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음악치료 번역

 

집단음악치료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집단음악치료 번역

집단음악치료 번역(한국어 원본)

다양한 원인에 의해 초래되는 만성정신질환은 완전한 치료가 되지 않는 중증질환으로 환자와 가족, 사회에 많은 어려움을 초래한다. 만성정신질환에 대한 의료적 접근에도 불구하고 치료가 되지 않는 환자와 가족에 대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의 보완대체 의학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근래에 보완대체의학 분야에서 널리 시도되고 있는 집단음악치료가 만성정신질환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 질병침습도 및 질병 특이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C군에 소재하는 C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중 DSM-IV에 기준에 따라 만성정신질환자로 진단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해서는 병원에서 실시하는 일반적인 프로그램 이외에 매회기 60분의 집단음악치료를 주 2회씩, 20회기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병원내의 일반적인 프로그램만 수행하게 하였다.
집단음악치료에 따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스트레스 대처능력 척도’, ‘질병 침습도’, ‘삶의 질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제 3자가 모든 대상에 대하여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반복 측정 공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변화를 보았을 때,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5).
둘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질병침습도’의 변화를 보았을 때,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5).
셋째, 시간의 경과에 따른 ‘삶의 질’의 변화를 보았을 때,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실험집단에서 치료 전후 값의 변화가 더욱 큰 경향을 보였다(p >.05).
이 연구를 통하여 집단음악치료가 만성정신분열환자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과 질병침습도의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효과 규명과 다양한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활용이 뒤따라야겠다.

집단음악치료 번역(영어 번역본)

A chronic-psychiatric disorder is a severe illness which is not completely curable.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cause the illness and it brings a lot of difficulties to not only patients but also their family and society. Therefore, there have been a variety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al attempts to reduce the stress that patients and family suffer, that are not cured by existing clinical researches on chronic-psychiatric disord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on the stress management, illness engulfmen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psychiatric disorders.
The test was implemented with 20 subjects who have been diagnosed with chronic-psychiatric disorder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DSM-IV among the patients of ‘C’ Hospital in ‘C’county in Korea.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y have been treated with 60 minutes-long group music therapy twice a week, total of 20 tim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hospital program. Meanwhile, the control group was only treated with the existing hospital program.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the “stress management index”, “illness engulfment level”, and “life quality index” were used and a third party evaluated the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repeated measures ANC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of the test are as following.
First, with regards to the change of stress management by the sequence of time, the experimental group with group music therap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 <.05).
Second, with regards to the change of illness engulfment by the sequence of time, the experimental group with group music therapy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p <.05).
Third, with regards to the change of life quality by the sequence of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group music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 change of valu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for experimental group was notably high (p >.05).
In conclusion, the study showed that a group music therapy is effective on the improvement of stress management and reduction of illness engulfment. Now, the efforts should be delivered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group music therapy through many researches and to develop and utilize diverse group music therapy programs.

.

이상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의뢰한 집단음악치료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