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공간 번역

 

전시공간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전시공간 번역

전시공간 번역(한국어 원본)

단위전시공간 분석을위한 시지각 지표 특성에 관한 연구
박물관 전시공간의 기본적인 기능은 전시물과 관람자 사이에서 공간적인 매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전시공간의 조건은 전시물과 관람자의 양측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전시물의 입장에서 보면 전시물의 ‘전시’와 ‘보존’의 양면을 고려해야 하며, 관람자의 입장에서 보면 쾌적하고 이해도를 재고시킬 수 있는 환경 커뮤니케이션이 요구되어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박물관의 전시는 실물 지향이 아닌 복원ㆍ복제된 사물이 어떠한 방식으로 전시되어야 하는가가 중요하며 전시될 자료 그 자체가 관객에게 마음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처럼 박물관 공간계획에 있어 전시공간은 박물관의 목표실현에 가장 중요한 디자인 인자라는 인식하에 국내에서는 박물관 전시공간구조의 특성을 분석하여 설명하는 연구가 9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21세기 이후에 건립된 현대의 다양화 된 박물관의 전시공간구조를 논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21세기 문화경쟁의 시대적 현실, 국내 관련시설들의 성장 현황 등을 고려하였을 때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라도 그 건립에 수반되는 건축계획분야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시 공간을 분석함에 있어 기존의 공간분석이론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이후 전시 공간내에서의 시지각적 속성이 반영된 전시구성요소의 노출지표(EE) 모델이 전시공간내에서는 더욱 효과적임을 검증해 기존의 방법론들과는 차별화를 두려 한다. 또한 기존의 방법론들로는 전시공간을 분석하는 방법이 정량화되지 못했기 때문에 충분한 예측력과 설득력을 확보하지 못했다. 따라서 실제로 전시공간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고 평가를 내리기위한 용도로서의 분석이 행해지기위한 인간의 행동과 관련된 정량화된 시각분석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전시공간 번역(영어 번역본)

Study about characteristics of perception index for unit exhibition space analysis
The basic functionality of the museum exhibition space is to mediate between the actual exhibits and the audience. Therefore, the most optimal exhibition space is one which satisfies both the exhibition and the audience. That is from the exhibitions’ perspectives, the both ‘preservation’ and ‘exhibition’ part of the exhibits must be considered. And from the audiences’ perspective, pleasant environments that can communicate and enhance understanding about the exhibits are required. In addi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about museum exhibition is not about exhibits’ real image but how those restored or copied objects can be conveyed – the facts about the exhibits must be delivered directly to the viewers’ perception.
Likewise, under the view that the exhibition space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design of museum space plan in order to achieve the realization of museum’s true objective, there had been active studies being carried out from the 90’s about analyzing and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eum exhibition space structur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studies about diverse exhibition space structures of museums built in 21st century are still lacking. Considering 21st century’s reality of cultural competition and the growth of related facilities in Korea, there are definite needs to carry out in-depth study about the architectural planning to support such changes.
So in this study, the aims are to first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theories of exhibition space analysis, and validate that the EE model (exposure index for exhibition components) which reflects the visual contents within the exhibition space is more effective in the context of the exhibition space, thereby distinguishing from the traditional methodologies. Also, because the traditional methodologies could not quantify the analysis methods of exhibition space, they could not adequately make good speculation and make convincing explanations. Therefore, this study also aims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visual perception related to human’s actions in order to suggest the basis that can help to anticipate the actual exhibition space and also by which to make good evaluations.

.

이상 기업에서 의뢰한 전시공간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