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사회 변화 번역

 

지역 사회 변화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지역 사회 변화 번역

지역 사회 변화 번역(한국어 원본)

도시의 변화를 위해 선진국은 다양한 방법으로 도시재생을 유도해왔다. 이는 과거 주택이나 상업단지를 조성하는 물리적 재개발부터 최근 도시재생의 가장 보편적이고 성공적이라 각광받는 창조도시까지 도시의 재생은 꾸준히 진화되고 있다. 반면 이러한 과정속에 가장 부족한 것으로 떠오르는 것은 지역사회의 통합과 커뮤니티의 회복이다. 도시는 발전되어 가지만 그곳에 살고 있는 지역민들은 그들의 욕구를 반영하지 못하거나, 공동체로서의 의미를 잃어 지역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이 모호해지고 있다. 이러한 공동체의 해체는 도시의 어두운 이면을 낳고 사회적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때문에 최근 도시재생은 사회적 가치를, 어디서, 어떻게, 그리고 누구를 위해 창조할 것인가를 말하고 있는 사회적 재생에 목적을 두고 지역문화 및 역사 등과 연계하여 접근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인 수원 지역은 세계문화유산인 화성을 중심으로 역사문화도시조성을 위해 1997년부터 정책적으로 다양한 지역개발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적․역사적 개발 이면에 문화재보호법으로 인한 지역의 낙후, 지역민들의 이주와 커뮤니티 단절 등이 문제로 떠오르면서 이를 회복하기 위한 고민들이 시작되었다. 다행히도 이러한 환경에 자발적으로 들어와 이웃들과의 관계맺기를 통해 지역공동체와 문화를 활성화하려는 지역문화활동가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이들의 성격이나 활동내용도 획일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원화성 성내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문화활동가들의 성격과 활동내용 분석을 통해 지역이 변화되는 과정과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과제와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우선 가장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총 5팀의 지역문화활동가들을 선정, 단체의 의의, 설립배경, 운영 및 재원부터 지역 선정 이유, 활동내용, 지역결합방법, 앞으로의 계획까지 전반적인 사항을 인터뷰함으로써 이들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활동이 가장 오래된 비영리 단체 ‘대안공간 눈’은 전시 및 레지던스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의 젊은 예술가를 양성하고, 벽화작업을 통한 마을가꾸기 사업으로 지역환경을 개선, 지역민과의 소통을 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청년소셜벤처인 주식회사 ‘기린’은 카페 및 게스트하우스 공간을 거점으로 활동하고 있는데, 이들은 궁극적으로 화성을 기반으로 한 공정여행을 계획하고 운영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웃문화협동조합은 공간과 조합원들의 재능을 엮어 지역민들과의 커뮤니티 구성을 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었고, 천원진 작가도 지역어르신들을 위한 문화활동과 관계맺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다. 더페이퍼는 골목잡지 ‘사이다’를 계간지로 편찬, 사라져가는 행궁동의 골목문화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소소하게 담고, 잡지 발간시 네트워킹 파티를 추진하면서 지역민들과의 만남과 관계를 꾸준히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이 단체들은 각자의 개성이 담긴 문화활동으로 화성 성내지역의 공동체를 이끌어 내고 있으며, 그들의 특성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거점이 될 수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지역과의 교류를 시작했고, 둘째, 지역 주민과의 소통과 화합을 통한 지역문화활성화를 목적으로 했으며, 셋째, 앞으로 활동영역을 수원화성 이외의 지역으로도 넓힐 계획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즉, 이들은 대체로 카페나 전시장, 체험공간 등의 공간을 거점으로 그 주변 지역민들과의 소통과 커뮤니티를 적극 이루어내고자 하였고, 그 범위를 점차 넓혀나가 여러 곳에서 지역커뮤니티를 기반으로 문화 활동을 하고자 하는 공통적 특성이 있었다.
그러나 좀 아쉬운 것은 활동가들 사이의 소통과 네트워크가 부족하여 양질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영역이 좁다는 것과, 문화를 통한 지역민들과의 교류 방법의 다양성을 고민해 봐야한다는 것이다. 또한 지역커뮤니티가 이대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역민 스스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민을 문화활동가로 키우는 작업들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앞으로의 과제로 들 수 있었다.

지역을 발전시키는 일은 이제는 물리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이 적절하게 결합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즉, 무리한 소프트웨어적인 프로젝트는 결국 지역민들에게 다가가지 못하면 소모적인 것으로 남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활동가들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그들의 활동영역이 더욱 다양해지고 필요해질 것이라 확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사례가 수원의 모든 문화활동가들을 대변하는 것은 아닌 일부임을 밝히며, 국내외 여러 활동들을 기반으로 앞으로 더 나은 사례가 나올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지역 사회 변화 번역(영어 번역본)

To transform cities, developed countries have induced urban regeneration through various methods. Regenerating a city has continuously evolved, from physical redevelopment that built houses and industrial complexes in the past to the more recent creative city, which is being regarded as the most general and successful form of urban regen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thing that is lacking the most in this process is the integration of the local society and the recovery of the community. While the city develops, local residents who live in it are finding their role as community members becoming more ambiguous because their demands are not being reflected or the sense of a community is lost. Such disintegration of the community produces a dark side of the city and is even being considered as a social problem. Therefore, recently urban regeneration is being approached with the purpose of social regeneration, which deals with where, how, and for whom to create social values, and by collaborating with the local culture and history.

The Suwon area, the research subject of this paper, has made policies for various regional developments since 1997 to make a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centered on Hwaseong, a World Heritage. However, behind this environmental, historical development, issues such as regional underdevelopment due to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Act, resident migration, and community disconnection began to emerge and people started to contemplate how to resolve these problems. Fortunately, local cultural activists who voluntarily moved into such environments and strive to revive the local community and culture by making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began to appear and their personalities or activities were not the same. Therefore,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cultural activists who work based in the region within the Suwon Hwaseong Fortress to study the process and result of how the region has changed, this paper aims to provide future tasks and directions for development.
First, we selected a total of 5 teams of the most active local cultural activists, and were able to learn about their activities in general by interviewing about a wide range from the significance of their group, establishment background, operations and finances to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region, activity contents, region integration method, and future plans.
‘Alternative Space Noon’, the non-profit group that has been active the longest, continuously trains young local artists with an emphasis on exhibition and residence business, improves the local environment through a neighborhood decorating project with murals, and communicates with the local residents. ‘Girin’, a youth social venture which conduct their activities in cafes and guest houses, ultimately aim to plan and run a fair traveling program based in Hwaseong. Ewut Culture Cooperation were running various businesses to compose a community with the residents by tying space and the talents of its members, while the artist Chun, Won-jin is also forming a community naturally through his cultural activities and relationship making with local seniors. Thepaper publishes ‘Saida’, a quarterly street magazine, in which the group shares the fading street culture of Haenggung-dong and the stories of its people, and puts effort to maintain meetings and relationships with the locals by hosting networking parties when a new edition of the magazine is published.
These groups, which are performing such various activities, are leading the community in the region within the Hwaseong Fortress through their respective cultural activities, and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ir characteristics.
First, they initiated interaction with the locals centered on spaces that could be a foundation for their activities, second, they aimed to vitalize the regional culture through communication and harmony with the residents, and third, they have plans to expand their area of activity to regions other than Suwon Hwaseong.
That is, they have commonly striven actively to promot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residents and establish a community in mostly spaces like cafes, exhibition halls, and experience centers, and gradually expanded that range to conduct cultural activities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in many places.
However, that the space in which a good quality synergy effect could take place was narrow due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between the activists, and diversifying ways to interact with residents through culture are things to be considered. Also, in order to not have the local community end this way and to have it develop on its own, guiding local residents to become cultural activists can be raised as a required future task.

This shows that developing a region requires adequately combining physical and social aspects. In other words, projects that are excessively focused on the software side of thing will only remain as being exhaustive if they cannot ultimately approach the local residents. Consequently, the role of local cultural activists are continuously being emphasized and we are certain that their area of activities will diversify and become more necessary.
We state that the case provided in this paper does not represent a portion and not all cultural activists in Suwon, and expect to see better cases emerge based on domestic and overseas activities.

.

이상 추계예술대학교에서 의뢰한 지역 사회 변화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