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기기 번역

 

모바일 기기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 번역)

 

모바일 기기 번역

모바일 기기 번역(한국어 원본)

나. 국내∙외 연구동향
○ 국내 연구 현황
국내에서는 멀티네트워킹과 관련하여 대규모 프로젝트는 진행되지 않았다. 다만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IPv6 기반의 멀티네트워킹 기술과 관련하여 버티컬 멀티호밍 기술 및 2.5 계층에서의 자원 관리 기술을 연구하였다. 또한 관련 기술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TTA)에서 PG210의 이름으로 국내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PG210에서는 2.5 계층의 일체형 MAC 프로토콜 개발과 멀티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자원관리 프로토콜 및 QoS 기반 전송 및 응용 프로토콜별 차등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에 대한 연구 및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한편, IETF에서 MIF (Multiple Interface) 워킹 그룹 및 PMIPv6 기반의 플로우 이동성 기술 표준화와 연계하여 ETRI 및 국내 학계에서 관련 기술을 제안한 바 있으며 멀티 인터페이스를 통한 inter-technology 핸드오버 기술 등을 연구하였으나 멀티 네트워킹 환경을 위한 전체적인 네트워킹 프레임워크를 연구한 결과는 보고된 바 없다.
○ 국외 연구 현황
멀티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접속 기술을 관리하기 위한 멀티네트워크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유럽의 Ambient Network 프로젝트를 통해서 진행되었다 [Ande]. 특히, Ambient Network 프로젝트에서는 이종 환경으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다중 인터페이스 단말에 새로운 서비스 제공/방법을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결과물로 멀티네트워크를 위한 CCL (Common Control Layer)가 제안되었다. CCL은 다양한 접속 기술을 통합하기 위한 일체형 MAC 프로토콜 개발과 효율적 자원관리 프로토콜, QoS 기반 전송 기술, 응용 서비스/프로토콜별 차등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재 세부 요소에 대한 상세한 프로토파입이 정의 및 테스트베드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Ambient Network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응용에 대해 상황 정보 획득, 동적인 재구성, QoS관리기능, 오버레이의 자동 적응 및 관리 기능, 보안성과 프라이버시 등 신뢰성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서비스 인지 트랜스포트 오버레이 네트워크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Ambi07-2]. Ambient Network 프로젝트를 통해 멀티 네트워킹에 대한 개략적인 프레임워크는 개발되었지만 그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한 알고리즘, 프로토콜은 깊이 있는 수준으로 진행되지 못한 상태이다.
국제 표준화와 관련해서는 IEEE 802.11 TG에서 다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에 관한 선행 연구가 진행중이다. 특히, 메쉬 네트워크를 다루는 IEEE 802.11s 그룹에서 멀티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쉬 네트워크의 용량을 증가시키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2007년부터는 WPAN/WLAN/WWAN의 상호 공존 방안과 기술적 이슈가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 표준을 제정하는 IETF에서는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핸드오버 기술과 플로우 별로 각기 다른 핸드오버 정책을 적용하는 플로우 이동성 기술 및 멀티 인터페이스 기반의 PMIPv6 확장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IEEE 및 IETF에서 논의되고 있는 이슈들도 MAC 계층 또는 네트워크 계층에 한정되어 있으며 알고리즘적인 측면보다도 기술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프로토콜 정의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학계를 통한 알고리즘 개발이 요구된다.
○ 학계 연구 현황 및 문제점 분석
학계에서는 멀티네트워킹 환경을 위한 연구가 각 프로토콜 계층별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의 개요와 문제점 분석은 다음과 같다.
-. 물리 계층 연구 분석
물리 계층의 경우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협력 통신의 경우 Maximal Ratio Combining (MRC) 기법 등을 통해 직접 수신한 신호와 릴레이 등을 통해 수신한 신호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두 신호는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달된 것들이므로 본 연구에서 고려하는 멀티 네트워크 환경과는 차이가 있다. 최근에 Heterogeneous 네트워크 기술과 관련된 연구를 물리 계층에서 진행하고 있으나 이 역시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되 셀 크기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의 협력 통신을 고려하고 있으며 Network MIMO 또는 CoMP 등으로 불리는 기술도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활용하는 것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모바일 기기 번역(영어 번역본)

B. Domestic∙International Research Trend
○ Current State of Domestic Research
No large scale projects regarding multi-networking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Regarding IPv6-based multi-networking technology, however,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researched vertical multi-homing technology and resource management technology on a 2.5 layer. Also,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TTA) conducted a domestic standardization of the relevant technology under the name PG210. In PG210, a 2.5 layer unified MAC protocol development and a resource management protocol for the effective usage of multi-network resources and QoS-based transmission and research and standardization on a service model for providing service differentiated by applied protocols were conducted.
On the other hand, IETF suggested relevant technology tied with a MIF (Multiple Interface) working group and PMIPv6-based flow mobility technology standardization to ETRI and domestic academia and researched on inter-technology handover technology via interface, but nothing was reported of studying an overall network framework for a multi-networking environment.
○ Current State of International Research
A multi-network service framework for managing various connection technology in a multi-network environment was conducted through Europe’s Ambient Network project [Ande]. Especially, in the Ambient Network project, research aiming for a new service providing/method for multiple interface terminals in a network composed of a heterogeneous environment was conducted and a CCL (Common Control Layer) for multi-networks was suggested as a result. CCL includes a unified MAC protocol development and effective resource management protocol for combining various connection technology, QoS-based transmission technology, and service model for providing service differentiated by applied service/protocol, and is currently defining detailed prototype on specific factors and establishing a test bed. Also, in the Ambient Network project, obtaining situational information on various types of application, dynamic restructure, QoS management ability, automatic adaptation and management functionality of overlay, and development of a service detecting transport overlay network for establishing a trustworthy system in terms of security and privacy is in progress [Ambi07-2]. Through the Ambient Network project, a stratagemical framework on multi-networking has been developed but algorithms, protocols to optimize its performance has not been processed to a profound level.
Regardin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dvanced research on using multiple network interfaces is being done at IEEE 802.11 TG. Especially, in the IEEE 802.11s group that deals with mesh networks, a wa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a mesh network through multi-interface is being discussed and from 2007, mutual existence plan of WPAN/WLAN/WWAN and technical issues are being reviewed. Also, at the IETF, which enacts the Internet standard, multi-interface based handover technology and flow mobility technology that applies handover policies which are different for each flow and multi-interface based PMIPv6 expansion plan etc. are being discussed. However, issues that are being discussed at IEEE and IETF are also limited to the MAC or network layer and since the focus is being made on defining a protocol that ensures technical capability rather than the algorithmic perspective, algorithm development through the academia is being demanded.
○ Current State of Academic Research and Problem Analysis
In the academia, researches for multi-networking environment are being conducted for each protocol layer. A summary and problem analysis on such researches are given as following.
-. Physical Layer Research Analysis
In the case of the physical layer, research on cooperative communications is being actively conducted. In cooperative communications, directly received signals through Maximal Ratio Combining (MRC) method etc. and signals received through relay etc. are combined and in this case, the two signals are transmitted through the same interface so it is different from the multi-network environment that this research is considering. Recently, research involving heterogeneous network technology has been done on the physical layer but this also considers collaborative communication using the same technology but having different cell sizes, and technology known as Network MIMO or CoMP etc. also do not consider using interfaces different to each other.

.

이상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의뢰한 모바일 기기 번역(한영 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