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 번역

 

중환자실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중환자실 번역_02

중환자실 번역(한국어 원본)

중환자실의 구성을 보면 전체 50%의 중환자실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수도권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이는 지역간의 중환자실 이용 격차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500병상이하 병원의 중환자실은 전체 중환자실 10% 미만이며, 병원의 병상수는 전체 병원의 70% 이상이 501~1000 병상 규모의 병원이다. 중환자실은 병원에서 가장 첨단 시설과 장비를 갖추고 있어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며 중증 환자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인력의 배치도 가장 많다. 게다가 고가의 약물과 일회용 재료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더 큰 병원(>500 beds)이 의료 인력이나 의료 장비 등의 여러 조건에서 안정적으로 중환자실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중환자실을 운영하면 할수록 병원 적자의 폭이 커지는 보험급여 구조 문제와 원가의 30~50%에 불과한 수가가 그 원인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현실은 중환자의 높은 사망률과 대학병원에서조차 중환자를 기피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의 평균 나이는 60세로, 고령 자체가 중환자실의 outcome과 prognosis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도 모른다. 현재 한국의 60세 이상 인구는 300만명이상으로 전체 인구의 15% 이상이다. 이들의 1/4이상이 만성 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chronic care가 필요한 경우가 증가하겠다. 특이한 점은 500병상 이하의 병원은 14일 이상 환자가 모든 병원이 있으며, 특히 대부분이 65세 이상인 점이다. 이들 병원의 중환자실은 acute care admission보다는 노인 장기 입원환자를 위해 이용되어지고 있다. 상급병원이나 더 큰 규모의 병원에서 acute care후 더 이상의 호전이 기대되기 어렵거나 단순히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로 하는 환자들이 이용할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한국 중환자의학의 시작이 다른 나라에 비하여 늦지 않았으나 선진국에 비해 뒤떨어져 있다고 생각되어지는 원인으로 중환자의학 전문의사의 부족을 들 수 있다. 이번 조사결과 중환자실 전담의사가 있는 곳은 70.9%이지만, 전문의가 근무하는 곳은 17.3%였다. 이는 소아 중환자실을 포함한 결과로, 성인 중환자실의 경우 17개 단위(units), 9개 병원만이 전담 전문의가 존재하였다. 중환자는 대부분 여러 장기의 손상을 동시에 가지고 있고 매 순간의 의료 결정이나 행위가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기 쉽다. 그러므로 제한된 전문지식만으로 중환자를 제대로 진료하기 어렵다. 중환자실 전담의사의 부재는 환자의 생존률을 개선시키는 여러 치료법들이 중환자실에서 제대로 수행되기 어렵게 하고 있다. 특히 전문의의 지도 감독없이 중환자를 단독으로 진료하는 것은 중환자진료의 전문성을 고려할 때 심각한 위해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중환자실 번역(영어 번역본)

Fifty percent of all critical care units are concentrated around the capital area. Even considering the population discrepancy between the capital area and other regions, this difference in ICU utilization is significant.
Hospitals that have ICUs with less than 500 beds account for less than 10% of all ICUs. More than 70% of the hospitals have ICUs with 501 to 1000 beds. The critical care unit requires not only high investment costs for its highly advanced medical facilities and equipments but also large number of human resources in order to look after critically ill patients. Also, critical care unit most frequently uses expensive medications and disposable medical equipments. Because of the required medical human resources, medical equipments, etc., only larger hospitals (>500 beds) can stably operate critical care units. However, less smaller hospitals operate critical care units because of the structural problem in insurance benefits, i.e. increase in hospital deficit with increase in the number of critical care units, and insurance costs that only cover 30 to 50% of the original costs. Such problems have materialized themselves as high mortality rates in the critical care unit and a tendency among hospitals including university hospitals to avoid admitting critically ill patients.
The average age of the critical care unit patients is 60 years old. Advanced age itself might affect outcome and prognosis of the critical care unit. There are 3 million Koreans who are aged 60 or above, who account for more than 15% of the entire population. One fourth of this population have chronic illnesses that increasingly require chronic care. The interesting fact is that hospitals with less than 500 beds always have patients staying longer than 14 days, and these patients are mostly 65 or older. The critical care units at these hospitals are used for long-term care admissions for aged patients rather than for acute care admissions. It is suspected that patients who are not expected to have better results after acute care at upper level/larger hospitals or patients who require simple respiratory care may use the critical care units of the smaller hospitals (<500 beds).
The introduction of critical care system in Korea has not lagg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but the system is thought to be behind other developed countries due to shortage of ICU specialists. The survey shows that 70.9% of the critical care units have mandatory ICU doctors and only 17.3% have ICU specialists. This result includes pediatric critical care units. For the adult critical care units, 17 units at 9 hospitals have mandatory ICU specialists. Most critically ill patients have multiple organ damages and require immediate and accurate medical decisions that directly affect patients’ lives. Absence of ICU specialists and limited medical knowledge of other doctors prevent critically ill patients from receiving appropriate treatment to increase their survival rates. Especially, treatment of critically ill patients without specialist supervision contains serious harmful factors, considering the expertise required for critical care treatment.

.

이상 한림대학교에서 의뢰한 중환자실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