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상품 번역

 

문화상품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문화상품 번역

문화상품 번역(한국어 원본)

한국 문화에서는 문자가 적용된 것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으며, 뿌리 깊게 박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예로, 문자를 사용하여 그린 문자도나, 족자와 주련은 한 가정의 평화와 행복, 윤리덕목을 실천하고자 만든 것으로, 효, 제, 충, 신, 예, 의 , 염, 치가 각각의 글자의 의미를 상징하는 그림과 함께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것을 병풍이나 액자에 간직하여 집안에 걸어 둠으로써, 글자의 사상과 정신을 본받으며 살아가는 옛 조상들의 덕목을 살필 수 있다.
이외에도 건물 밖에 걸어두는 현판과 편액 또한, 집안의 좋은 기운과 가르침을 본받고자 좋은 글귀를 적어서 걸어두는 풍습이 있는데, 주로 절에서 행해지던 풍습으로 사람들에게 좋은 가르침을 전하고 본받고자 하는 마음에서 생겨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자의 역할과 의의가 깊은 한국의 문자 문화를 문화상품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한글의 의미와 조형성을 동시에 보여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길상을 의미하는 한글단어를 사용하여 문양화하는 방법을 제안을 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한국의 전통 문자 문양은 대부분은 길상을 의미하고 있으며, 이는 모두 한자로 되어 있는데, 전통이라는 항목아래 현재까지도 이어져 오고 있는 한자 문양의 길상문양을 현대의 문화상품에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요소인 한글로 대체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문화상품 중에서, 길상문자를 제외하고, 문자를 적용한 상품은 훈민정음과 한글이 적용된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문자가 적용되어 있는 사례들 중에, 한글과 훈민정음이 적용된 사례들을 추출하여 과연 전통적인 사상 및 의미도 함께 전달하고 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살펴보았다.
한글은 한국의 언어이자, 고유 문화재산이기 때문에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절한 소재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여러 문화상품들의 문양에는 한글이 적용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 현황을 살펴본 결과, 의미전달보다는 글자의 조형성에 더욱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언어를 문양으로서 사용함에 있어 중요한 점은, 내용과 의미가 전달되어야 하며, 정확한 글자 형태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언어를 단지 조형요소로서 활용하는 것이 아닌, 의미전달이라는 언어 고유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달해야 한다. 따라서 한글 문양을 의미전달과 조형성을 동시에 보여 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문화상품 번역(영어 번역본)

Characters are applied to cultural products frequently in Korean culture, and it seems deeply rooted. For instance, character painting, Jokja (a scroll) and Juryeon were created for the sake of peace and happiness of the family, and fulfillment of ethical values. Hyo (filial piety), Je (fraternity), Chung (loyalty), Shin (trust), Ye (courtesy), Eui (fidelity), Yeom (integrity), and Chi (shame) are drawn along with the paintings representing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 They are written in a folding screen or picture frame, and hung on the wall of the house. One can see the virtues of ancestors who lived emulating the ideology and spirit of these characters.
In addition, there is a custom of hanging Hyeonpan (a hanging board) and Pyeonaek (a tablet) outside of the house. They have good words written on them to fill the house with good energy and emulate the teachings of ancestors. This custom was mostly practiced in Buddhist temples in order to deliver the good teachings of ancestors to people and emulate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methods of applying the Korean character culture, which has characters that play an extensive role and have profound meanings, to cultural products.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a method of using Hangeul words, meaning Gilsang (good auspice) as patterns in such a way as to show the meaning and formativeness of Hangeul. In other words, most traditional Korean character patterns signify Gilsang, and all of them are Hanja (Chinese characters). The intention is to replace the Hanja-based Gilsang patterns, which have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name of tradition, with Hangeul, a cultural element that can represent Korea, and apply it to modern cultural products.
Among cultural products, products that applied characters, excepting Gilsang characters, are those characters which applied Hunminjeongeum and Hangeul. Accordingly, to conduct this study, those cases which applied Hangeul and Hunminjeongeum were picked from among cases where characters are applied, an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raditional ideologies and meanings are also conveyed.
As Hangeul is the language and unique cultural property of Korea, it can be regarded as a proper material that can represent Korea. On many occasion Hangeul is applied to the patterns of various cultural products currently produced. Having examined the status, the focus has been placed on the formativeness of the characters, not conveyance of meanings.
The importance of using a language as patterns is that the contents and meanings must be conveyed, and that the correct shapes of the characters must be shown. That is, the language should not be utilized simply as a formative element, but must be conveyed in a way that conforms to the unique purpose of language, that is, conveyance of meanings. Accordingly, to find a way to ensure that Hangeul patterns convey meanings and show formativeness at the same tim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

이상 성신여자대학교에서 의뢰한 문화상품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