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의 개념 복잡성 번역

 

번역의 개념 복잡성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영어번역)

 

번역의 개념 복잡성 번역

번역의 개념 복잡성 번역(영어 원본)

The Concept of Translation and its Complexity
The network of lexicographical connotations associated with the term translation leads tonotions of transferring, conveying or mov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or of linking one word,phrase, or text to another. These connotations are shared by the word for translation in manymodern languages: fanyi in Chinese, translation in English, traduction in French, honyaku in Japanese, Übersetzung in German, and so forth. It may therefore appear justified to postulatethe following definition: ‘Translation is a transfer of the message from one language to another.’Even before one specifies what sort of transfer this may be, it is hard to refrain from askingabout the message. Is not the message in this definition a product or consequence of thetransfer called translation, rather than an entity that precedes the action of transfer, some-thing that remains invariant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Is the message which is supposedlytransferred in this process determinable in and of itself before it has been operated on? Andwhat is the status of the language from which or into which the message is transferred? Is it justifiable to assume that the source language in which the original text makes sense is differ-ent and distinct from the target language into which the translator renders the text as faith-fully as possible? Are these languages countable? In other words, is it possible to isolate and juxtapose them as individual units, like apples, for example, and unlike water? By whatmeasures is it possible to distinguish one from the other and endow it with a unity or body?But for the sake of facilitating the representation of translation, however, it is not necessaryto posit the organic unity of language rather than see it as a random assemblage of words,phrases and utterances, if one is to speak of trans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Accordingly, the presumed invariance of the message transmitted through translation isconfirmed only retroactively, after it has been translated.What kind of definition is it, then,that includes the term in need of explanation in the definition itself? Is it not a circular defi-nition? Similarly, the unity both of the source and the target language is also a supposition inwhose absence the definition would make little sense. What might translation be if we supposethat a language is not countable or that one language cannot be easily distinguished fromanother?It is difficult to evade this problem when we attempt to comprehend the terms ‘meaning’and ‘language’. At the very least, we can say that, logically, translation is not derivative orsecondary to meaning or language; it is just as fundamental or foundational in any attempt to elucidate these concepts. Translation suggests contact with the incomprehensible, the unknow-able, or the unfamiliar, that is, with the foreign, and there is no awareness of language ormeaning until we come across the foreign. First and foremost, the problematic of translationis concerned with the allocation of the foreign.If the foreign is unambiguously incomprehensible, unknowable, and unfamiliar, then trans-lation simply cannot be done. If, conversely, the foreign is comprehensible, knowable andfamiliar, translation is unnecessary. Thus, the status of the foreign is ambiguous in translation.The foreign is incomprehensible and comprehensible, unknowable and knowable, unfamiliarand familiar at the same time. This foundational ambiguity of translation is derived from thepositionality occupied by the translator. The translator is summoned only when two kinds of audiences are postulated with regard to the source text, one for whom the text is compre-hensible at least to some degree, and the other for whom it is incomprehensible. The trans-lator’s work consists in dealing with difference between the two audiences. The translatorencroaches on both and stands in the midst of this difference. In other words, for the firstaudience the source ‘language’ is comprehensible while for the second it is incomprehensible.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anguage’ in this instance is figurative: it need not refer to the‘natural’ language of an ethnic or national community, German or Tagalog, for example. It isequally possible to have two kinds of audiences when the source text is a technical documentor an avant-garde work of art. In such cases ‘language’ may well refer to a vocabulary or setof expressions associated with a professional field or discipline, for example, law; it may implya style of graphic inscription or an unusual perceptual setting in which an artwork is displayed.This loose use of the term ‘language’ invariably renders the task of determining the ‘meaning’of the term ‘translation’difficult. For, all the acts of projecting, exchanging, linking, matchingand mapping could then be talked about as sorts of translation, even if not a single word isinvolved. Here the discernibility of the linguistic and the non-linguistic is at stake.Roman Jakobson’s (1971) famous taxonomy of translation attempts to restrict the instabil-ity inherent in the figurative use of the word ‘language’. Jakobson divides translation into threeclasses: ‘(1) Intralingual translation or rewording is an interpretation of verbal signs by meansof other signs of the same language. (2) Interlingual translation or translation proper is aninterpretation of verbal signs by means of some other language. (3) Intersemiotic translationor transmutation is an interpretation of verbal signs by means of signs of nonverbal sign systems’(p.261). According to the Jakobsonian taxonomy, one who translates ‘legal language’ intocommon parlance would be performing an intralingual translation, while one who offers acommentary on an obscure artwork would be engaged in an intersemiotic translation. In neithercase can one be said to be a translator strictly speaking. Only someone who translates a textfrom one language to another would be doing translation proper.Jakobson’s taxonomy neither elucidates nor responds to our query about the suppositionconcerning the countability and organic unity of the source and target languages. It does notempirically validate the supposition; it merely repeats and reconfirms it. Nevertheless, itdiscloses that ‘translation proper’ depends on a supposed discernibility between the interlin-gual and the intralingual, between a translation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and a rewordingwithin the same language. It thereby prescribes and demarcates the locus of differencebetween two presumably ethnic or national language communities, by virtue of the fact thatJakobson presupposes that translation proper can take place only between two unequivocallycircumscribed languages. It therefore eradicates the various differences within such a linguis-tic community and locates the foreign exclusively outside the unity of a language.No doubt this conception of translation is a schematization of the globally shared andabstractly idealized commonsensical vision of the international world, consisting of basicunits – nations – segmented by national borders into territories. It is not simply Jakobson’sidiosyncratic view. In this schematization, ‘translation proper’ not only claims to be a descrip-tion or representation of what happe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is description alsoprescribes and directs how to represent and apprehend what one accomplishes ‘perlocution-arily’ when one translates. In this respect, ‘translation proper’ is a discursive construct: it is part of what may be called the regime of translation, an institutionalized assemblage of protocols, rules of conduct, canons of accuracy, and ways of viewing. The discursive regimeof translation is poietic, or productive, in that it foregrounds what speech acts theorists calledthe ‘perlocutionary’ effect (Austin, 1967). Just as a perlocutionary act of persuading mightwell happen in a speech act of arguing but persuasion does not always result from argument,‘translation proper’ need not be postulated whenever one acts to translate. Yet, in the regimeof translation, it is as if there wer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figurative schema-tization of translation and the process of translation. Collapsing the process of translationonto its co-figurative schematization, the representation of translation repeatedly discernsthe domestic language co-figuratively – one unity is figured out, represented and compre-hended as a spatial figure, in contrast to another – as if the two unities were already presentin actuality. As long as one remains captive to the conventional regime of translation, one can construethe ambiguity inherent in the translator’s positionality only as the dual position a translatoroccupies between a native language and a foreign tongue. Hence the presumption persists thatone either speaks one’s mother tongue or a foreigner’s. The translator’s task would be todiscer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his difference is always determinedas that between two linguistic communities. Despite countless potential differences withinone linguistic community, the regime of translation obliges one to speak from within a binaryopposition, either to the same or to the other. Thus, in the regime of translation the trans-lator becomes invisible because the translator is the one who eludes an identification withinthe binary (Venuti, 1995: 1–46). This attitude in which one is constantly solicited to identifyoneself within the binary may be called ‘monolingual address’, whereby the addresser adoptsthe position representative of a putatively homogeneous language community, and enunciatesto addressees who are also representative of a homogeneous language community. The term‘monolingual address’ however, does not imply a social situation in which both the addresserand the addressee in a conversation belong to the same language; they believe they belong todifferent languages yet can still address each other monolingually.

번역의 개념 복잡성 번역(한국어 번역본)

번역의 개념과 번역의 복잡성
용어의 번역에 따른 함축적 의미의 네트워크는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의 이전, 전달, 이동, 또는 하나의 단어, 구 또는 텍스트를 다른 단어, 구 또는 텍스트와 연결하는 개념으로 이어진다. 번역을 뜻하는 중국어의 fanyi, 영어의 translation, 프랑스어의 traduction, 일본어의 honyaku, 독일어의 Ubersetzung 등에서 볼 수 있듯이 많은 언어가 번역이라는 단어에서 이러한 함축적인 의미를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번역은 하나의 언어에서 또 다른 언어로 메시지를 전환하는 작업이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환이 무엇이냐를 구체화 하기 전에 먼저 메시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싶을 수도 있다. 이 정의에서 말하는 메시지가 번역의 과정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이전의 행위에 선행하는 실체가 아닌 번역으로 불리는 이전의 산물 또는 결과를 의미하지는 않는가? 작동하기 전에 그 안에서 또는 그 자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절차에 이전되어야 하는 메시지를 말하는 것인가? 메시지의 출처에서 사용된 언어 또는 메시지가 이전되는 대상인 언어의 상태는 어떠한가? 출발 텍스트가 자연스럽게 문장을 형성하는 출발어가 번역자가 텍스트를 최대한 충실하게 전환하고자 하는 목표인 도착어와 상이하고 구분 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는가? 이러한 언어를 셀 수 있는가? 다시 말해, 셀 수 없는 물이 아닌 셀 수 있는 사과와 같이 개별적인 단위로 분리하고 병치시킬 수 있는가? 어떠한 기준으로 하나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부터 구분하고 통일성 또는 실체를 부여할 수 있는가? 그러나 번역의 정의에 따라 번역에 대하여 말하고자 할 때 번역의 표상을 촉진하기 위해서 언어를 단어, 구, 표현의 임의적인 조합으로 보지 않고 언어의 유기적인 통일성으로 상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번역을 통하여 전달되는 메시지의 추정적 불변성은 번역이 이루어진 후에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정의 자체에서 설명을 필요로 하는 용어를 포함하는 종류의 정의는 무엇인가? 순환적인 정의인가? 이와 비슷하게 출발어와 도착어어 모두의 통일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번역에 대한 정의를 수립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는가? 언어를 셀 수 없다고 가정하거나 하나의 언어를 다른 언어로부터 쉽게 구분할 수 없다고 가정한다면 번역이란 무엇일까?
이는 ‘의미’와 ‘언어’라는 표현을 이해하려고 할 때 피하기 어려운 문제이다. 적어도 논리적으로 번역이 의미 또는 언어의 파생물이거나 의미 또는 언어보다 낮은 수준의 중요성을 갖는 것이 아니라고는 말할 수 있겠다. 번역은 이러한 개념을 설명할 때 기본이나 토대의 역할을 한다. 번역은 이해할 수 없는, 알 수 없는 또는 익숙하지 않은, 즉 이질적인 것과의 접촉을 의미하며 그러한 이질적인 무언가를 이해하기 전까지는 언어 또는 의미를 인식할 수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번역의 문제는 이질적인 무언가의 분포의 맥락에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질적인 것이 분명히 이해할 수 없고 알 수 없으며 익숙하지 않은 것이라면 번역은 불가능하다. 반대로 그러한 이질적인 것이 이해할 수 있고 알 수 있으며 익숙한 것이라면 번역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번역에서는 이질적인 것의 상태를 분명히 규정할 수 없다. 이질적인 것은 이해할 수 없으면서도 이해할 수 있고 알 수 없으면서도 알 수 있고 익숙하지 않으면서도 익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번역의 근본적인 모호성은 번역자가 취하는 입장으로부터 도출된다. 출발 텍스트를 어느 정도라도 이해하는 청자와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두 가지 청자가 상정될 때 번역자가 필요하며 번역자는 이러한 두 청중 사이의 간극을 해결한다. 번역자는 이 둘을 모두 다루며 그 간극의 중간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첫 번째 청자는 출발 ‘언어’를 이해할 수 있지만 두 번째 청자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경우의 ‘언어’는 비유적이다. 민족적 또는 국가적 공동체의 ‘자연적’ 언어 (예를 들면 독일어 또는 타갈로그어)를 참조할 필요가 없다. 마찬가지로 출발 텍스트가 기술적 문서 또는 전위적인 예술작품인 경우 두 종류의 청자가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언어’는 법과 같은 전문분야 또는 학문과 관련된 일련의 표현 또는 단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술작품이 전시되어 있는 특수한 상황이나 생생한 글의 양식을 의미할 수도 있겠다. ‘언어’라는 용어의 이와 같은 느슨한 사용은 ‘번역’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작업을 어렵게 만든다. 투영, 교환, 연계, 매칭, 매핑 등이 번역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를 번역의 일종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언어적인 그리고 비언어적인 것의 식별 가능성이다.
로만 야콥슨 (Roman Jakobson, 1971)은 그가 고안한 저명한 번역의 분류체계에서 ‘언어’라는 단어의 비유적 사용에 내재된 불안정성을 제한하고자 하였으며 번역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첫째, 언어 내의 번역 또는 단어의 재구성 (rewording)은 동일한 언어의 다른 신호를 통한 언어적 신호의 해석이다. 둘째, 언어 간의 번역 또는 정식 번역 (translation proper)은 기타 언어를 통한 언어적 신호의 해석이다. 셋째, 기호 간의 번역 또는 변형은 비언어적 신호 체계의 신호를 통한 언어적 신호의 해석이다 (p. 261)’. 야콥슨의 분류에 따르면 ‘법률 언어’를 일반적인 어투로 번역하는 행위는 언어 내의 번역이며 추상적인 예술작품에 대한 해설은 기호 간의 번역이다. 엄격한 기준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사람은 번역자라고 할 수 없고 텍스트를 하나의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번역하는 행위만을 정식 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야콥슨의 분류체계는 출발어와 도착어의 유기적 통일성과 가산성에 대한 가정을 둘러싼 의문에 대한 설명이나 답변을 제공해주지 않으며 그러한 가정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지도 않는다. 단지 그러한 가정을 반복하고 재확인할 뿐이다. 그러나 ‘정식 번역’이 언어 사이의, 하나의 언어로부터 다른 언어로의 번역과 동일한 언어 내에서의 단어의 재구성 사이의 식별 가능성에 의하여 결정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야콥슨이 정식 번역은 분명하게 제한된 두 가지의 언어 사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야콥슨의 분류체계는 두 가지의 민족적 또는 국가적 언어 공동체 사이의 간극의 위치를 규정하고 획정한다. 따라서 언어적 공동체의 다양한 간극을 제거하고 이질적인 것을 언어의 통일성 외부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은 번역의 개념이 영토에 따른 국가의 경계에 의하여 분절된 기본적 단위 (국가)로 이루어진 국제적 세계가 공유하는 이상적이며 상식적인 비전의 도식임은 분명하다. 단순히 야콥슨 개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관점이 아닌 것이다. 이 도식에서 ‘정식 번역’은 번역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서술 또는 표상일 뿐만 아니라 누군가가 번역을 할 때에 ‘발화를 통해’ 성취하는 것을 표상하고 파악하는 방식을 규정하고 안내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정식 번역’은 산만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번역의 체제라고 부를 수 있는 무언가의 일부이며 프로토콜의 일상적인 조합이고 행동의 규범이며, 정확도의 기준이고 관점이다. 번역의 산만한 체제는 이론가들이 ‘발화’효과라고 칭하는 발화의 행위를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연결성을 띠거나 생산적이다 (Austin, 1967). 설득에서의 발화행위가 언쟁에서의 발화 행위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설득이 항상 논쟁으로부터 비롯되지는 않으며 번역을 할 때에 ‘정식 번역’을 반드시 상정할 필요는 없다. 번역의 과정을 쌍형상화의 도식으로 분할하면서 번역의 표상은 계속해서 쌍형상적으로 현지의 언어를 식별한다. 즉, 두 개의 통일성이 이미 실제로 나타난 것처럼 하나의 통일성이 공간적 표상으로 파악, 표상 및 파악되는 것이다.
전통적인 번역의 체제에 얽매이면 번역자의 입장에 내재된 모호함을 모국어와 외국어 사이에서 번역자가 취하는 이중적인 태도로서만 이해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누군가가 자신의 모국어 또는 외국어만을 말한다는 가정이 계속해서 유지된다. 번역자가 해야 하는 일은 두 언어 사이의 차이점을 식별하는 것이며 이러한 차이는 항상 두 개의 언어적 공동체 사이에 존재하는 차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하나의 언어적 공동체 내부에서도 수많은 차이점이 존재할 수 있으나 번역의 체제에 의하여 동일한 또는 다른 것에 대한 이원적인 극단을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번역의 체제에서 번역자가 이원화의 식별을 회피하기 때문에 번역자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 (Venuti, 1995: 1-46). 이원화에서 스스로를 규명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러한 태도는 ‘단일 언어의 전달’라고 부를 수 있다. ‘단일 언어의 전달’에서 발신자는 추정적으로 동일한 언어 공동체를 대표하는 입장을 취하며 수신자에게 동일한 언어 공동체를 누가 대표하는지 명백하게 보여준다. 그러나 ‘단일 언어적 전달’이라는 표현은 발신자와 수신자가 동일한 언어를 통한 대화를 나누는 사회적인 상황을 의미하지 않는다. 여기에서의 발신자와 수신자는 각자가 상이한 언어를 사용하지만 하나의 언어로 소통할 수 있다고 믿는다.

.

이상 중앙대학교에서 의뢰한 번역의 개념 복잡성 번역(영어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