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정보디자인 번역

 

박물관 정보디자인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박물관 정보디자인 번역

박물관 정보디자인 번역(한국어 원본)

1960년 말부터 대두된 신박물관학(New Muselogy)의 영향과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해 현대로 들어서면서 박물관은 유물 중심(object-oriented)에서 관람객 중심(visitor-oriented)으로 점차 바뀌었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현재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전시 정보)를 표현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제기되면서 현재 체험 전시, 미디어 매체를 활용한 전시 등과 같은 관람객을 고려한 전시 형태가 대두되고 있다.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를 표현하는 커뮤니케이션의 방식은 박물관의 전시 성격을 드러내고, 관람객의 방문을 장려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현재 많은 박물관들은 전시 대상에 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언급·기록할 정도로 박물관 디자인의 방향과 목표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따라서 박물관 전시 콘텐츠(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디자인 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다.
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는 육하원칙(5W 1H)으로 설명될 수 있는데, 이 구성요소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WHAT(박물관의 소재)과 WHY(목적), HOW(방식)에 중점을 두어 전달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를 연구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은 대한민국이 태동하던 시기부터 근대화 과정을 거쳐 선진화에 이르기까지 대한민국의 근·현대 역사를 소개하는 박물관으로 지난 2012년 12월 개관하였다. 본 연구자는 시각디자인 전공자 입장에서 새로 개관하는 국·공립 박물관의 전시 디자인을 구성하는데 의의를 가지고 대한민국 역사박물관(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을 본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한민국 역사박물관(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은 현재 현대적의미의 박물관 개념의 중심 개념인 관람객 중심의 전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역사콘텐츠는 근대화 해석을 둘러싼 대립을 완화시킬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와 같이 방대한 양의 정보를 반복적인 형식으로 나열하다 보면 자칫 따분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박물관 콘텐츠는 일정 기준과 분류에 구조를 갖추었을 때 관람객의 관심을 이끌고, 박물관 콘텐츠의 핵심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시각화 과정을 통하여 박물관 관람객들에게 더욱 의미 있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색채, 서체, 차트와 다이어그램,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아이콘과 같은 그래픽적 시각 요소를 적극 활용하였을 때 그 효과를 발휘한다. 박물관 콘텐츠를 구조화하고, 시각 요소 중심으로 구성한 박물관 전시 정보디자인은 사용자를 고려하여 과거의 지루한 전시 분위기를 바꾸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콘텐츠를 소개해 전문적인 내용도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국내 2곳, 해외 6곳의 박물관을 사례 대상으로 선정하여 각각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콘텐츠 구조화)와 전시 그래픽 디자인(시각화)을 조사 및 분석하여 박물관 콘텐츠와 시각화의 관계를 살피고, 본 연구의 핵심이 될 수 있는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에 적합한 4가지 콘텐츠 구조화 모델(첫째, 위치 정보에 따른 콘텐츠, 둘째, 시간에 따른 콘텐츠, 셋째, 수치의 변화에 따른 콘텐츠, 넷째, 대상의 비교에 따른 콘텐츠)을 기반으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의 전시 정보디자인 사례를 제시한다. 이는 추후 역사박물관 전시 그래픽 디자인과 관련한 다른 연구에서 박물관 전시 그래픽을 시각화하는 하나의 프로토타입으로 활용될 것을 기대해본다. 더불어 실증 자료를 기반으로 구성된 역사 콘텐츠 체계는 근대화 해석을 둘러싸고 부각되는 이념적 대립을 완화시키고, 전시 그래픽 디자인 연구 분야의 앞으로 방향성에 대한 기본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예상한다.

박물관 정보디자인 번역(영어 번역본)

Influenced by the new museology developed in the late 1960s and changes in the social climate, museum has shifted its focus from being object-oriented to being visitor-oriented. In accordance with this trend, various research on the mode of communicating the exhibition content (exhibition information) of a museum has been conducted. The research has led to the rise of visitor-oriented exhibition formats such as experience exhibition and exhibition utilizing multi-media. The mode of communicating the content of a museum exhibition helps reveal the character of the exhibition and attract visitors. Many museums nowadays have great interest in the direction and purpose of museum design such that they describe and record in detail the content of the exhibited objects. As a result, research into the design representation of the museum exhibition content (informa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hich opened in December 2012, overviews the contemporary and modern history of the Korean Republic, from its beginnings through modernization to growth as a developed country. The museum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exhibition of a new national museum from the perspective of a visual designer. The museum is currently operating in a visitor-oriented format as dictated by the new museology. We expect that historical content based on empirical data will help relieve the tension surrounding the interpretation of modernization.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an exhibition can be explained by 5W 1H. The current study will focus on What (museum items), Why (purpose of the exhibition), and How (the format of the exhibition) to study how to communicate the desired content.
Repetitive placement of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an exhibit can be easily boring to the visitors. Museum contents can interest the visitors and effectively communicate the core contents when it is structured by certain standard and classification. Visualization can further enhance this process when visual and graphical elements such as color, font, chart, diagram, illustration, photo, and icon are actively employed. Museum exhibition design that has structured museum contents and is centered on visual elements transforms the dull museum environment of the past to intrigue the spectators. The aim of such museum is to introduce museum contents in an intuitive manner such that an average visitor can easily understand professional information. Based on such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selected two museums in Korea and six museums overseas and analyzed each museum’s exhibition content (content structuralization) and exhibition graphic design (visualiz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 museum’s content and its visualization. Based on this analysis and the four content structuralization models (content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ntent based on time, content based on change in number, and content based on comparison) appropriate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we present a case stud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s design of exhibition inform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may be utilized by future research of graphic design in a history museum, as a prototype for visualizing a museum’s exhibition graphics. In addition, the structured history content based on empirical data will help relieve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round interpretation of modernization. The current study will serve as a useful basic research that will set the tone for the future research of exhibition graphic design.

.

이상 연세대학교에서 의뢰한 박물관 정보디자인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