있었다면, 조선전기에 들어서면서 그 생활공간이 2-4지점의 B지점과 C지점으로 확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조선 후기에는 전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나, 조선전기에 비해 후기에 수혈주거지의 수가 급감하는 현상이 파악되었다. 1-3지점에서는 조선전기 주거지가 사라지고 있으며, 1-4지점에서는 조선전기 주거지가 분산되는 변화가 확인되었다.
수혈주거지 분포에서 특징적으로 2-4지점의 중앙부인 B-Ⅱ지점의 유구 집중 구역을 공방이 모여 있던 곳으로 추정하였다. 공방군의 경우 수혈주거지와 같이 조선후기에는 감소와 이동의 흐름을 따라 사라지는 것으로 보았다.
조선시대 수혈주거지군의 이동과 감소의 원인으로 몇 가지 추정을 시도하였다. 먼저 임진왜란과 이몽학의 난으로 인한 내포신도시 권역 일대의 혼란과 교통로의 변화이다. 이몽학이 홍주성을 함락시킬 수 없어 덕산으로 향하였을 당시 ‘발리사로’로 향하는 등 이 일대가 전장의 무대였던 것에 주목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예산 중심의 장시권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홍주에서 삽교를 거쳐 예산으로 향하는 교통로로 길이 변화하여 새로운 교통로 인근으로 수혈주거지의 이동하였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조선후기 수로 주변의 경작지 개간에 따른 공간 이동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이렇듯이 조선후기 이몽학의 난의 영향과 교통로의 변화와 보부상의 전매특권으로 인해 공방지가 쇠퇴하고, 이후 농경지 개간이 편리한 홍북면 동방송이나 대조지면 등으로 이주하여 주거의 수가 급감하였으나, 2-4지점의 주촌 마을과 1-4지점의 자경리 큰말마을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생활상이 이어져 왔던 것으로 보았다.

내포시 수혈주거지 번역(영어 번역본)

The Historical Meaning of Pit Dwellings Found at ‘Naepo New City’ from the Koryo~Chosun Dynasties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change in settlement and residential form from the Koryo to Chosun dynasties by connecting the pit dwellings found at the ‘Naepo City’ with excavated materials and literature.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stribution of pit dwellings and manufacturing facilities in the Koryo dynasty, they generally formed a certain range at point 2-1 and Area A of point 2-4. This place is located on ‘Balisa-ro’, the old road that connects Hongseong and Duksan, and has the form of ‘Mayeoso’ as described in『Dongguk Yeoji Seungram』.
By analyzing the excavated artifacts, we can confirm the distribution of pit dwellings during the early and late Chosun periods. While they were concentrated in point 2-1 and Area A of point 2-4, which are close to the ‘Balisa-ro’ traffic route in the Koryo dynasty, we could confirm that the living space expanded to Areas B and C of point 2-4 as we entered the early Chosun dynasty. In comparison, they were spread out evenly across all regions in the late Chosun dynasty, but the number of pit dwellings had decreased drastically compared to the early Chosun dynasty. It was found that the early Chosun dynasty dwellings at point 1-3 were disappearing, while the early Chosun dynasty dwellings at point 1-4 were dispersing.
Characteristic to the distribution of pit dwellings, it is estimated that point B-II, the center of point 2-4, was where handicraft workshops gathered. Handicraft workshops also disappeared following the trend of decrease and migra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like pit dwellings.
We attempted to provide a few assumption for why the Chosun dynasty pit dwelling clusters migrated and decreased. First, the Naepo New City area fell into chaos and routes changed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Yi Mong-hak’s Rebellion. We focused on the fact that this region was the battlefield when Yi Mong-hak headed to Duksan because he couldn’t take Hongju-sung Castle, going toward ‘Balisa-ro’. Also, as markets formed around Yesan in the Chosun dynasty, the road changed into a route that goes from Hongju, goes through Sapgyo, and goes toward Yesan, we can also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pit dwellings migrated near the new route. Lastly, we can assume the migration happened after farmlands were cultivated near the water way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s such, the handicraft workshops declined due to the impact of Yi Mong-hak’s Rebellion, change in traffic route, and the monopoly of peddlers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later migrated to Hongbuk-myeon Dongbang or Taejoji-myeon, where it is easy to cultivate farmland, and the number of residences drastically decreased, but they continued their lifestyle in the late Chosun dynasty around Juchon Village in point 2-4 and Jigyeong-ri Keunmal Village in point 1-4.

.

이상 경희대학교에서 의뢰한 내포시 수혈주거지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