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미술 감상과 비평 번역

 

조선후기미술 감상과 비평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조선후기미술 감상과 비평 번역

조선후기미술 감상과 비평 번역(한국어 원본)

본 연구는 현재 미술교육에서의 표현과 창작, 미적 체험 중심의 미술 수업에 반하여 미술 감상과 비평 수업의 부재로 인한 감상 수업에 대한 필요성과 이의를 제기하고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미술 감상과 비평 수업에의 도입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 후기의 미술 감상과 비평의 형식을 통해 학교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현재까지의 연구들을 토대로 설문과 실험을 통해 비교․분석 한다. 또한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모색하여 전통의 것을 활용한 효과적인 감상․비평의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였다. 근대 서구의 미술 감상과 비평 교육과는 다른 우리 고유의 전통적이고 독자적인 미술 비평 방식을 통한 학교 현장에서의 대입을 제시하여 미술 감상․비평의 수업에 흥미와 태도를 함양한다. 또한 미술과 수업 과정에서 많이 다뤄지지 않는 감상․비평 수업을 통해 미술 감상을 향유하고 즐길 수 있는 미술 향유자로 양성하고 전통 문화와 우리 고유의 것에 대한 자부심을 갖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우리 고유의 조선시대 미술 감상과 비평 교육 방법으로 대표되는 시(時)형식 비평, 화제형식의 비평, 편지글 형식의 비평, 열전식 비평, 평론형식의 비평에 대해 알아보고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서 서구의 것에만 중점을 두는 현재 미술 교육에 대한 반론을 가지고 우리 고유의 미술 감상 및 비평 방법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체험해 보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 미술 교육에 대한 의의를 가지고 학생들에게 보다 쉽고 효과적인 교육의 적용과 실현을 위해 고등학교 2007 개정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교․분석하여 장․단점을 찾아보고 개정 심화 과정 ‘미술 감상’ 교과서의 도판과 특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모색하여 미술 감상 · 비평 수업의 지도 방안의 가능성을 보았다.
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조선시대 감상·비평 형식의 대표적인 시형식의 비평과 편지글 형식의 비평을 단계적인 수업 모형을 통해 내면화 하여 개인이 미술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맥락적으로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음에 목적을 가진다. 보다 효율적으로 전통 미술과의 이질감의 감소를 위하여 우리 주변에서 많이 알려진 친근한 작가의 선정을 통해 학생들에게 다소 어려운 부분으로 느껴지는 미술 감상과의 거리감을 줄였고 한국미술의 다양한 기법과 양식들에 관련된 지식을 전통 미술 도판과 서양 미술 도판의 비교를 통하여 교사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도출했다.
연구의 과정에서 학생들은 한국미술의 미술사적 가치를 알고 해석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감상의 느낌을 정확히 표현하고 문해화 하는 비평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서양의 감상 작품보다 전통 미술 도판을 접할 기회가 적은 학생들에게 한국 전통의 도판을 제시하면서 감상에 앞서 한국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부심을 느끼고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방법에서 미술 감상·비평 학업 과정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조선시대 미술 비평 방식의 모형을 제시하여 미술 감상과 비평 학습의 개념과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기 위해 이론적인 배경은 학자의 저서, 논문, 관련 기사, 연구 보고서, 교과서 등의 기존의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 하였으며, 고등학교 심화 선택 미술교육 교과서의 ‘미술 감상’ 의 3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여 감상 수업에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미술 감상법을 적용한 미술 감상·비평 교육의 모형을 제시하여 현 학교 현장에 대입시켜 본 연구의 수업지도안이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궁극적으로 본 연구에서 미술 감상과 비평 교육을 통하여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미술이라는 매개체로 우리의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아보고 전통과의 대화의 장을 마련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우리 고유의 문화에 대한 긍지와 미술 비평에 대한 자긍심을 느끼는 것이다.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세계시민으로써 우리 고유의 미술을 향유하고 감상하여 비평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서구의 것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시대에 전통 미술 교수-학습법을 토대로 미술 감상․비평 지도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이다. 전통은 다음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계승되어져야 그 가치가 더욱 발전되어진다. 현재의 학생들은 우리 문화의 가치에 대한 자긍심과 주체적인 사상을 가지고 기존 전통 문화의 가치를 살려 재창조 해 전통과 현재의 미술 감상 교육의 연관성을 마련하였다.
서양의 감상․비평 교육이 학계에 이루어 놓은 성과는 너무나 큰 것에 반해 우리 전통적 감상․비평 교육의 발전은 너무나 미미하다. 앞으로의 우리 전통미술에 가치를 알고 미술에 관한 감상과 비평의 향유자를 길러내기 위한 감상 교육의 일환으로 서구의 것에만 국한되지 않은 우리 전통 미술 감상과 미술 교육의 지도안과 수업이 연구․개발되어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되어 지기를 기대해 본다.

조선후기미술 감상과 비평 번역(영어 번역본)

Research on Teaching High School Art Criticism with Appreciation Methods from the Chosun Era

This research raises the necessity of appreciation classes due to the lack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es in contrast to classes focused on expression, creation, and artistic experience in current art education, and aims to propose the introduction of an effective and systematic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class.
With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formats of the late Chosun dynasty, we compare․analyze how they can be applied in a school setting through surveys and experiments based on studies made so far. Also, we set the research topic as preparing an effective appreciation․criticism teaching plan with traditional methods, by identify related problems and searching for ares that need improvements. By focusing on our uniquely traditional and independent art criticism style, which is different from western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in the modern era and proposing to introduce it to schools, we aim to foster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art appreciation․criticism classes. Also, this research aims to train students as individuals who enjoy admiring art through appreciation․criticism classes that are mostly not covered in art curriculums and to possess pride in traditional culture and what is uniquely ours. In this study, we will learn about poetry format criticism, issue format criticism, letter format criticism, and review format criticism, which are regarded as typical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al methods of the Chosun Era, and have students experience our unique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methods in contrast to the present art education that emphasizes only western ways in this rapidly changing modern society.
In this research, we kept the meaning of such traditional art education, found advantages․disadvantages by comparing․analyzing the 2007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s to apply and realize an easier and effective education for students, and saw the potential of a teaching plan for art appreciation․criticism classes by analyzing the illust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intensive course ‘Art Appreciation’ textbook, identifying problems and search for areas to improve.

Our purpose is to internalize poetry style criticism and letter style criticism, the most typical forms of Chosun era appreciation·criticism which can approach the students more easily, through a phased class model and have the individual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value of art pieces contextually. To more efficiently reduce the gap between traditional art, we bridged the distance with art appreciation, which is regarded as a rather difficult field for students, by selecting familiar artists who are well known, and induced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through comparing the illustrations of traditional and western art with knowledge related to the various techniques and templates of Korean art.
In the research process, the students not only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art historical values of Korean art, but also go on to develop an ability to accurately express how they appreciated it and to review and critique. Also, we presented Korea’s traditional illustrations for students who have relatively less opportunity to see traditional art pieces compared to western ones, and had them feel interest and pride and understand Korean art.

Also, for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e presented a Chosun era art criticism model to effectively support the art appreciation·criticism learning process, and to contemplate the concept and educational value of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learning, we studied mostly previous literature such as publications of scholars, papers, relevant articles, research reports, textbooks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investigated the state of appreciation classes by analyzing the 3 types of textbooks for ‘Art Appreciation, the high school intensive elective art education course. Also, by providing an art appreciation·criticism education model that applies Chosun era art appreciation methods and implementing it in current school settings, we studied how the class teaching plan in this research influences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evel.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First, what this study strives to achieve through appreci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is to have students understand the value of our cultural heritage through art as a media and feel proud about our unique culture and self-esteem about art criticism by preparing a platform to communication with tradition. As a global citizen living in a multi-cultural era, it is meaningful to enjoy our own art and develop the ability to appreciate and critique.
Second, this research provides a teaching plan for art appreciation․criticism based on traditional art teaching-learning method in a time when western art is emphasized. By being inherited by those who live in the following generation, tradition has its value be developed even more. We provided the correl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present art appreciation education so that current students assume pride and independent thoughts about the values of our culture, and recreate by making use of previous traditional cultural values.
While western appreciation․criticism education has made huge results in the academia, the development of our traditional appreciation․criticism education has been very minimal. In the future, we hope that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and education that is not limited to only western art are researched․developed and become actively applied in the field as a part of an appreciation education to raise individuals who understand the values of our traditional art and enjoy appreciating and reviewing art.

.

이상 조선대학교에서 의뢰한 조선후기미술 감상과 비평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