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시험 번역

 

유발시험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영어번역)

.

유발시험 번역

유발시험 번역(영어 원본)

The purpose of occupational challenge tests (OCT) is to explore, through a direct observational approach,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occupational agents and asthma. This aim is in keeping with the definition of immunological (or allergic) OA (see Chapter I), which implies that agents causing immunological OA should be able to induce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asthma, including variable airflow limitation,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NSBH), and airway inflammation.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asthma in recent years have clearly outlined the importance of distinguishing between agents that cause airway inflammation and NSBH, described as “inducers,” and those that trigger airway narrowing in subjects with NSBH without inducing airway inflammation, referred to as “inciters” (28). Conceptually, only inducers can be considered as causing asthma, because they induce not only airflow obstruction but also cause airway inflammation and NSBH, whereas inciters increase the frequency of asthma symptoms in those with preexisting or coincidental asthma.
Differentiating immunological OA from work-aggravated asthma is relevant not only for scientific reasons, but also for medical, preventive, and medicolegal pur¬poses. Immunological OA may require complete removal from workplace exposure, because persistence of exposure to sensitizing agents can result in the progressive worsening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asthma and long-term functional impair¬ment (29). Such therapeutic and preventive options are associated with tremendous professional, financial, and social consequences (29). In contrast, asthma symptoms triggered by physical stimuli or irritant substances at work could be managed at a lower societal cost by reducing the levels of irritants to within acceptable limits at work and/ or by optimizing antiasthma treatment. Accepting exacerbation of asthma symptoms at work as an occupationally induced disease would have a considerable financial and psychosocial impact. Nevertheless, there is substantial evidenc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workplace exposure is currently assessed using
objective tests in only a minority of subjects experiencing work-related asthma symp¬toms. This relationship is ascertained in less than one-third of reports to surveillance programs and claims notified to compensation agencies (30-32). Epidemiological data indicate that approximately 10% of adult asthma is attributable to the work environment (33). However, only a low proportion (generally less than 50%) of subjects who experience exacerbation of asthma symptoms at work demonstrate objective evidence of asthma worsening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suspected agent at their workplace or in the laboratory (34-36).

유발시험 번역(한국어 번역본)

직업성 유발시험(OCT)의 목적은 직접적인 관찰 접근법을 통해서 직업성 물질(occupational agents)에 대한 노출과 천식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은 면역성 OA를 일으키는 물질이 가변적인 기류 제한과, 비특이적 기관지 과민성(NSBH: nonspecif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및 기도 염증과 같은 천식의 특유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의 면역성(또는 알레르기성) OA(I장 참고)의 정의와도 맥락을 같이 한다. 최근 몇 년 간 천식의 병리생리학적 기전에 대해 더 잘 이해하게 되어 기도 염증과 NSBH를 일으키는 “유발인자(inducers)”로 설명되는 물질과 기도 염증은 일으키지 않고 피험자에게 NSBH를 통해서 기도 협착을 일으키는 소위 “자극인자(inciters)”에 해당하는 물질을 구별해야 할 중요성이 확실하게 대두되었다(28). 유발인자는 기도 폐쇄뿐 아니라 기도 염증과 NSBH를 유발하는 반면, 자극인자는 기왕증(preexisting) 또는 우연적인 이유로 천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천식 증상의 빈도가 증가되므로, 개념상으로는 유발인자만 천식을 유발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면역성 OA를 직업에 의해서 악화되는 천식과 구분하는 것은 과학적인 이유뿐 아니라, 의료적, 예방적 및 법의학적 이유에서도 적절하다. 감작 물질(sensitizing agents) 노출이 지속되면 천식 고유의 증상이 계속적으로 악화되거나 장기적인 기능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면역성 OA는 작업장 노출에서 완전한 분리해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치료 및 예방 방법은 엄청난 직업적, 재정적 및 사회적 영향과도 연관된다(29). 반면 작업 시 물리적 자극이나 자극 물질로 유발되는 천식 증상은 작업 시 자극제의 범위를 허용 한계 이내로 감소하도록 하고/또는 항천식 치료를 최적화하여 보다 적은 사회적인 비용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작업 시의 천식 증상이 직업상 생겨난 질병으로 악화되었다고 인정을 하면 막대한 재정적 심리사회적 충격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작업과 관련된 천식 증상을 경험한 소수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객관적인 시험을 하여 천식과 작업장 노출의 관계에 대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는 상당한 증거가 있다.
이와 같은 관계는 감시제도에 보고되어 보상기관에 통지된 청구 건수의 1/3 미만에서 확인할 수 있고(30-32), 역학 데이터에 의하면 성인 천식의 약 10%는 작업 환경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33). 그러나 작업 시 천식증상이 악화된 경험이 있는 환자 중 낮은 비율만이(일반적으로 50% 미만) 작업장이나 실험실에서 의심 물질에 노출 될 때 천식이 악화된다는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한다(34-36).

.

이상 중앙대학교에서 의뢰한 유발시험 번역(영어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