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과 행복지수 번역

 

삶의 질과 행복지수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삶의 질과 행복지수 번역

삶의 질과 행복지수 번역(한국어 원본)

인간의 삶에 있어서 물질적 안정과 경제적 풍요와 같은 양적 측면이 강조되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사회 구성원의 행복 수준, 만족 수준 등과 같은 질적 측면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특히, 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다른 사회구성원들을 공평하게 선발하는 데 초점을 두었던 다양성 관리의 시각이 가치․선호체계 및 문화적 배경이 다른 이질적인 조직 구성원들의 욕구체계를 포용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충족하기 위한 전략적 개념으로 확장되면서 삶의 질은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함께 조직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이렇게 삶의 질이 조직․국가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척도로 고려되면서 다양한 기관에서 자체적인 평가 지표를 마련하여 국가별 삶의 질 수준을 평가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유엔개발계획(UNDP)은 국민소득, 교육수준, 평균 수명, 유아 사망률 등과 같은 객관적 통계 지표를 바탕으로 국가 별 삶의 삶 질 수준을 평가한 ’인간개발지수(HDI)’를 발표한다. 2013년 발표에서 우리나라는 세계 12위로 나타나 상위 그룹에 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국민 개인이 느끼는 주관적 인식을 바탕으로 삶의 질을 평가하는 영국 신경제재단(NEP)의 ‘행복지수(HPI)’에서 우리나라의 순위는 63위로 하위 그룹에 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한국경제, 2013). 이는 우리나라의 삶의 질 수준이 물질적 지표에 가까운 사회의 안정성, 쾌적성, 능률성 등은 상위권에 속하지만 심리적 지표라고 할 수 있는 행복감, 만족감, 도덕성 등은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적자원관리의 시각에서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근로자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선행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직적․사회적 차원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양성 관리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삶의 질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삶의 질 개념 정의에 관한 연구,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삶의 질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선행 연구 검토 결과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는 개인의 행복도, 만족도와 같은 주관적 측면보다는 사회적 안정성, 쾌적성, 능률성 등과 같은 경제적․물질적 지표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삶의 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역시 선행요인으로서 다양한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을 개인이 일상 생활 속에서 느끼는 행복도와 만족도를 의미하는 개인적 차원의 삶의 질과 복지 수준 향상을 위해 국가가 제공하는 복지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의미하는 사회적 차원의 삶의 질 등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지표로 삶의 질을 개념화 하고자 하였다.
또한 삶의 질 영향요인 규명에 있어, 기존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었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경제적 특성 이외에 자아존중감과 우울감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요인과, 신뢰, 호혜성 등과 같은 사회 자본적 요인을 포괄적으로 다룸으로서 연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뿐만 아니라, 2008년 경제위기 전후 삶의 질 수준 및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시간차원을 3개년도로 구성하여 분석함으로서 경제적 환경 변화에 따라 삶의 질 수준 및 영향요인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모형을 살펴보면 <그림 1>과 같다. 삶의 질 결정요인은 인구통계학적 요인, 개인 심리적 요인, 사회적 요인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1단계 투입변수인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혼인상태, 일자리 유형 등을 포함하며, 2단계 투입변수인 개인 심리적 요인은 긍적적 심리 상태를 의미하는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심리 상태를 의미하는 우울감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3단계 투입변수인 사회 자본적 요인은 타인 신뢰, 호혜성 등을 포함한다.
또한 종속변수인 삶의 질 요인은 일상생활에 있어서 개인이 느끼는 만족감과 같은 개인적 차원의 삶의 질과 사회적 안정성과 쾌적성을 의미하는 사회적 차원의 삶의 질 등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특히, 시간차원을 3개년도(선행요인: 2006년~2007년, 2008년~2009년, 2010년~2011년/ 결과요인: 2008년, 2010년, 2013년)로 구성하여 분석함으로서 2008년 경제위기 전후 삶의 질 수준 및 영향요인의 차이성을 시계열적 방법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가설은 <표 1>과 같다. 첫 번째 차원은 인구통계학적요인과 삶의 질 간의 관계 검증이다. 이에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라 삶의 질 수준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 <H 1>~<H 2>를 설정하였다.
두 번째 차원은 개인 심리적 요인과 삶의 질 간의 관계 검증이다. 이에 개인 자아존중감은 삶의 질에 정(+)의 영향을, 우울감은 삶의 질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H 3-1>~<H 6-1>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지패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한정하고자 한다. 분석에 있어서는 선행변수가 결과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 및 경제위기 전후의 삶의 질 수준 비교를 위해 2006년부터 2013년까지의 자료를 3년 단위로 3개의 표본(1차: 2006년~2008년, 2차: 2008년~2010년, 3차: 2011년~2013년)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근로자와 인사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통해 설문조사의 한계를 보완하고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유용한 관리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삶의 질과 행복지수 번역(영어 번역본)

Unlike the past when quantitative aspects of our lives like materialistic stability and economic wealth were emphasized, qualitative aspects like the happiness level or satisfaction level of a society’s members are being emphasized recently. Especially, when it comes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an organization, diversity management, which used to focus on equally selecting community members with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mbraces the demands of members who have different value․preference systems and cultural backgrounds. Expanding into a strategical concept that sufficiently satisfies such approach, quality of life is being considered as a core factor that determines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along with work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focus.
As quality of life is being considered as an important measure that determines the competitiveness of an organization․country, various institutions have created their own evaluation indices and are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 level for each country. Most notably,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UNDP) announces the Human Development Index(HDI) that evaluates the quality of life level based on objective statistical indicators like national income, educational level, average lifespan, infant mortality. In 2013, South Korea was 12th in the world and included among the top ranked group of countries. However, according to the ‘Happy Planet Index’ announced by UK’s New Economics Foundation, which evaluates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subjective awareness felt by individuals in each country, South Korea was ranked 63th and in the bottom ranked group.(Hankyeong, 2013). This indicates that while Korea is among the top countries in terms of stability, comfort, and efficiency of the society, which can be considered as materialistic indices, it is at a very low level in terms of happiness, satisfaction, ethics which can be regarded as psychological indi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define the precedence factors that determine the quality of life of workers participating in economical activities from a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spective and based on this, deduce a diversity management strategy to enhance quality of life on an organization․society level.
Studies on quality of life can be categorized into studies that define quality of life, studies that develop measures, and studies that define the influential factors of quality of life. Especially, a review on previous studies show studies on developing measures focus on economical․materialistic indices such as societal stability, comfort, and efficiency rather than subjective aspects like individual happiness or satisfaction. Also, studies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quality of life do not comprehensively consider various factors as precedence factor.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compose quality of life into two dimensions, quality of life on a personal dimension which indicates happiness and satisfaction that an individual feels in his daily life, and life of quality on a societal dimension which indicates satisfaction about welfare service that the country provides to enhance the level of wellness. Through this, we aim to conceptualize quality of life with a more subjective and psychological index.
Also, we will enhanc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by considering not only demographic and economical characteristics, which have been significantly covered in previous studies, but also comprehensively considering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factors like self-esteem or depression or social capital factors like trust, reciprocality to define the influential factors of quality of life.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the quality of life and its influential factors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2008, we set the time dimension of the precedence factors and result factors with three-year intervals and aim to observe how the quality of life and influential factors differ depending on change in economical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research model is shown in <Figure 1>. The factors that determine quality of life are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such as 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Demographic factors, which are variables applied in Phase 1, include gender,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occupation type, and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which are variables applied in Phase 2, include self-esteem, which signifies a positive psychological state, and depression, which is a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Social capital factors, which are variables applied in Phase 3, include trust from others and reciprocality.
Also, quality of life factors,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were separated into quality of life on a personal dimension such as the satisfaction one feels in his daily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on a societal dimension which signifies societal stability and comfort.
The research hypothesis is shown in <Table 1>. The first dimension is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we set the hypotheses <H 1>~<H 2> that the quality of life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factors.
The second dimension is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psychological factor and quality of life. Consequently, we set the hypotheses <H 3-1>~<H 6-1> that an individual’s self-esteem has a positive(+) influence, and depression has a negative(-) influence on one’s quality of life.
In this study, we aimed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welfare panel study data. Especially, we will limit our research subject to men and women participating in economical activities. In terms of analysis, we aim to divide the data from 2006 to 2013 into three different samples, with three years for each unit (1st: 2006~2008, 2nd:2008~2010, 3rd: 2011~2013) in order to compare the time difference which the precedence variable impacts the resulting variable and the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this study, we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a survey and aimed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research by interviewing laborers and human resource experts who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economical activities. Through this, we believe a more useful administrative implication can be drawn.

.

이상 경북대학교에서 의뢰한 삶의 질과 행복지수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