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학조사 번역

 

역학조사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역학조사 번역

역학조사 번역(한국어 원본)

역학조사에 의하면 포천지역 1차 발생농장에 동북아시아 국가 출신 근로자가 ’09년 10월 30일에 입국하여 소독 등 방역조치 없이 직접 농가에 고용되었다. 또한 상기인에게 ’09년 11월 23일 구제역 바이러스에 오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국제우편물(소포)이 동북아시아 국가에서 반입되었다. 동북아시아 국가에서는 ‘09년도에 구제역 바이러스 A형이 집중적으로 발생되었고 포천지역에 발생된 구제역 바이러스 A형에 대한 유전자(VP1) 분석 결과, 동북아시아에서 비슷한 시기에 발생된 구제역 바이러스 A형과 97.64% 동일하다는 점과 1차 발생농장이 포천지역 발생농장 중 유일하게 외국인을 고용하고 있다는 점을 볼 때 1차 발생농장이 원발농장이며 유입원인은 외국인 근로자의 직접 고용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포천․연천지역에서의 발생농장 간 전파원인은 진료, 모임, 방역종사 후 자가 한우 사육농장의 당일 사료급여 등으로 추정되며 근거는 다음과 같다. 1차 발생농장(원발농장)에서 진료한 자가 2차 발생농장에서 진료하였고 1차, 3차, 4차, 6차 발생농장의 농장주가 거의 매일 한 곳의 장소에서 모임을 가짐으로써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5차 발생농장(연천지역)과 동일한 축사 내에서 한우를 사육하는 사람이 방역활동 후 소독 등을 하지 않고 바로 자신이 기르는 한우에 사료를 급여한 것도 전파원인으로써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포천․연천 지역에 발생한 구제역 바이러스(A형)는 발생 농장 간 유전적 상동성이 1차 발생 농장을 기준으로 99.84 ~ 100%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것은 원발농장으로 유입된 바이러스가 다른 농장으로 전파되어 발생되었음을 의미한다.
4월 8일 인천광역시 강화군 소재 한우 농가를 방문한 임상 수의사가 입, 유두에서 수포를 발견하고 인천 가축위생시험소에 구제역 의심신고를 하였다. 가축위생시험소에서 현장확인 후 가축이동통제 및 외부인 출입차단 등 긴급방역조치를 실시하고 수의과학검역원에 구제역 의사환축발생을 보고하였다. 검역원에서 4월 8일 해당 농가를 방문하여 수포, 유연, 혀 궤양 등 구제역 유사증상을 확인하고 시료채취 후 정밀검사를 실시하였다. RT-PCR, ELISA, 염기서열 분석(sequencing) 등 검사결과 4월 9일 최종 구제역(O형)으로 판정되었다. 이번 경우는 최초 신고 후 시료채취 및 진단까지 16시간 만에 이루어지는 등 신속한 초기대응이 가능하였다.
이후 4월 9일 3건(한우 2, 돼지 1), 4월 10일 한우에서 추가로 구제역이 확인되었다. 강화도는 Fig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섬 지역으로 육지와 2개의 다리(강화대교, 초지대교)로 연결되어 있어 내륙지역으로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 교통을 통제하고 집중적인 소독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일 지역에서 2~5차 발생에 따라 발생지역내 구제역 바이러스가 상당부분 오염된 것으로 판단하여 1차 및 3차 발생농장 기준 위험지역(3km 이내) 우제류 사육가축을 전 두수 살처분 하였다. 살처분 동물에 대한 시료를 채취하여 검사한 결과 16농가에서 양성동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3-4).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4월 19일 1차 발생농장과 5.3km 떨어진 인근 김포시 젖소농가에서 구제역이 추가로 확인되었고(IP 6) 4월 21일 136km 떨어진 충주지역 돼지농장에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IP 8). 돼지에서 발생한 점과 내륙지역으로의 추가 확산을 우려하여 충주지역 발생농장 인근 3km 이내 우제류 가축을 모두 살처분 하였다. 4월 30일 충남 청양에 소재한 도 축산기술연구소에서(IP 10), 5월 6일 청양 한우 농장(IP 11)에서 추가로 구제역이 발생하였다(Table 3-3).
구제역 방역실시요령에 따라 살처분이 끝난 날부터 3주가 지난 후 임상검사 및 혈청검사 결과 이상이 없으면 이동제한 등 방역조치를 해제하는데, 이에 따라 강화․김포․충주 경계지역은 5월 27일, 강화․김포․충주 위험지역은 6월 7일 이동제한을 해제하였다. 5월 30일 청양 경계지역 이동제한 해제를 위한 혈청검사 과정에서 한우(IP 12) 농장에서 항체 양성반응이 나타나서 위험지역으로 설정하고 나머지 경계지역은 이동제한을 해제하였다.
6월 4일 청양 위험지역(IP 10, 11) 이동제한 해제를 위한 혈청검사 과정에서 멧돼지 농장(IP 13)에서 항체 양성반응이 나타나 이동제한 조치가 2주간 연장되었으며, 지속적인 임상관찰을 실시한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6월 19일자로 이동제한 등 방역조치가 모두 해제되었다.

역학조사 번역(영어 번역본)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FMD outbreaks revealed that the first FMD-stricken farm directly employed a worker from North East Asia entered Korea on October 30th of 2009 without appropriate quarantine measures such as disinfection. Furthermore the above-mentioned person received an international mail (package) from North East Asia on November 23th 2009, which was suspicious of carrying the FMD virus. In 2009, North East Asian Countries were heavily stricken by A-type FMD virus and it was shown there was 97.64% match by the VP1 analysis. Considering that the first FMD-stricken farm was the farm which employed foreign farm workers, the most likely cause of virus introduction was direct employment of a foreign worker.
Transmission of FMD among the infected farms in Pocheon and Yeoncheon counties is assumed to have occurred as the Hanwoo farm owners and workers fed cattle on the same day after they returned from FMD-related examination, meeting and quarantine works. The basis of this assumption is that the veterinarian who examined the first stricken farm also examined the second farm, and the farm owners of first, third, fourth and sixth stricken farms had meetings at a fixed place almost every day. Al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worker who raises Hanwoo at the same farm of fifth outbreak (Yeoncheon county) directly fed his own Hanwoo after quarantine work without disinfection.
A-type FMD viruses that were found at the FMD-infected farms in Pocheon and Yeoncheon showed hereditary homogeneity as high as 99.84~100%, compared to the first FMD-stricken farm. This indicates the virus that initially affected the origin farm wa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other farms.
On April 8th, a clinical veterinarian visited a Hanwoo farm in Ganghwa county of Incheon, discovered blisters in mouths and teats of animals, and reported the FMD suspect animal to Incheon Veterinary Service Laboratory. After visiting the site for confirmation, the Veterinary Service Laboratory swiftly enforced a range of emergency disease control measures such as livestock movement and third-party access restrictions, and reported discovery of suspect animals to NVRQS. NVRQS then conducted further examinations by visiting the corresponding farm on April l8th to confirm the FMD-suspicious symptoms, such as blisters, hyper-salivation and tongue ulcers, and collecting samples. RT-PCR, ELISA and sequencing examinations resulted in positive FMD (type O) diagnosis on April l9th. A prompt and early response was carried out in this instance, as time taken from initial notification, sample collection until the final diagnosis was only 16 hours.
Thereafter, FMD was confirmed in three animals (two Hanwoo and one pig) on April 9th and in one Hanwoo on April 10th. As displayed by Fig 3-4, two bridges, Ganghwa and Choji, connect the Ganghwa Island to the mainland Korea. In order to prevent further proliferation of FMD, traffic control and extensive disinfection were performed. As the second to fifth cases all occurred in the adjacent area, the region was considered to be largely contaminated by FMD virus, and all hoofed and even-toed livestock in the risky zones (within 3km) of first and third FMD-stricken farms were slaughtered. Samples collected from the destructed animals confirmed FMD-positive results from 16 farms (Table3-4).
Despite collective efforts shown, additional cases of FMD were confirmed on April 19th at a nearby dairy cattle farm (IP6) in Kimpo, 5.3km away from first-stricken farm, and on April 21st at a pig farm in Chungju, 135km away from the origin. In order to prevent further contamination of pigs and spread into the mainland areas, all hoofed and even-toed livestock were slaughtered within 3km radius of the FMD-stricken farm in Chungju. Additional FMD cases were found in at the provincial Livestock Technology Institute (IP 10) in Cheongyang, Chungnam, on April 30th, and a Hanwoo farm in Cheongyang on May 6th (Table 3-3).
In accordance with the FMD Quarantine Conduction Guidelines, quarantine measures including movement controls are removed if the clinical and serum examinations after 3 weeks of slaughtering give negative results. Therefore, movement restrictions were removed from the watchful zones on May 27th and from the risky zones on June 7th, in Ganghwa, Gimpo and Chungju.
However, a serum examination to dissolve movement controls from the watchful zones in Cheongyang actually found a positive antibody reaction at a Hanwoo farm (IP 12). The region was declared a risky zone, whereas the movement restrictions were removed from all other watchful zones. A serum examination on June 4th to dissolve movement controls from the risky zones in Cheongyang (IP 10, 11) again discovered a positive antibody reaction at a wild boar farm (IP 13). The movement restriction measure was extended for 2 weeks, and the relevant quarantine measures were all removed on June 19th after consistent clinical observations guaranteed the disease-free situation.

.

이상 농림부에서 의뢰한 역학조사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