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 번역

 

대기오염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대기오염 번역

대기오염 번역(한국어 원본)

1. 분석 범위
본 연구는 시간경과에 따른 도시의 공간구조 특성(토지이용, 사회경제적 변화 등) 과 대기질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이 설정된 주요 오염물질, 즉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일산화탄소(CO), 오존(O3)은 1989년부터 매년 측정치가 보고되고 있으나 미세먼지(PM10)는 서울 및 광역시를 중심으로 모니터링 되어왔으며 대부분의 도시는 1999년 이후부터 측정되고 있다. 도시 공간구조 요소는 전국적으로 도농통합(1995년)이 이루어지기 이후의 자료를 사용하였는데, 통합 이전의 자료는 이후의 자료와 달리 구도시 지역만을 대표하기 때문에 1995년을 기점으로 자료의 불연속성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시별 대기오염측정치와 공간구조 요소에 대한 자료를 최대한 이용하여 분석하기 위해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은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 및 6개 광역시를 포함한 인구 20만 이상의 17개 도시 17개 도시는 서울특별시와 6개 광역시, 수원, 부천, 안산, 원주, 청주, 군산, 여수, 포항, 구미, 마산이며1996-2006년 까지 우리나라 대기환경기준이 설정된 5가지 대기오염측정치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고 도시의 공간구조 특성을 파악하는데 부족함이 없다고 판단되는 인구 20만 이상의 도시를 대상으로 하였다.
를 대상으로 시계열자료를 구축하였다. 미세먼지는 17개 도시 중 일부는 대기오염배출농도가 1999년 이후 측정되어 수도권(안산 제외)과 광역시에 대해서만 1996-2006년까지의 시계열자료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대기오염물질농도는 대기환경연보(환경부, 2007)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공간구조 요소는 도시별 통계연보(1996-2007)를 참고하였다.
2. 변수 구성
도시의 공간구조 특성 변화가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표 1과 같이 변수를 정의하였다. 설명변수 중 녹지밀도(시가화지역면적당 녹지공간)는 도시의 토지이용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토지의 지목별 현황 중 임야(forest), 유지(marsh), 공원(park) 및 유원지(recreation)로 한정하였다. 주거밀도는 녹지밀도와 마찬가지로 압축성을 대표하며 도시의 사회경제적 요소로는 제조업체수, 차량의존도, 대기오염배출시설이 있다. 그리고 도시유형별로 대기오염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17개 도시를 위치에 따라 분지형(basin), 평지형(plain), 연안형(coast)로 분류하였다 17개 도시중 분지형 도시는 대전, 원주, 구미 3곳이며, 평지형 도시는 서울, 광주, 대전, 수원, 부천 및 청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연안형 도시에는 부산, 인천, 울산, 안산, 군산, 여수, 포항, 마산 등 총 8곳이 해당한다.
종속변수는 우리나라의 주요 대기오염물질인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및 미세먼지이며 이들 오염도는 연평균 농도를 나타낸다.
3. 분석 모형
도시화에 따른 환경적 폐해는 장기간에 걸쳐 다양한 메카니즘에 의해 누적적 미국 환경정책법(NEPA: National Environment Policy Act)에 따르면, 누적영향을 어떤 활동의 잠재적인 영향이 과거, 현재 및 미래의 활동에 추가됨에 따라 초래되는 환경영향으로 정의한다. 또한 캘리포니아 환경질법(CEQA: California Environmental Quality Act)에서는 영향을 야기시키는 각 사업들의 조합된 결과로 만들어지는 영향을 누적영향으로 정의하고 있다.
으로 발생한다. 다시 말해서, 각종 개발사업이 광역적 범위에 걸쳐 연속적으로 실시될 경우 그 영향은 시간적·공간적으로 누적되어 도시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오규식 외, 2006). 도시의 공간적 구조 특성 변화는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의 정도와 원인은 지역마다 시기마다 다르다. 더욱이 개별 도시에 대해 실증분석을 할 경우 서로 이질적인 지역들이 각기 다른 양상의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역적 특성을 감안한 분석모형을 필요로 하게 된다(최충익, 2008).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시간에 따른 도시화 영향은 시계열자료를 통해 알 수 있으며 대기오염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그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횡단면 자료를 활용해야 한다.

대기오염 번역(영어 번역본)

1. Scope of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relationship between urban spatial structure property (land usage, socioeconomic changes, etc.) and air quality over time. Measurement for main pollutants (sulfur dioxide gas (SO2), nitrogen dioxide (NO2), carbon monoxide (CO), and ozone (O3)), for which environmental air quality standards exist in Korea, have been provided since 1989, but particulate matter (PM10) has been mainly monitored in Seoul and metropolitan cities and measured in most cities after 1999. Only data after the completion of national urban-rural integration (1995) is used for urban spatial structure elements because data previous to that date only represent old urban regions and there is a discontinuity in the data prior to and after 1995.
To fully utilize air pollution measurement and spatial structure elements in cities, time series data for sulfur dioxide gas,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and ozone has been established from 1996 to 2006, for 17 cities with population over 200,000 including Seoul and 6 metropolitan cities. Time series data for particulate matter has been established for only capital region (excluding Ansan) and metropolitan cities from 1996 to 2006, since air pollution emission concentration has been measured after 1999 in some of the 17 cities.
For air pollutant concentration used in the analysis, Annual Report on Ambient Air Quality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has been referred. Similarly, Statistical Yearbook provided by each cities (1996-2007) has been referred for spatial structure elements.
2. Variable composition
Variable has been defined for analysis of effect of change in urban spatial structure property on air pollution (Table 1).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green land density (ratio of green space per built-up area) is for examining change in urban land usage and land category has been limited to forest, marsh, park, and recreational area. Similar to green land density, residential density represents compactness, and urban socioeconomic elements consist of number of manufacturing companies, automobile dependency, and pollution emitting facility. To analyze change in air pollution in different city types, each of the 17 cities has been categorized as a basin, plain, or coast type according to its location .
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sulfur dioxide gas,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ozone, and particulate matter, which are main pollutants in Korea, and the level of pollution is given in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3. Analysis model
Environmental damage from urbanization occurs cumulatively over long period of time through various mechanisms. In other words, if various business developments continuously occur over a wide range, their effect will accumulate spatially and temporally, and have a serious impact on urban environment (오규식 외, 2006). Change in urban spatial structure property influences air pollution, and the extent and the cause of the influence differ according to regions and time periods. Especially, when performing empirical studies on individual cities, heterogeneous regions will each result in damages with differing aspects, requiring analysis model that accounts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최충익, 2008). In this regard, effect of time-dependent urbanization can be obtained from time-series data, and cross-section data is required for determining factors that influence air pollution and their extent of influence.

.

이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의뢰한 도시공간구조가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