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국가 학술논문 번역

 

이상국가 학술논문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중국어번역)

 

이상국가 학술논문 번역

이상국가 학술논문 번역(중국어 원본)

第二章整理了关于东西方的黄金世界,千年王国,福地洞天,乐土和仙境等理想国代名词的来源及其结构分析。对东西方不同的理想国构造进行了对比后,笔者得出西方的理想国主要是以斗争获取权力为主,而东方则主要求避世和平,以想象构造蓝图;而东西方不同理想国思想产生的共同点,则是均出现于混乱时期,时代越是混乱,人们对于理想国的追求就越是强烈。

第三章则是对于首个分类:虚无缥缈的仙境开始着手,以瞿佑的<水宫庆会录>和金时习的<龙宫赴宴录>为主要研究对象。首先笔者对两位作者的生平,主要是仕途进行分析,并研究了两篇作品诞生的时代背景。两作品虽为类似,但由于作者的时代经历不同,还是有一定的内容差异。在思想内容上,引入瞿佑的道仙思想在文中的道家用词,人物形象等具体表现,以及金时习的儒家王道主义思想以及随后不得志而流露出的道家隐遁思想。
幻想型理想国是对于道仙思想与现实的一个愿望投影,是对幻境的一个具象化,使得人们在战乱年代或不得志的状态下也可以抱有能够修道成仙的思想境界,将真人,神人与凡人的对接,让人们在失望中寻求一丝幻想的希望。

第四章则是对于第二种理想国,即世外仙境的分析。并以陶渊明的<桃花源记>及李仁老的<青鹤洞记>为分析对象。首先对其作者生涯及作品诞生背景进行分析,其次是关于描述渔夫对<桃花源记>的探访及作者本人对<青鹤洞记>的探寻进行研究比较,在思想方面,笔者认为<桃花源记>更倾向于墨子的兼爱思想,而李仁老则表达出清淡的老庄思想。而混乱时期的隐士文化及文人流露出的隐逸思想更成为这类避世型理想国的主导思想。它一方面及其读者对现存社会合理的怀疑,另一方面激起了人们对创造合理性社会的愿望:人们都能自觉劳动并创造自身发展的条件,闪耀着人道主义的光辉。

第五章是针对第三类理想国,即现实反抗。并以施耐庵的<水浒传>及许筠的<洪吉童传>为分析对象。在对作者生涯及领袖人物宋江,洪吉童在历史中的真实背景进行阐述后,对于作品中的理想国“梁山泊”及“律岛国”的未完成性进行分析研究,即“梁山泊”由于其本身社会体制形态导致最终失败,而“律岛国”则由于作者所处社会及其地位限制而只能停留于类似尧舜时代理想国的再现。在思想上,引入“游民”这一特殊群体并对其文化中对于理想社会的要素进行分析,反映民众对于理想国的憧憬。游民的理想社会虽具有空想性质,但由于它相较于前两类理想国更具现实性和可实现性,使后世广大民众对此无限神往。

从虚无缥缈的天上仙境到亦真亦幻的人间圣地再到着实于现实社会的改革性理想国,可以看出理想国在空间位置上的逐渐现实化,即逐步将遥不可及的乌托邦一步步的通过文学作品描绘成了可以实现的现实社会。而这些理想国均为百姓对于理想社会的一种祈求和愿望,从而对我们当今社会如何发展如何完善起到了一定的启示作用。

이상국가 학술논문 번역(한국어 번역본)

제2장은 동서양의 황금세계, 천년왕국, 복지동천, 낙토와 선경 등 이상국가 대명사와 관련한 출처와 그 구조 분석을 정리하였다. 동서양의 서로 다른 이상국가 구조를 비교대조한 후, 필자는 서양의 이상국가는 주로 투쟁으로 권력을 얻은 것이 위주이며 동양은 주로 현실을 도피하여 평화를 구하여 이런 청사진을 상상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동서양의 서로 다른 이상국가 사상에서 발생한 공통점은 혼란 시기에 출현하였다. 시대가 혼란할 수록 사람들의 이상국가에 대한 동경은 더욱 강렬하였다.

제3장은 처음 분류에 대해 공허한 선경에서 착수하기 시작하여, 구우(瞿佑)의 <수궁경회록(水宫庆会录)>과 김시습(金时习)의 <용궁부안록(龙宫赴宴录)>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우선 필자는 위의 2명의 저자 생애 중 주로 관직에 대해 분석하고 2편의 작품이 탄생한 시대 배경을 연구하였다. 두 작품은 비록 유사하지만 저자의 시대 경험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정도 그 내용이 다르다. 사상 내용에 있어, 구우(瞿佑)의 도선(道仙)사상을 문장에서 사용한 도가 용어와 인물 이미지 등 구체적인 표현, 그리고 김시습의 유교 왕도주의 사상과 그후 뜻을 이루지 못해 드러난 도가의 은둔 사상을 도입하였다.
환상형 이상국가는 도선사상과 현실에 대한 바램을 투영하고 유토피아를 구체화한 것이며, 사람들로 하여금 전란시대 혹은 뜻을 이루지 않는 상태에서도 수도하여 신선이 되는 사상 경지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또한 실재 인물(真人)과 신과 인간(神人) 그리고 평범한 사람을 연결시켜 사람들로 하여금 실망 중에서 환상적인 희망을 구하도록 한다.

제4장은 두번째 이상국가, 즉 세외선경(世外仙境)에 대한 분석이다. 또한 도연명(陶渊明)의 <도화원기(桃花源记)>와 이인로(李仁老)의 <청학동기(青鹤洞记)>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우선적으로 그 저자 생애와 작품 탄생 배경에 대해 분석하고, 그 다음으로 어부의 <도화원기(桃花源记)>에 대한 탐방과 저자 본인의 <청학동기(青鹤洞记)>에 대한 탐방 묘사를 연구하고 비교하였다. 사상 측면에서, 필자는 <도화원기(桃花源记)>가 묵자(墨子)의 겸애 사상에 더욱 치우치며 이인로(李仁老)는 담백한 노장(老庄) 사상을 표현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혼란한 시기의 은둔 문화와 문인이 드러낸 은거 사상은 더욱 현실도피형 이상국가의 주도적인 사상이 되었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독자의 현존 사회에 대한 합리적인 의심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사람들이 합리적인 사회를 만드는 바램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사람들은 자발적으로 노동할 수 있고 자체적으로 발전 조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또한 인도주의의 광채를 발하고 있다.

제5장은 제3유형의 이상국가, 즉 현실 반항에 대한 것이다. 시내암(施耐庵)의 <수호전>과 허균(许筠)의 <홍길동전>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저자의 생애와 리더 송강 그리고 홍길동의 역사에서의 사실적인 배경을 논술한 후, 작품 중의 이상국가 “량산포”와 “율도국”의 미완성에 대해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즉, “량산포”는 그 자체적인 사회 체제 형태로 결국에는 실패하고, “율도국”은 저자가 처한 사회와 그 지위적인 한계로 인해 요순시대 이상국가와 유사한 재현에 머물 수 밖에 없었다. 사상적으로 볼 때, “유민”의 이런 특수한 무리를 도입하여 그 문화에서 이상사회의 요소를 분석하고, 민중의 이상국가에 대한 동경을 반영한다. 유민의 이상사회는 비록 공상적인 성향을 갖지만, 이것은 앞의 두 유형 이상국가에 비해 더욱 현실성과 현실가능성을 갖는다. 그리고 후세의 많은 민중으로 하여금 무한하게 동경하도록 한다.

공허한 천상선경(天上仙境)에서 사실같기도 하고 환상같기도 한 인간 성지(圣地)까지 그리고 실제로 현실사회의 개혁적인 이상국가까지, 이상국가의 공간 위치에서의 점진적인 현실화를 볼 수 있다. 즉, 점차로 요원한 유토피아를 문학작품을 통해 실현할 수 있는 현실사회로 묘사하였다. 그런데 이런 이상국가는 백성의 이상사회에 대한 기도와 바램이다. 그래서 우리가 현재 사회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개선하는가에 대해 어느 정도의 시사적인 역할을 하였다.

.

이상 한양대학교에서 의뢰한 이상국가 학술논문 번역(중국어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