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탄성계수 번역

 

동탄성계수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동탄성계수 번역

동탄성계수 번역(한국어 원본)

3.1 재질별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측정 결과
그림5은 재질별 동탄성계수에 대한 측정결과로서 대부분의 제품에서 현행 법기준인 40 MN/m3이하의 값을 보였다.
EVA 재질의 경우 완충재 하부의 요철 유무에 따른 동탄성계수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있었다. 요철이 없는 제품의 경우 요철이 있는 제품보다 동탄성계수가 낮은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요철유무에 대한 결과는 동일한 제품에 대하여 요철유무에 따른 측정결과가 아니며, 요철의 형상이나 크기가 상이한 제품에 대한 결과이다. 재질과 동탄성계수에 대하여 특별한 상관성이 없어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40 MN/m3이하의 값을 보이고 있었다.
그림6은 재질별 손실계수를 나타낸 것으로 대부분의 제품이 0.1~0.3사이의 수치를 보이고 있었다. 손실계수도 역시 재질별 특별한 특징을 보이고 있지 않았다.
3.2 재질별 열전도율 측정 결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건축용 단열재의 열전도율은 밀도에 따라 달라진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바닥충격음 완충재의 재질별 밀도와 열전도율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를 각 그림7과 그림8에 나타내었다. EPS와 EPP의 재질을 가진 완충재는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비례하여 열전도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EPS의 경우 밀도는 9.7~36.9 kg/㎥, 열전도율은 0.031~0.044 W/(m․K)의 분포를 보였고, EPP는 밀도는 10.9~19.6 kg/㎥, 열전도율은 0.038~0.044 W/(m․K)의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EVA와 PE는 EPS 및 EPP와는 다르게 완충재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열전도율의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EVA의 경우 밀도가 40.1 kg/㎥이상이고 열전도율이 0.038 W/(m․K) 이상인 결과를 나타냈고 PE는 밀도는 23.0~40.9 kg/㎥, 열전도율은 0.038~0.040 W/(m․K)의 분포를 보였다.
열전도율의 측정에서 일정한 밀도에서 측정결과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은 열성능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 즉, 제조방법에 따라 달라지는 셀의 물리적 구조, 내부의 공극 크기 및 종류, 복사투과율 등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동탄성계수 번역(영어 번역본)

3.1 Results of dynamic stiffness and loss factor measurement by type of material
Figure 5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dynamic stiffness of different materials. Most products showed values lower than 40 MN/m3, the current legal standard.
In case of EVA, the dynamic stiffness varied great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uneven surface underneath the sound insulation material. The dynamic stiffness of products without the uneven surface tended to be lower than that of products with the uneven surface. The measurement result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uneven surface were not based on the same products, but on products with different shapes and sizes of the uneven surface. There seemed to be no correlation between types of materials and dynamic stiffness, and the measurement values were lower than40 MN/m3 in general.
Figure 6 shows the loss factors by type of material. Most products had a loss factor between 0.1 and 0.3. Loss factor did not show any special characteristic by type of material, either.
3.2 Thermal conductivity measurement results by type of material
As generally know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heat insulation materials for construction varies depending on density.
The density and thermal conductivity of insulation materials used in Korea were measured by type of material and density, and the results of comparison of these values are shown in Figure 7 and Figure 8 respectively. As the density of insulation materials made of EPS and EPP increases, the thermal conductivity tends to decrease in proportion. The density of EPS ranged between 9.7 and 36.9 kg/㎥,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ranged between 0.031 and 0.044 W/(m․K), whereas the density of EPP was between 10.9 and 19.6 kg/㎥,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between 0.038 and 0.044 W/(m․K).
However, in case of EVA and PE, unlike EPS and EPP, as the density of insulation materials increased, the thermal conductivity tend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he density of EVA exceeded 40.1 kg/㎥,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greater than 0.038 W/(m․K). The density of PE ranged from 23.0 to 40.9 kg/㎥,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ranged from 0.038 to 0.040 W/(m․K).
The measurements of thermal conductivity show differences at a certain density probably because of other factors affecting thermal performance, that is, the physical structure of the cell varying depending on manufacturing methods, the size and type of internal porosity, and radiation transmittance.

.

이상 건설기술연구원에서 의뢰한 동탄성계수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