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일문학 번역

 

일어일문학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일본어번역)

.

일어일문학 번역

일어일문학 번역(한국어 원본)

2. 대한민국에서의 일어일문학
2-1. 대학에서의 일어일문학과의 현황
최근 대학 교육에 있어서 외국어 교과과정에서는 실용적 의사소통을 목표로 하는 학습경향으로 문학에 대한 비중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대학에 서는 계속해서 교과과정이 의사소통 중심의 수업으로 바뀌는 추세이다.
그러나 여전히 일본 문학을 학습 하고자하는 학생이 있으며 또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목적 또한 다양해져가고 있다.
대학에서의 문학 수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행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시대의 흐름과 학습자들의 요구에 부합 할 수 있는 문학수업에서의 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과거의 문학 수업은 문법을 설명하고 번역을 위주로 하는 작품을 중심 자료로 삼았던 교수법으로 교수는 문법과 어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학생은 번역을 목표로 삼는 수용적인 수업이었다.
다시 말해서 문학사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나 학생들이 통과해야 하는 시험 위주로 한 수업이 많기 때문에 학생들의 흥미와 욕구에 맞는 수업들은 그다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장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또한 오늘날의 학생들에게는 싫증을 주기 쉬운 단조로운 수업방법으로 여겨지기 쉽다. 이로 인해 오히려 학생들이 작품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일고 기피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상화에서 학생들은 능동적이지 못하고 수동적이기 마련이다.
이와 달리 학습자 중심의 문학 수업은 학생들의 능동적 역할과 참여를 중요시한다. 발표와 토론식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인지한 내용을 표현함으로써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수업이 될 수 있다.
현재 일본 문학이 우리나라처럼 외국어로서 배우는 환경에서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들에게는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2-2. 일어일문학과의 변천사
오늘날 대학의 외국 문학 전공학과들은 모두 해방 이후에 설치된 것이고 영,불,독,일 등 강대국의 문학을 중심으로 편성되어 왔으며 영어가 제1외국어인데 반해 일어는 제2외국어로 취급되어 왔다. 지금 현재 일본어를 학습하는 학생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생들의 학습 목적도 다양하다.
4년제 대학에 일본 관련학과가 설치된 것은 1960년대에 들어온 후의 일이었다. 1961년 한국외국어 대학, 1962년 국제대학에 설치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일본 관련학과의 설치는 답보 상태였다.
1973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제2외국어로 일본어를 채택되면서 졸업생들에게 교사 취업가능성이 열리며 대학에서의 일본어 교육은 더욱 활성화되었다. 94개 일본(관계)학과 중 약30%에 해당되는 32개의 학과가 1971~1980년에 설치되었다. 또한 일본학과를 설치한 계명대학 이외의 모든 대학이 일어일문학과, 일어교육과의 명칭이었다.
대학에서 일본어 교육의 위치에 커다란 전기가 찾아온 것은 1980년대의 일이다. 1980년과 1981년에 국한하더라도 21개의 일본어 관련학과가 신설되었다.
각 대학과 대학원의 입시에서 일본어가 제2외국어로 인정받으며 일본어 붐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2-3. 일본문학 현황
일본문학의 연구동향을 수치로 나타내보면,1960년대의 연구논문은 7편,1970년대 131편, 1980년대에는 매년 약 100편 등 총 890편이 된다. 이중, 근대·현대 문학논문이 약65%이고, 일본문학 연구자 총 630여명 중 근현대문학 분야의 연구자수는 320여명으로 약50% 이상을 점하고 있다. (*통계는 조사 시기,방법,범위,선택 기준에 의해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이하 같음) 고전문학 분야는 <源氏物語>나 <徒然草>,芭蕉·西鶴·秋成등이 주 연구 대상이다. 한일신화의 비교연구도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편이다. 예를 들어 <源氏物語> 연구는 1991년까지는 16편 정도였지만 2004년 말 230여편이 발표되었고, 구성·구상·주제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아 약 반수를 차지하며 그 밖에 인물론·표현론 등의 연구가 나와 있다.
현제 일본 근세문학연구의 현황은 芭蕉 연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西鶴와 秋成, 近松를 포함하는 극문학으로 이어진다. 하이카이연구는 1970년대에 시작하여 단행본 이어령 저 <하이카이문학연구,1986>가 간행되기도 하였다.
한편 근대문학 분야는 초기 한일 비교문학적 연구가 반수를 차지하였는데, 1980년대까지는 한일근대문학의 비교연구가 약 30%이다. 국내외의 대학원 졸업논문을 발표한 한국인 일본문학자 800여명의 논문 총수 약2,300편 중에 근대문학에 관한 논문이 역시 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문학 관련 단행본은 1970년대 5권이며 1980년대 비교문학연구를 포함해서 20권 정도이지만, 1990년대에 들어와서 증가하여 단행본은 총39권(편저와 비교문학서 포함)이고, 일본문학사 등의 개설서 번역은 11권이다. 문학연구를 문화론과 연관짓는 방향의 연구가 늘어나고 있고 연구 방법론 등이 유학 출신대학의 경향을 띠고 있다는 것도 특기할만하다.
근대작가로는 漱石 芥川 鷗外 藤村 太宰 川端 등에 관한 논문이 많다. 국낸 주요 6개 학회의 일본근대문학 논문 300편중 위 상위 5명의 작가 관련 논문이 40%를 차지하고 있다. 문학사에서 지명이 높은 작가들에 대한 논문이 많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이상의 통계가운데 마이너리티 문학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수준이다.

일어일문학 번역(일본어 번역본)

2. 大韓民國での日本語日本文学
2-1. 大学における日本語日本文学科の現況
最近、大学教育における外国語教科課程では実用的な意思疎通を目標にする学習傾向にあり、文学の比重が減ってきている。これに伴って、各大学では教科課程が意思疎通中心の授業に変わりつつある。
しかし、今なお日本文学を学びたいという学生もおり、また時代が流れるにつれて学生達の学習目的も多様化してきている。
大学での文学授業がより効果的に行われるためには、何よりも時代の流れと学習者たちの要求に見合った文学授業のあり方を見つめ直すことが必要である。
過去の文学授業は、作品を中心的な資料にして、文法を説明し翻訳することが主な教授法で、教授は文法と語彙について詳しく説明し、学生は翻訳を目標にする受け身的な授業だった。
つまり、文学史についての広範囲な調査や学生達がパスしなければならない試験のための授業が多いため、学生達の興味とニーズに合った授業はあまり多くないのが実情である。
長所がないわけではないが、授業方法が単調で、今どきの学生には退屈で飽きられてしまう。そして、学生達はむしろ作品に対する興味と関心を失って、嫌気がさしてしまうのだ。
このような状況で、学生達が能動的ではなくて受動的になりがちなのは当然だろう。
これとは異なって、学習者中心の文学授業は学生達の能動的役割と参加を重要視する。発表と討論式授業を通じて、学生達が授業時間に理解した内容を表現することで、能動的かつ積極的な授業になり得る。
現在、日本文学が韓国のように外国語として学習される環境にあって、授業がどのように行われており、学生達にはどのように受け入れられているかに対する研究は多くない。
2-2. 日本語日本文学変遷史
今日の大学の外国文学専攻学科は、全て植民地解放後に設置されたもので、英、仏、独、日本など強大国の文学を中心に編成されてきた。英語が第1外国語であるのに反して、日本語は第2外国語として扱われてきた。現在、日本語を学習する学生数は増え続けており、学生らの学習目的も幅広い。
4年大学に日本関連学科が設置されたのは1960年代に入ってからのことだった。1961年に韓国外国語大学、1962年に国際大学に設置された。しかし、その後、日本関連学科の設置は足踏み状態だった。
1973年に高等学校の教育課程に第2外国語として日本語が採択されることによって、卒業生に教員として就職する道が開かれ、大学での日本語教育は一段と活性化された。
94の日本(関係)学科のうち約30%に当たる32学科が1971~1980年に設置された。また日本学科を設置した啓明大学以外は、全ての大学で日本語日本文学、日本語教育科の名称だった。
大学における日本語教育の位置に大きな転機が訪れたのは、1980年代のことだ。1980年と1981年だけでも21の日本語関連学科が新設されたのである。
各大学と大学院の入試で日本語が第2外国語として認められ、日本語ブームに火がついた。
2-3. 日本文学の現況
日本文学の研究動向を数値で示すと、1960年代の研究論文は7件、1970年代は131件、1980年代には毎年約100件と、計890件になる。このうち、近代、現代文学論文が約65%で、日本文学研究者約630名のうち近現代文学分野の研究者数は約320名で、約50%以上を占めている。(*統計は調査時期、方法、範囲、選択基準により差が生じることがある。以下同様)古典文学分野は、<源氏物語>や<徒然草>、芭蕉·西鶴·秋成などが主な研究対象だ。韓日神話の比較研究も比較的活発に行われている方だ。たとえば<源氏物語>研究は1991年までは16件ほどだったが、2004年末には約230件発表された。構成・構想・テーマに関する研究が最も多く約半数を占めており、その他人物論・表現論などの研究が発表されている。
現在、日本の近世文学研究の現況としては芭蕉研究が最も多く、その次に西鶴や秋成、近松を含む劇文學が続く。俳諧研究は1970年代に始まり、単行本の李御寧(イオリョン)著<俳諧文学研究、1986>が刊行された。
一方、近代文学分野は初期韓日比較文学的研究が半数を占めていたが、1980年代までは韓日近代文学の比較研究は約30%である。国内外の大学院の卒業論文を発表した韓国人日本文学者800名の論文総数2,300件のうち、近代文学に関する論文が半数以上を占めている。日本文学関連の単行本は1970年代に5冊で、1980年代に比較文学研究まで入れて20冊程度だったが、1990年代に入って増加し、単行本は計39冊(編著と比較文学を含む)で、日本文学史などの概説書翻訳は11冊である。文学研究を文化論と関連づける方向の研究が増えており、研究の方法論などが留学出身大学の傾向に沿っていることも特記すべきことだ。
近代作家としては漱石、芥川、鷗外、藤村、太宰、川端などに関する論文が多い。国内の主要6学界の日本近代文学論文300件のうち、上位5名の作家関連論文が40%を占めている。文学史において名高い作家についての論文が多いことが分かる。
以上の統計から見ても、マイノリティ文学の研究は相対的に不十分な水準である。

.

이상 한양대학교에서 의뢰한 일어일문학 번역(일본어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