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번역

 

에세이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 번역)

 

에세이 번역

에세이 번역(한국어 번역)

위의 문구는 Al Gore가 1998년 발표한 “The Digital Earth : Understanding our planet in the 21st Century” 연설문의 일부 구절입니다. Digital Earth는 디지털화 된 지리정보 기반에서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는 정보들이 집약되고 표출되는 공간입니다. 저는 사회가 이러한 Digital Earth의 환경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공간정보를 편하게 활용하는 사회로 진화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회 흐름과 연계하여, 저는 지리정보 전문가가 되어 지리정보를 다양한 플랫폼(Platform)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Framework)를 구성하고 싶습니다. 또한, 일반 사용자들이 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유용한 서비스 컨텐츠(Service contents)를 기획하고 구현하고자 합니다.
제가 지리정보과학 분야에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할 때는 대학 2학년때 측량 수업을 수강하면서 입니다. 측량학 교수님께서는 의사결정에서 “어디”의 개념의 중요성을 강조하셨고 공간상에서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여러 기술들을 가르치셨습니다. 그의 강의를 바탕으로 저는 지리정보의 중요성을 지각하였고 지리정보의 미래 활용방안에 관하여 고찰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저는 지리정보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하고 미래의 로드맵을 구상하였습니다. 저는 훌륭한 지리정보 과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학술분야, 과제수행 분야, 프로그래밍 분야, 데이터 처리 분야의 경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저의 로드맵을 구상하였습니다.
시작하자면, 저는 지리정보 과학분야의 전문화된 학술적 지식을 얻기 위하여 노력하였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지리정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인하대학교에서 학사 및 석사를 취득하였습니다. 특히, 저의 대학원 전공은 지리정보 공학이었습니다. 저는 학부 및 대학원 과정에서 지리정보과학 관련 다양한 과목을 수강 하였습니다. 지리정보의 기초인 위치를 결정하는 “측량”과목에서부터 데이터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지리정보를 활용한 시스템 구성을 위한 “GIS” 과목까지 전체적인 지리정보 과학에 특화된 지식을 습득하였습니다. 저의 지리정보 분야에서의 학업 성취도는 대학원 때의 학점(4.38 – 4.5 만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어서, 학술적 이해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과업을 수행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3년 동안의 사회경력을 쌓았습니다. 석사학위를 취득 후, 저는 지리정보 분야에 특화된 ㈜한국공간정보통신에 취업을 했습니다. 3년의 기간 동안 약 16건의 연구 및 상업 과제들에 투입되어 과업의 기획에서 완공에 이르는 전 과정의 경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제가 주로 투입된 과업은 웹(Web) 환경에서 3차원 지도 서비스를 구축하는 사업이었으며 3년동안 연속적으로 수행한 서울시의 3차원 지도 서비스(www.3dgis.seoul.go.kr)가 대표적인 예 입니다. 저는 다양한 과업 수행 경험을 통하여 사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유용한 컨텐츠를 설계 및 구현하는 능력을 키웠습니다.
덧붙여서, 지리정보과학의 이론을 디지털 환경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능력을 키워왔습니다. Digital Earth의 등장에서 확인할 수 잇듯이, 지리정보의 디지털 화는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프로그래밍 기술은 지리정보과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대학원 졸업 논문을 쓰기 위하여 LiDAR 데이터를 활용한 건물 모델링 프로그램을 C++ 언어로 구현을 하였습니다. 회사에서는 IntraMap(상용 GIS 소프트웨어)의 모듈 개발을 수행하면서 C#, JAVA, JSP 등의 언어를 습득하였습니다.

에세이 번역(영어 번역본)

The above phrase is a quote from Al Gore’s 1998 speech entitled “The Digital Earth: Understanding our planet in the 21st Century.” The Digital Earth refers to the space where a variety of information, which can be utilized by people, is collected and expressed on the basis of digitalized geographic information. I believe that the society is evolving into one in which people can readily use geographic information based on Digital Earth without temporal and spatial restrictions. In connection with these social trends, I would like to become a geographic information expert, and establish a framework for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on various platforms. I also want to design and plan practical service contents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readily available to the general public.
It was when I was taking a class on surveying in my sophomore year in college that I began to take interest in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Prof. Cho, who taught the clas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wher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taught several techniques for determining accurate positions in space. His teachings helped m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to begin to study future applications of geographic information. Then, I made up my mind to become a geographic information scientist, and came up with my own road map for the future. Believing that becoming a great geographic information scientist requires academic knowledge, experience in projects, programming capabilities and data processing skills.
I earned my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at Inha University best known in geographic information in Korea. To be more specific, I majored in geoinformatics engineering in the graduate school. I took various classes related to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at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 More specifically, I acquired extensive knowledge of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ranging by taking classes on surveying, which determines positions, the found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database” for efficient data management, and “GIS” for constructing systems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My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ield of geographic information can be confirmed by my GPA in graduate school, i.e. 4.38 out of possible 4.5.
Next, to improve my ability to carry out practical projects based on my academic understanding, I gained working experience for 3 years. After obtaining my master’s degree, I joined Korea GeoSpatial Information & Communication (KSIC) Co., Ltd. a company specializing in geographic information. During my 3-year stint at KSIC, I was involved in about 16 research and commercial projects, and gained experience in all aspects of carrying out a project from planning to completion. I spent most time working on projects to implement 3-dimensional map service in the web environment,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3-dimensional map service of Seoul (www.3dgis.seoul.go.kr), in which I was involved for 3 consecutive years. Having experienced various projects, I improved my ability to understand the needs of users and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actical contents.
Furthermore, I have developed my programming skills so that I can put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theories into practice in the digital environment. As suggested by the emergence of the Digital Earth, digitaliz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is taking place at an accelerated pace. Against this background, I am sure that programming skills hold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 In the process of writing my master’s thesis, I developed a three dimensional building roof modeling program using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in C++. At KSIC, I learned programming languages like C#, JAVA and JSP while developing IntraMap (commercial GIS software) modules.

.

이상 인하대학교에서 의뢰한 에세이 번역(한영 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