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현상 번역

 

소비현상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소비현상 번역

소비현상 번역(한국어 번역)

90년대 말 외환위기 이후 나타난 소비시장의 양극화 현상은 2000년대 이후, 특정한 한 개인의 소비 안에 고가나 저가의 상품 비중이 늘어나는 개인적 소비의 양극화현상으로 점차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양면적 소비현상은 소비자가 상품에 부여한 소비가치의 다양화와 개인화에 기인하며, 200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기업에게는 변화하는 소비자의 행동연구를 통해 소비자 요구에 맞는 상품 또는 마케팅전략 등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의류학 분야에서 양면적 소비에 대한 연구는 의류가 3편, 화장품이 1편으로 연구의 양과 분야가 미비하며, 특히 화장품의 경우 일관된 기준에 의한 상표분류 조차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자기 연출을 가능하게 해주는 미적 표현의 중요한 도구로서 유사한 상품특성을 가진 화장품과 의복의 양면적 소비행동에 대한 관련성 연구는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를 하고자 한다.
1. 화장품소비가치의 차원을 밝히고, 화장품소비가치에 따라 연구대상자 집단을 유형화한다.
2. 화장품소비가치 집단에 따른 화장품 상표선택의 차이와 양면적 화장품 소비태도의 차이를 밝힌다.
3. 상품유형별 화장품 상표선택의 차이와 점포이용 실태를 밝힌다.
4. 연령에 따른 화장품 상표선택의 차이와 점포선택의 차이를 밝힌다.
5. 양면적 의복소비태도에 따른 양면적 화장품소비태도의 차이를 밝힌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실증적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008년 1월부터 2월까지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427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한 통계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주성분분석, Varimax 직교회전을 이용한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신뢰도 검증방법, 군집분석, ANOVA test와 Duncan test, paired t-test와 t-test, 빈도분석과 χ2-test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내용에 관한 연구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소비현상 번역(영어 번역본)

The polarization of the consumer market, which emerged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has been gradually getting worse since 2000, segueing into the polarization of personal consumption. That is, a certain individual buys more high-priced or low-priced products. This ambivalent consumption pattern is at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and personalization of the consumption values consumers give to products, and has continued to appear since 2000. Accordingly, enterprises need to study changing consumer behavior to come up with product or marketing strategies suited to consumer needs. Despite the necessity of such a study, however, only a handful of studies on ambivalent consumption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 of clothing and textile: 3 studies on clothing, and one on cosmetics. There is a long way to go both in terms of quantity and topics. When it comes to cosmetics, in particular, brands are not classified according to a consistent set of standards. Also,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bivalent consumption behaviors in clothing and cosmetics, which have similar product characteristics as important means of esthetic expression enabling diversified self-presentation.
Therefore, the following studies are attempted in this paper:
1. Identifying the dimensions of cosmetics consumption values, and segmenting the subjects by cosmetics consumption value;
2.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brand selection between cosmetics consumption value groups, and the differences in ambivalent cosmetics consumption attitude;
3.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brand selection by product type, and how consumers use stores;
4.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cosmetics brand selection and store selection by age; and
5.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ambivalent cosmetics consumption attitude by ambivalent clothing consumption attitude.
This study is divided into a theoretical study and an empirical study. In the empirical study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emales aged 20 plu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08, and 42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data analysis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actor analysis using Varimax rotation, Cronbach’s α reliability testing, cluster analysis, ANOVA test와 Duncan test, paired t-test와 t-test, frequency analysis and χ2-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이상 건국대학교에서 의뢰한 소비현상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