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천지역 불교 조각 번역

 

사천지역 불교조각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사천지역 불교조각 번역

사천지역 불교조각 번역(한국어 원본)

당대(唐代) 사천지역의 조상(彫像)은 당시 유행하던 도상(圖像)과 양식(樣式)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사천지역에서만 확인되는 도상과 존상구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당대 불교조각의 다양성을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사천지역에서 확인되는 불교조각의 다양한 양상을 파악하고 어떻게 이해되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第Ⅰ章에서는 우선 사천성 광원 황택사 제28굴의 조영(造營) 시기를 검토하여 고종전기로 비정하였다. 다음으로 중존의 존명에 대해서는 가섭·아난, 팔부중과 함께 제작되었다는 점, 이 상이 제작된 고종전기 익주에서는 아미타신앙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아미타・관음・대세지의 삼존상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 제28굴처럼 보주를 지물(持物)로 하는 다른 상들이 「석가」로 확인된다는 점에 근거하여 아미타불이 아닌 석가로 보았다. 또한 제28굴 석가여래상이 관음・세지보살을 협시로 동반하는 것에 대해서는 무량수불을 석가의 본신으로 하는 「본적이문」 思想, 법운의 『법화경의기』, 지기의 『청관음경소』・『묘법연화경문구』에서 확인되는 여래상의 수명(寿命)과 상주(常住)에 대한 중국불교의 교의적(敎義的)인 해석과 관련이 있다고 고찰하였다. 第II章에서는 우선 사천성 광원 천불애 연화동 북벽의 장엄촉지인상이 계주로 장식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계주가 『석가방지』에서 확인되는 정상계주와는 다르며, 장엄촉지인상의 유입과 전개과정 안에서 여러 루트가 있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예라고 보았다. 다음으로 이 상이 삼존불의 하나로 제작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연화동의 조영시기와 관련 경전의 한역(漢譯) 시기를 검토함으로써 그 존명을 밝혔다. 즉, 연화동의 조영시기(696~697이전)는 실차난타의 『팔십화엄경』의 한역이 완성되지 않은 시점이기 때문에 불타난타역의 『육십화엄경』에 근거하여 노사나불이 현재불로 제작된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화동 제10호감의 촉지인상이 명문에 의해 석가상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쌍령수하식의 법의를 입고 있다는 점으로부터 촉지인 여래상의 다양한 전개 과정 속에서 제작된 연화동 북벽 장엄촉지인상의 도상적(圖像的) 위치를 확인하였다.
第III章에서는 사천성 마애조상군을 분류·분석한 결과, 석가·미륵의 이불병열상(二佛並列像)이 제작되고 있다는 점, 다양한 협시를 동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천지역 특유의 제작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석가·미륵병열상의 제작배경에 대해서는 규기의 『관미륵상생도솔천경』권 하, 『범먕경보살계본소』「담무참전」를 검토하여 당시 미륵신앙이 신자의 근기에 따라 관불에 의한 수계, 상생·하생이라는 다양한 과제와 관련되었으며, 석가·미륵 병열상에는 「예참·예불」과 「관불·수계」라는 기능이 기대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또한 미륵불이 관음・세지를 동반하고 있는 점에 대해서는 지승의 『개원석교록』권18・『중경목록』권2에 기록된 『미륵하생유관세음대세지』, 『미륵하생관세음시보주경』과 관련성이 있으며, 미륵상의 협시로 나타나는 비사문천왕에게는 찬영 등 『송고승전』권26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신자를 정토로 인도(引導)하는 역할이 기대되었다고 보았다. 따라서 관음과 세지, 비사문천등이 미륵여래와 함께 제작된 내강천불암 미륵대상은 도상 해석에 모순이 없음을 분명히 하였다.
第Ⅳ章에서는 우선 사천성 파중 남감 제106감의 상들과 제기를 분석하여 석가는 약사여래의 본사로서 함께 제작되고 있으며, 극락정토로의 왕생하고자 하는 발원이 약사유리광불의 공덕을 들으면 아미타불국토로의 왕생이 가능하여 임종(臨終) 때, 팔보살에 의해 정토로 갈 수 있다는 『약사경』의 기록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약사・지장・관음상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미타, 지장, 관음상의 도상(圖像)의 유행이라는 흐름 안에서 제작되었으며, 이러한 상들은 약사상의 「주술적(呪術的)인 현세이익(現世利益)」이라는 측면과 지장상의 「명부구제(冥府救済)」에 대한 강한 염원이 반영된 결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파중 북감 제14감 또는 안악천불채 재16동의 상들이 「약사정토」이 아니라 「약사경변」을 도해하고 있으며, 이러한 표현방식이 사천지역의 독특한 약사신앙의 한 측면을 보여주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第Ⅴ章에서는 우선 당대(唐代) 사천지역에서 유행하는 불·천존 이불병열상의 예를 소개하고, 그중에서 파중지역에서 제작된 상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불상(佛像)과 도상(道像)의 배치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화하는 불상의 배치에는 『당회요』권49 「승도립위」에서 확인되는 당황실의 정책변화가 반영되었다고 보았다. 또한 사천지역에서 불·천존병열상(佛・天尊並列像)의 제작이 성행하여 지속된 배경에 대해서는 사천지역에서 활동하였던 보경, 혜관의 기사를 검토하여 불교와 도교의 대립관계, 나아가 사천지역 민간신앙의 複合的인 성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복합적인 민간신앙의 기저에는 불상과 도상을 함께 표현함으로써 현세(現世)와 내세(来世)로부터 구제받고자 하는 종교적인 기능이 기대되었다고 보았다.
이상 부분적이나마 당대 사천지역의 불교조각에 대한 고찰을 시도하였는데 사천지역에서 확인되는 특정 도상의 유행 및 다양한 존상 구성에 대한 제작배경을 이해함으로써 사천지역 불교조각의 특색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사천지역 불교조각 번역(영어 번역본)

In that the statues of the Sichuan area from the Tang dynasty not only reflects the then popular icons and styles, but also show the icons and composition found only in the Sichuan area, they are very important to studying the diversity of the Buddhist sculpture of the Tang perio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verse Buddhist sculpture found in the Sichuan area, and examine how they were understood.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Chapter 1 reviewed the production period of Guangyuan Huangzhesi Cave 28 in Sichuan Province, and dated it to the former part of Emperor Gaozong’s reign. Next, as the image of the standing Buddha in the center was produced along with the Kasyapa, Ananda and the Eight Protectors, and based on the fact that in the Yi province in the former part of Emperor Gaozong’s reign where this statue was made, the Amitābha-Avalokiteśvara-Mahāsthāmaprāpta triad, which actively reflects the Amitābha religion, is not found, and that, as in Cave 28, other statues, which has mani as a holding (持物), are identified as 「Śākyamuni」, this stature was regarded as Śākyamuni, not Amitābha. Also, about the fact that Cave 28 Śākyamuni is accompanied by Avalokiteśvara and Mahāsthāmaprāpta as attendant Buddhas, this study believed that it is related to the 「Benjiermen」 thought with Amitayus Buddha being Benshen of Śākyamuni, and the dogmatic interpretation of Chinese Buddhism about the life and residency of Buddha as confirmed in 『Fayun’s Fahua jing yiji』, 『Zhiyi’s Qing quanyin jing shu』 and 『Miaofalianhuajing wenju』. Chapter II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bejeweled Buddhas of the Guangyuan Qianfoya Cave Lianhua in Sichuan Province is decorated with a mani on the head, and this mani on the head is different than the mani at the top of the head found in 『Shijiafanzhi』, and was viewed as an example suggesting that there were several routes in the inflow and propagation process of the bejeweled Buddhas. Nex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is statue was part of the Buddhist traid, and considered when the scriptures related to the production period of Qianfoya Cave Lianhua were translated into Chinese, and the Buddha image was identified. In other words, as the production period (prior to 696~697) of Qianfoya Cave Lianhua was before the Chinese traqnslation of 『Sikasananda‘s Mahāvaipulya Buddhāvataṃsaka Sūtra』 was not completed,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Birushana Butsu was produced as a Buddha of the present based on 『Buddhabhadra’s Mahāvaipulya Buddhāvataṃsaka Sūtra』. Lastly,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bejeweled Buddhas of Niche 10, Qianfoya Cave Lianhua were Buddhas according to the inscription, and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wearing the clerical dress of the type of Shuanglingxiachui, the iconic (圖像的) location of the bejeweled Buddhas of the Guangyuan Qianfoya Cave Lianhua produced in the various development processes of the bejeweled Buddhas.
In Chapter III, this study classified and analyzed Magaibutsu of the Sichuan Province, and found that. as two juxtaposed Buddhas (二佛並列像) of Śākyamuni and Maitreya were produced, and it was accompanied by various attendant Buddhas, production characteristics unique to the Sichuan area were revealed. About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Śākyamuni and Maitreya, this study reviewed 『Kuiji’s Guan mile shangsheng doushuaitian ging zan 2』 and 『Fanwang pusa jieben shu (the biography of Tanwuchan』, and concluded that, in those days, the Maitreya beliefs are related to various subjects, i.e. Jukai (receive religious precepts), shangsheng (上生·) and xiasheng (下生) based on kanfo (contemplating Buddha) according to the genji (ability to achive deep faith in a religion) of the lay people, and such functions as 「Penitence·Buddhist ceremony」 and 「觀佛 (kanfo) and 受戒 (Jukai)」 were expected for the juxtaposed Buddhas (二佛並列像) of Śākyamuni and Maitreya. Also, in that Maitreya is accompanied by Avalokiteśvara-Mahāsthāmaprāpta, it is related to 『Mile xiashengyi guanshiyin dashizhi』, 『Mile xiasheng guanshiyin shibaozhu jing』 recorded in Zhisheng’s kaiyuanshijiaolu 18·Zhong jingmulu 2, and Vaisravana, appearing as an attendant Buddha of Maitreya, was expected to play the role of leading believers to the pure land as in Zanning’s Songgaosengchuan 26. Accordingly, this study made it clear that Jiajiang qianfoyan in Sichuan Province and the huge statue of Maitreya, in which Avalokiteśvara-Mahāsthāmaprāpta and Vaisravana were produced along with Maitreya Buddha, does not have any contradictions in interpretation of icons.
In Chapter Ⅳ, this study analyzed the statues of Niche 106, Nan-k‘an, Pazhong in Sichuan Province and the inscriptions, and pointed out that Śākyamuni was produced as the benshi of the Healing Buddha, and it was related to the records of 『The Meditation Sutra』, that is, the aspiration to be reincarnated in paradise, i.e. the pure land of Amitābha, will become a reality if you listen to the merits of the Healing Buddha, and thus you can go to the pure land dut to the eight bodhisattva on your deathbed. As for the composition of Bhaiṣajyaguru·Kṣitigarbha·Avalokiteśvara, this study found that they were produced within the context of the popular icons (圖像) of Amitābha·Kṣitigarbha·Avalokiteśvara, and these statues resulted from the reflection of the strong aspiration for 「magical (呪術的) gains in this world (現世利益)」 of Bhaiṣajyaguru and the 「strong aspiration for rescue from the hell (冥府救済)」 of Kṣitigarbha. Lastly, the statues of Niche 14, bei-ka‘n, Pazhong in Sichuan Province or Anyue qianfozhai Cave 16 in Sichuan Province are in the 「Illustration of Bhaiṣajyaguru-sũtura」, not the 「Illustration of Bhaiṣajyaguru’s paradise」, and this expression method is showing an aspect of the peculiar Yakushi religion of the Sichuan area.
Chapter Ⅴ introduces examples of the Juxtaposed Images of a Buddha and the Celestial Worthy, which was popular in the Sichuan area during the Tang dynasty, and took a close look at the statues produced in Pazhong in Sichuan area, and examined changes in arrangement of the statues of Buddha (佛像) and icons (道像). As a result,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left or right-oriented change in the arrangement of the statues of Buddha reflected changes in the imperial family of Tang as confirmed in Tanghuiyao 49 「Sengdaoliyi」. Also, with regard to the background of the continued popularity of the production of the Juxtaposed Images of a Buddha and the Celestial Worthy (佛・天尊並列像) in the Sichuan area, this study reviewed the writings of Baoqiong and Huikuan who worked in the Sichuan area, and tried to understand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and Taoism, and for that matter, the complex nature of the popular beliefs of the Sichuan area. This study found that a religious function, i.e. rescue from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was expected at the base of the complex popular beliefs as the statues of Buddha and icons were expressed together.
Part of the Buddhist sculpture of the Sichuan area in the Tang period were examined, a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the popularity of certain icons found in the Sichuan area and their composition le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ddhist sculpture of the Sichuan area.

.

이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의뢰한 사천지역 불교조각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