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축도시 번역

 

압축도시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압축도시 번역

압축도시 번역(한국어 원본)

압축도시 이론은 urban sprawl에 대한 회의로 등장하였으며 지속가능한 도시의 한 형태로 발전하게 되었다. 압축도시에 관한 찬반 입장에 대한 논란이 있었는데 교통, 에너지 사용, 환경문제에 관해 일관된 의견으로 수렴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압축도시는 차량 의존도가 낮아 에너지 소비를 줄여 결국 오염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오히려 교통 체증을 유발하여 연료 소비를 증가시키고 대기질을 악화시킨다는 이견도 있다.
이러한 주장들은 압축도시를 대표하는 밀도를 어떻게 해석하였는냐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압축도시는 high-density city, mixed-use city, intensified city 의 세가지 유형으로 묘사되기도 하는데 이들 중 고밀도시가 가장 흔한 해석이다. 대다수의 연구들은 gross density, net density, residential density 등을 혼용해서 사용해 왔으며, 어떠한 밀도 유형이 압축도시를 대표한다는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채 이루어졌다. 압축도시에 관한 여러 가지 해석을 쏟아 내고 있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압축도시를 대표하는 밀도(density)를 어떻게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밀도 지표를 시가화지역의 녹지 밀도-시가화지역 면적당 녹지 면적- 와 시가화지역의 가구밀도-시가화지역 면적당 가구 수-로 한정하고 자 한다. Gross density measures reveal little about density of built up area of a city and the density of built-up area (net density) may not reflect the density at which people actually live (Burton, 2002). 도시 개발에 따른 오픈 스페이스의 손실과 사회-경제-환경적으로 미치는 누적적 영향은 district뿐만 아니라 도시 전체에 걸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그곳에 사는 실제 거주자들의 삶을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대기오염물질은 크게 가스상 오염물질과 입자상 오염물질로 나뉜다. 가스상 오염물질은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처럼 배출원에서 직접 나오는 일차 오염물질과 광화학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2차오염물질은 오존이 있다. 입자상 오염물질은 직경에 따라 몇 가지로 구분되는데, 대표적인 것은 직경 10㎛의 물질 (PM-10)이다.
오염물질마다 대표적인 배출원이 다른데, 아황산 가스와 미세먼지는 주로 화학연료의 연소과정에서 생성되는데, 후자의 경우 동식물의 사체나 먼지, 모래, 암석, 화산재 등의 자연적 배출원이 있다. 이산화질소와 일산화 탄소는 차량이나 산업공정 등에 의해 발생하는데, 차량에서 배출된 질소 산화물은 광화학 반응을 거쳐 오존 생성에 크게 기여한다. 오존은 또한 solvent facilities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시 대기오염은 오염물질의 spatial variability와 분산 과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분산 과정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풍향, 풍속, 대기 난류 등의 metrological condition에 따라 달라지는데, meterological parameter에 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topographical sitting과 urban structure이다. 대기 분산 효과는 도시 규모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결국 지표면 거칠기에 의해 좌우된다. 지표면 거칠기가 커지면 turbulence level을 높이게 되고 결국 매연의 확산을 일으켜 오염농도가 감소하게 된다. 배출원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최고 농도가 나타나며 배출원 인근이나 혹은 최고 농도 지점 이후에서는 농도가 감소하는데 이것이 바로 대기 분산의 효과에 기인한 것임을 입증한다.
대기오염 저감과 관련해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바로 녹지이다. 도시 내 아주 작은 규모의 오픈 스페이스도 오염물질의 분산에 기여해서 오염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특히 시가지 내의 소규모 오픈 스페이스의 가치를 염두해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도시 구조 특성과 환경 간의 관계를 다룬 선행연구들은 대체로 urban form과 urban spatial structure에 대한 명확한 정의 없이 사용하고 있다. 이는 도시의 작동원리와 도시의 공간적 구조화(organizaiotn)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빚어진 일이라 할 수 있다. 도시 환경문제를 다루는데 있어서, 특히 도시 구조와 환경적 영향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과 해석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Urban form과 urban spatial structure라는 두 가지 용어에 대한 적절한 이해를 얻기 위한 시도들이 있었는데 가장 보편적인 해석은 다음과 같다. Urban form은 토지이용의 공간적 패턴 혹은 토지이용의 개별 요소들에 대한 arrangement 이고, spatial structure는 changes in arrangement and extension of urban form 이나 spatial distribution으로 논의 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urban form과 urban function (that is action to integration the spatial pattern and behavior of individual land uses) 을 동시에 가지는 것으로 정의된다.
고밀(압축도시)와 대기오염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대부분 urban form의 elements 나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중의 하나로 고밀 변수 선택하였다. 고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로 해석되는 도시 구조에 대한 정의가 필요한데 이에 대해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시 개발에 따른 도시의 공간적 배치나 토지이용에 관심을 바탕으로 이들이 환경 특히,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urban structue에 대한 두 용어 중 urban form에 국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에 맞다고 판단된다.
06년까지 데이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제조업 중분류 기준이 (no of establishments by industry division)이 2006년까지는 5인 이상이었으나 07년부터는 산업분류 개정에 따라 10인 이상으로 변경되어 중분류로 선정된 제조업수가 급격히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압축도시 번역(영어 번역본)

Compact city theory emerged from skepticism about urban sprawl and developed as a form of sustainable city. There has been a dispute between the supporting and opposing sides of compact cites, which is not converging into a coherent view regarding traffic, energy usage, and environment problems. For example, there’s a claim that because compact cites have a low dependency on vehicles, they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eventually decrease pollution emission, while there’s also an opposing argument that it could actually induce more traffic, increase more gas consumption, and aggravate the air quality.
Such arguments are different in how they have interpreted the density that represents compact cities. Compact cities can be described into three types, high-density city, mixed-use city, and intensified city, and high-density city is the most typical interpretation among them. Most researches have mixed the terms gross density, net density, and residential density, and were conducted without providing evidence that shows what density type represents compact cities.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compact cities have been made, but what is most important is answering the question of how to appropriately define and measure the density that represents compact cities.
In this research, density index is limited to green zone density of urban district-green zone area per urban district area- and household density of urban district-number of households per urban district area-. Gross density measures reveal little about density of built up area of a city and the density of built-up area (net density) may not reflect the density at which people actually live (Burton, 2002). Because loss of open space due to city development and socially-economically-environmentally cumulative influence can occur not only on a district but across the entire city, it is believed to be necessary for reflecting the lives of actual residents in the place.
Air pollutants are largely divided into gas pollutants and particle pollutants. For gas pollutants, there are primary pollutants that come out directly from emission sources such as sulfur dioxide, nitroge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and secondary pollutants that are produced by photochemical reaction such as ozone. Particle pollutants can be categorized into several types depending on the diameter, and the most representative type is a substance of 10㎛ diameter (PM-10).
The main emission source is different for each pollutant; sulfur dioxide and particulate are mainly produced from the burning process of chemical fuels, and in the case of the latter, it has natural emission sources such as debris of animals and plants, dust, sand, rocks, volcanic ashes. Nitroge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are created by vehicles or industrial processing, and nitrogen oxide that is emitted from vehicles contributes greatly to ozone production by going through photochemical reaction. Ozone is also known to be influenced greatly by solvent facilities.
City air pollution is influenced by the pollutants’ spatial variability and dispersion process. The dispersion process as is well known, differs depending on meteorological conditions like wind direction, wind speed, atmospheric turbulence, but those that influence the meteorological parameter are topographical sitting and urban structure. Atmosphere dispersion effect diffe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city but ultimately, it is decided by the surface roughness. If the surface roughness gets larger, it raises the turbulence level, which eventually spreads smoke and reduces pollution concentration. Concentration is highest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emission source and decreases close to the emission source or beyond the highest concentration point, and this proves that it originates from the atmosphere dispersion effect.
One thing that cannot be left out, regarding air pollution reduction, is green land. It has been found that even very small open space in the city can contribute to the dispersion of pollutants and reduce pollution concentration, and this especially suggests that the value of small open space within the city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Previous researches that 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mostly use the terms ‘urban form’ and ‘urban spatial structure’ without a clear definition. This is caused because of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urban operation principle and urban spatial organization. In dealing with urban environment problems, even approaching and interpreting the problem will be difficult especially without an understand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urba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impact.
There have been attempts to gai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he two terms ‘urban form’ and ‘urban spatial structure’, but the most universal interpretation is the following. Urban form is the arrangement of spatial patterns of land use or the individual of land use, while (and while) spatial structure is discussed as changes in arrangement and extension of urban form or spatial distribution, it is generally defined as having but is generally defined to have both urban form and urban function (that is action to integration the spatial pattern and behavior of individual land uses) at the same time.
Previous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density (compact city) and air pollution mostly selected one of urban form’s elements or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as a high density variable. In most previous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density (compact city) and air pollution, high density was selected as an element of urban form or characteristic o spatial structure. A definition on urban structure that is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s necessary to measure high density, but such consideration is currently insufficient. Based on an interest in urban spatial arrangement or land use due to urban development,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how they influence the environment, especially air quality. Therefore, it is viewed that among the two terms on urban structure, limiting to only urban form coheres with the intention of this research.
The reason why it is inevitable to use data only up to 2006 is because the manufacturing industry division standard was 5 or more people until 2006, and from 2007, following the change in industry classification, it changed to 10 or more people and therefore, the number of establishments classified in the industry division dropped drastically.

.

이상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에서 의뢰한 압축도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