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번역

 

뇌졸중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뇌졸중 번역_02

뇌졸중 번역(한국어 원본)

뇌졸중은 뇌혈관장애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으로 신경학적 손상이 갑자기 진행되는 임상적 증후군이며, 의식장애, 인지장애, 운동장애, 언어장애를 일으킨다. 이는 보행 장애 및 일상생활 수행 능력의 장애로 나타나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게 되며, 또한 인지기능 장애의 동반은 사회로의 복귀에 장애를 초래하며, 재활치료에 대한 의욕 및 운동기능 습득에도 영향을 미친다. 1 따라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서 뇌손상 후 운동 및 인지기능회복을 예측하는 것은 환자의 치료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뇌손상 후 기능회복에 관한 예후 예측 인자로 Glausgow Coma Scale, 연령, 혼수의 정도와 기간, 뇌간반사, 운동반응 등이 이용된다. 2 그러나 이들은 혼수상태나 신경안정제 투여시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없어 보다 객관적인 검사로 뇌컴퓨터 단층촬영, 뇌 자기공명영상촬영이나 유발전위검사가 이용되어 왔다. 그 중에서 운동유발전위 검사는 두부자기자극법을 이용하여 대뇌운동피질을 활성화 시켜 얻는 것으로, 대뇌피질 전연접부 운동신경 세포를 자극하여 잠복시간과 진폭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는 척수병변, 뇌병변, 말초신경병변의 진단과 기능회복 정도를 판정하는데 이용되고 있으며, 뇌졸중 발병 초기에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3,4 운동유발전위에 대한 이전 논문에서 상지와 하지의 운동유발전위가 반응을 보이는 사람이 무반응을 보이는 사람보다 기능 회복에 있어 예후가 더 좋다고 보고하였다. 5,6 다른 연구로는 마비측 상지 운동 기능 회복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 체성감각유발전위검사와 운동유발전위검사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보고하였다. 7,8
환자의 기능회복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 score, Modified Barthel index(MBI) 가 있으며, FIM scale은 신체적인 부분과 인지, 언어, 사회적인 부분이 포함되어 있고, MBI는 신체적인 부분만 포함되어 있다. 9,10 이전 논문에서 운동유발전위에 따라 예후를 예측하기 위해 MBI를 사용하였으나, FIM score 와 FIM의 세부 항목에서 호전 정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서 운동유발전위 유무에 따른 FIM과 FIM의 각 항목을 비교 분석하여 운동기능 및 인지, 언어,
사회적인 부분의 회복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8년 5월부터 2010년 5월까지 중뇌 동맥 영역과 기저핵 영역에 뇌출혈이나 뇌경색이 처음 발병한 것으로 진단 받고 본원에 입원하여 포괄적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경련이 있거나 당뇨병이나 기타 말초 신경병증이 있는 환자, 의식이 혼미하거나 30분 이상 안정된 상태로 앉아 있을 수 없는 환자, 중증의 정형외과적 병력이 있는 환자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모든 환자는 발병 후 아급성 시기에 해당하는 1달에서 2달 사이에 운동신경유발전위 검사를 받았다. 운동신경유발전위검사시의 자기자극은 Magstim 200® (Magstim, Whiteland, UK) 및 반직경9cm의 코일자극기를 이용하였고 운동유발전위의 기록은 근전도기기 (MedelecSynergy, Oxford, UK)를 이용하였다. 활동전극은 마비측 수부의 단무지외전근의 중앙에, 참조전극은 그 말단부에 부착하여 이 근육에서 기록되는 전위를 기록하였다. 자기 자극은 마비된 상지의 반대측두부의 두정부에 코일의 중심부를 위치시킨 후, 1 cm간격으로 이동하면서 50%의 자극 강도를 2%씩 증감하면서 최대자극강도 100%까지 반복 자극하여 단무지외전근에서 기록된 유발전위가 10번의 자극에서 5번 이상 50uV 이상으로 관찰되는 최소강도를 휴지기 운동역치로 하였다. 그 위치를 자극부위로 지정한 후 휴지기 운동 역치의 120%의 강도로 10회 자극하여 얻어지는 운동유발전위의 극간진폭의 평균값을 운동유발전위로 하였다. 환측에서 휴지기 운동역치를 구할 수 있으면 반응이 있는 군으로, 최대 자기자극에도 반응이 유발되지 않으면 휴지기 운동역치를 구할 수 없는 반응이 없는 군으로 하였다. 또한 모든 환자에게 운동유발전위 검사를 시행하는 시점에 일상생활수행능력평가 도구인 기능적 독립성 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를 시행하였다. FIM scale은 환자가 일상생활의 수행하기 위해 도움이나 보조기구가 필요한지 평가하는 18개의 item을 7개의 scale을 사용하여 평가한 것으로 7점에서 126점으로 평가된다. 11 FIM의 구성요소 18개 중에는 자아관리, 괄약근 조절능,
동작수행, 이동기능, 의사소통, 사회 인지능력이 있다. 11
검사는 동일한 검사자에 의해 면담으로 시행하였다. FIM평가는 한달간의 포괄적 재활치료 후 재평가하였다. 두부자기자극검사를 실시한 뇌졸중 환자 중 운동유발전위의 유무에 따라 휴지기 운동역치(resting threshold)를 구할 수 있으면 운동유발전위 반응군(MEP positive group, P-MEP)으로 하였고, 최대자기자극인 100%의 자극 강도에도 휴지기 운동역치를 구할 수 없으면
운동유발전위 무반응군(MEP negative group, N-MEP)으로 하였다.
한달간의 포괄적 재활치료 FIM score의 변화값을 구하여 운동유발전위 측정값과 비교분석하였다. 운동유발전위 유무에 따른 FIM과 세부항목 값의 비교는 Wilkox signed rank 검사법을 사용하였으며, FIM과 세부항목의 변화값 비교는 Mann-Whitney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sion 18.0을 사용하였으며, P<0.05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하였다.

뇌졸중 번역(영어 번역본)

The stroke is a disease caused by a cardiovascular accident. It is a clinical symptom in which neurological impairment takes place all of a sudden, and gives rise to decreased consciousness, cognitive impairment, movement disorder and speech disorder. It will lead to gait disturbance and disabil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teriora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stroke patient. The accompanying cognitive impairment will make it difficult to return to society, and affect the will to go through rehabilitation and acquisition of motor skills. 1 Accordingly, predicting the recovery of motor skills and cognitive functions after the brain damage in a hemiplegic patient who had a stroke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ing the treatment goal and plan for the patient. The Glasgow Coma Scale, age, the degree and duration of coma, brainstem reflexes and motor responses are used as prognostic factors regarding the recovery of functions after brain damage. 2 As they cannot be correctly tested when the patient is in a coma or a tranquilizer is administered, however, brain CT, brain MRI and evoked potential have been used as more objective tests. Among them, the motor evoked potential is obtained by using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o excite the cerebral motor cortex, and the presynaptic motor neuron of the cerebral cortex is stimulated to measure the latent time and amplitude. It is used to diagnose myelopathy, brain lesion and peripheral neuropathy, and judge the degree of functional recovery, and predict the prognosis soon after the occurrence of the stroke. 3,4 Previous researches on the motor evoked potential reported that patients whose motor evoked potential of the upper limb and the lower limb reacted had better prognosis for functional recovery than those with no reaction. 5,6 Other studies reported that it is more beneficial to conduct both th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and the motor evoked potential at the same time to predict the recovery of the motor skills of the plegic upper limb more accurately. 7,8
Th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patient’s functional recovery are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score, and the Modified Barthel index (MBI). The FIM scale includes physical, cognitive, linguistic and social aspects, and MBI includes only physical aspects. 9,10 Previous papers used MBI to predict prognosis according to the motor evoked potential, but there was no study that compared the FIM score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detailed FIM items. Therefore, the authors tried to understand the recovery of the motor skills, cognitive, linguistic and social aspects by comparing the FIM and the individual items of FIM in a hemiplegic patient who had a strok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tor evoked potential.
Subjects and methodology
The subjects were patients who were first diagnosed with cerebral hemorrhage or cerebral infarction in the middle cerebral artery and basal ganglia, hospitalized and received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between May 2008 and May 2010. Patients who had convulsion, diabetes or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who were delirious or could not sit stably for more than 30 minutes, and patients who had a history of orthopedic surgery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All patients had the motor evoked potential test between one and two months after the occurrence of their disease, which corresponds to the subacute period. The magnetic stimulus during the motor evoked potential used Magstim 200® (Magstim, Whiteland, UK) and a coil stimulator with a radius of 9 cm, and an electromyogram (MedelecSynergy, Oxford, UK) was used to record the motor evoked potential. The active electrode is placed in the center of the abductor pollicis brevis of the plegic hand, and the reference electrode is placed at its distal end so that the electric potential recorded at the muscle could be recorded. As for the magnetic stimulus, the authors placed the center of the coil in the parietal region of the head opposite the paralyzed upper limb. While moving it at intervals of 1 cm, and increasing the 50% stimulus by 2% at a time, the authors repeated the stimulus until they reached the maximal stimulus 100%, and the minimal stimulus with the evoked stimulus, recorded at the abductor pollicis brevis, observed at above 50nV more than 5 times out of 10 times became the resting threshold. This location was selected as the stimulus site, and the mean of the interspinous amplitude of the motor evoked potential, obtained by stimulating 10 times at 120% of the resting threshold, was the motor evoked potential. If the resting threshold can be obtained from the affected part, it became the positive group, and if there was no response to a maximum magnetic stimulus, and the resting threshold cannot be obtained, it became the negative group. Also,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an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evaluation tool,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hen the motor evoked potential test was conducted. The FIM scale uses 7 scales to evaluate 18 items assessing whether patients need help or aids to perform daily activities on a scale from 7 to 126 points. 11 The 18 components of FIM include self-care, sphincter control,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locomotion, communication and social cognition. 11
The test was conducted by the same tester through interviews. The FIM evaluation was done again after a month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Among stroke patients who went through the transcranial magnetic stimulus, those for whom the resting threshold can be obtained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tor evoked potential were classified as the motor evoked potential positive group (MEP positive group, P-MEP), and those for whom the resting threshold cannot be obtained with the maximum magnetic stimulus, i.e. 100% stimulus, were classified as the MEP negative group (N-MEP).
The changes in the FIM score for the one-month-long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were obtained, and compared to the motor evoked potential measuremen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motor evoked potential, the FIM and detailed items were compared using the Wilcox signed rank test, and the FIM and changes in detailed items were compared using the Mann-Whitney test. SPSS version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when P<0.05.

.

이상 연세대학교에서 의뢰한 뇌졸중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