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반 번역

 

인공지반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인공지반 번역

인공지반 번역(한국어 원본)

2. 인공지반녹지의 현황

지하에 주차장 등 지하구조물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식재에 지장이 없도록 두께 0.9미터 이상의 토층을 조성하도록 주택건설기준에 의한 설계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인공지반 활용은 녹화에 대한 객관적이며 합리적인 계획 및 설계과정의 근거가 미흡하고, 인공지반 조경녹화에 관한 제도적인 인정기준의 미비함으로서 다양한 설계기술 개발 노력이 미진한 실정이다.
최근 고층 고밀화하는 주거단지내 주차공간의 수요증대로 고밀개발에 따른 단지내 부대복리시설 및 단지안의 시설 설치공간의 증가로 인한 녹지공간의 상대적인 감소라는 여건의 변화는 단지내 녹화공간의 축소라는 문제와 함께 대안으로서 새로운 녹화공간으로서 인공지반 조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대규모 택지개발사업 등을 통한 대규모 공동주택 단지의 개발에서 볼 수 있듯이 지상녹지공간의 용이한 확보와 보행통로와 차량통로의 분리를 위한 대규모 지하공간조성이 일반화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공지반녹지가 감당해야하는 생태적 기능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성되고 있는 공동주택 단지내 녹지의 단면형상은 주변 도로보다 높은 Level로 인해 지속적인 토사의 유출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토양내 우수의 침투를 방해하여 식물에게 유용한 수분의 공급에도 불리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제안된 저상형 녹지는 우수의 자연지반으로의 침투를 유도하고, 토양내 수분함유를 유도하여 원활한 식물의 생장을 도모할 수 있으며, 우수유출 지연효과를 통한 도시홍수 예방과 초기우수의 필터링 효과를 통해 비점오염원 관리효과 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규모의 인공지반녹지 실험구를 조성하여 단면구성에 따른 우수의 유출특성을 분석한 실험논문이다.
저상형 녹지와 일반형 녹지의 침투량 및 표면유출량의 측정실험을 통한 결과를 기반으로 전형적인 공동주택 단지의 조경면적에 적용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단지 전체의 우수유출 저감효과를 예측해보고자 한다.

인공지반 번역(영어 번역본)

2. Current Status of Artificial Ground Greening

In the case of installing underground structures such as a parking structure on the underground level, design standards of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standards require the construction of a soil layer of over 0.9 meter thickness to avoid hampering the planting. However, the utilization of artificial ground up to now lacked a subjective, logical plan and a basis for design process, and thus it requires effort for developing various design technologies that could deal with the insufficiency of systematic accreditation standards on landscape greening of artificial ground.
Recently, the increased demand for parking spaces within the residential complexes with high rise development and densification has led to a relative reduction in green space from the increase of common service facilities and facility installation space within the complexes with high density development. Such a circumstantial change demands the formation of artificial ground as new green space and as the solution to the reduction of green space in the complexes.
Especially, as it is evident in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community residential complexes through large-scal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project, securing of above-ground green space and the large-scale underground space formation for the separation of pedestrian passageway and vehicle passageway have become standard, and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functions that artificial ground greening bears is even more emphasized.
The sectional shape of green areas formed within the community residential complexes generally causes continuous soil runoff from being on a higher level than the surrounding roads.
Also, it has negative effect on supplying beneficial water to plants by hindering the penetration of rainwater into the soil.
The low-to-the-ground green proposed under such background could promote smooth growth of plants by allowing rainwater penetration into the natural ground and increasing water content in the soil while obtaining the effect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through the urban flood prevention from delay in rainwater runoff and the filtering of early rainwater.
This study is an experimental thesis that ha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ainwater runoff based on the sectional shape by forming an artificial ground green test plot of the same scal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measurements on the amounts of penetration and surface runoff of low-to-the-ground green and general type green, this study intends to predict the reduction effects of rainwater runoff on the entire complex through simulation test applicable to the landscape areas of a typical community residential complex.

.

이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의뢰한 인공지반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