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치아 번역

 

인공 치아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영어번역)

인공 치아 번역

인공 치아 번역(영어 원본)

Statement of problem. Depending on the applied finishing technique, ceramics may have different values of surface roughness; therefore, their abrasive effect on antagonists may vary. However, different materials may be affected differently by the surface roughness of ceramics.
Purpos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and correlate the wear of human enamel and nanofilled composite resin teeth with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antagonistic ceramic after simulated mastication.
Material and methods. Three groups of 8 human teeth and 3 groups of 8 nanofilled composite resin teeth were tested against 3 sets of 16 zirconia ceramic balls with different average surface roughness values. Each group was loaded for 300,000 cycles in a mastication simulator. Wear resistance was analyzed by measuring volume and vertical substance lost, determined with a laser scanner.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2-way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test was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 antagonistic surface roughness and the degree to which the materials had worn.
Results. An increase in the antagonistic surface roughnes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wear of composite resin and human enamel. The effect of the antagonistic surface roughness on the wear was significant (P<.001).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loss and antagonistic surface roughness was significant (r=0.667, P<.001).
Conclusions. Nanofilled composite resin and human enamel exhibited different amounts of wear. In general, human enamel showed less wear than nanofilled composite resin. Surface roughness of the antagonistic ceramic influenced the wear of human enamel more than it affected the wear of composite resin.
One of the most studied characteristics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in recent years is surface roughness, due to its clinical importance.1 If the external surface of restorative materials is rough, several problems may arise, such as increased plaque formation and retention, which mayresult in gingivitis or periodontitis,2,3 physical irritation of the surrounding tissues, and an immediate loss of esthetic quality.4 A smooth surface is important for patient comfort. Jones et al5 reported that patients are able to distinguish a roughness value (Ra) of 0.5 μm. For these reasons, studies have evalu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finishing and polishing techniques on the surface roughness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6-8 In addition, surface roughness may have an essential role in the wear behavior of the material itself or of the opposing materials.9 In a review article on material factors influencing the wear of enamel opposing ceramic, Oh et al10 concluded that there is no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hardness of ceramic and the wear rate of human enamel. In contrast, the authors reported that the wear process appears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the ceramic microstructure, the roughness of contacting surface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Turssi et al11 examined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pretest roughness and wear resistance of different composite resins. The authors repor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urface roughness achieved after finishing/polishing procedures and wear. They also reported that, regardless of the finishing/polishing method used, worn areas of the composite resin presented surfaces with the same average roughness following testing. However, the authors evaluated 3-body wear resistance, which may reduce the effect of the surface roughness due to the presence of a third body. Furthermore, the roughness of composite resins may have a role only during the initial phase of wear, due to the wear of the superficial surface of the composite resin. Although it has been reported that materials with high surface roughness cause high antagonistic wear,10 there are no systematic studies evaluating the influence of the surface roughness on the wear resistance of the antagonistic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correlate the 2-body wear resistance of human enamel and nanofilled composite resin teeth with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ceramic antagonists. The null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that: (1)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in the wear of human enamel and composite resin; and (2) the wear would not be affected by the antagonistic surface roughness.

인공 치아 번역(한국어 번역본)

문제 설명. 이용된 마감 기법에 따라 세라믹의 표면 거칠기 값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값이 길항제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세라믹의 표면 거칠기가 미치는 영향은 상이한 물질마다 다를 수 있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작 시뮬레이션 이후에 사람의 에나멜 nanofilled 복합수지 인공 치아 마모와 대합 세라믹 표면 거칠기와의 상호관계를 규명하고 평가하는 것이었다.
물질 및 방법. 8개의 사람 치아 3개 군과 8개의 nanofilled 복합수지 치아 3개 군을 평균 표면 거칠기 값이 상이한 16개의 지르코니아 세라믹 볼 3세트와 비교 테스트하였다. 각각의 군을 저작 시뮬레이터에 300,000 주기 동안 부착하였다. 레이저 스캐너로 측정한 수직적 물질 소실량과 부피를 측정해 내마모성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이원분산분석을 이용해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피어슨 상관 테스트를 이용해 대합 표면 거칠기와 물질이 마모되는 정도 사이에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합 표면 거칠기가 커지자 복합수지와 사람의 에나멜 마모는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대합 표면 거칠기가 마모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하였다 (P≺.001). 소실된 부피와 대합 표면 거칠기 사이의 상관관계는 밀접하였다 (r=0.667, P≺.001).
결론. nanofilled 복합수지와 사람의 에나멜은 상이한 마모 정도를 나타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에나멜이 nanofilled 복합수지보다 마모가 덜 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대합 세라믹의 표면 거칠기는 복합수지 마모보다 사람의 에나멜 마모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최근 몇 년 간 가장 잘 알려진 치과 수복재의 특성 가운데 하나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표면 거칠기이다. 만일 수복재의 외부 표면이 거칠다면, 치은염이나 치주염, 주변 치아에 대한 물리적 자극, 심미적 질의 즉각적인 손상을 일으키는 치태 형성 및 부착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매끈한 표면은 환자의 편안함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Jones et al은 환자가 0.5 ㎛의 거칠기 값 (Ra)을 구분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상이한 마감 기법과 연마 기법이 치과 수복재의 표면 거칠기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 평가되었다. 이 외에도 표면 거칠기는 물질 자체나 대합 재료의 마모 거동에서도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에나멜 대항 세라믹의 마모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적 요소들에 대한 논문들을 검토하면서 Oh et al은 세라믹의 경도와 사람의 에나멜 마모율 사이에는 강력한 상관관계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반대로 저자들은 마모 과정이 세라믹 미세 구조물과 접촉 표면의 거칠기, 환경적 영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Turssi et al은 상이한 복합수지의 내마모성과 사전 조사된 거칠기 사이에 있을 수 있는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저자들은 마감/연마를 한 후 달성된 표면 거칠기와 마모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그들은 또한 이용된 마감/연마 방법과는 상관없이 테스트를 한 이후 복합수지의 마모 부분은 표면의 평균 거칠기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저자들은 제3자의 존재로 인해 표면 거칠기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는 제3자 내마모성을 평가하였다. 더욱이, 복합수지는 얕은 표면이 마모되기 때문에 복합수지의 거칠기는 마모의 초기 단계에서만 역할을 할 수 있다. 표면이 상당히 거친 물질은 심한 대합적 마모의 원인이 된다고 보고되었지만, 표면 거칠기가 대합 물질의 내마모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체계적인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nanofilled 복합수지 치아 및 사람 에나멜의 이체(two body) 내마모성과 세라믹 길항제의 표면 거칠기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평가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귀무가설은 (1) 사람의 에나멜과 복합수지의 마모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2) 마모는 대합 표면 거칠기에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것이다.

.

이상 연세대학교에서 의뢰한 인공 치아 번역(영어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