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성능 번역

 

차단성능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

차단성능 번역

차단성능 번역(한국어 원본)

3.1 성능등급별 인정비율
그림2는 58개구조에 대한 경량충격음 및 중량충격음 차단성능 등급비율을 나타낸다. 경량충격음은 1등급은 받은 구조가 전체의 76%에 해당되며, 2등급은 17%로 대부분 구조가 1등급과 2등급의 성능을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중량충격음은 대부분 구조가 3등급과 4등급에 분포하며, 4등급은 45%로 나타났다. 인정바닥구조는 경량충격음은 우수한 차단성능을 확보하지만 중량충격음은 법기준을 겨우 만족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인정바닥 구조형식을 살펴보면, 크게 2가지 타입으로 구분된다. 하나는 슬래브 상부에 완충재가 설치되고, 완충재 상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와 마감 모르터가 설치되는 습식타입(Wet Type)이며, 다른 하나는 완충재 상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가 생략되고 마감 모르터 만 시공되는 반습식타입(Half wet type)이다. 습식타입에 사용되는 완충재의 두께는 20mm~30mm가 일반적이며, 반습식타입에 사용되는 완충재는 40mm~100mm가 설치되었다. 58개 인정구조중에서 습식타입는 전체에 약 62%이며, 반습식타입은 38%로 나타났다. 과거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습식타입이 더 많은 비율을 보이고 있었다. 습식타입은 완충재의 물성을 변화시켜 충격음을 저감시키는 형태로 국내에서는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하여 완충재가 대부분 사용된다. 완충재는 평판형태로 EVA, PE, EPP, EPS 등의 재료를 주로 사용한다.
그림3은 구조형식에 따라 성능등급 비율을 분류 한 것으로 경량충격음은 반습식타입이 습식타입에 비하여 1등급을 받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사용된 완충재의 두께가 더 두꺼워 동탄성계수가 낮아진 것에 기인한으로 판단된다. 중량충격음에서도 습식타입에 비하여 반습식타입을 사용한 구조가 1등급을 받은 비율이 더 높았다. 그림4는 58개 구조의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분포를 나타낸다. 경량충격음은 31dB~40dB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중량충격음은 46dB~50dB에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경량 및 중량충격음 모두 측정결과가 정규분포라 하기 어려우며, 일정부분에 치우쳐 분포하고 있었다. 그림5는 경량 및 중량충격음의 성능별 누적도수 분포를 나타낸다. 경량충격음은 넓은 성능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중량충격음은 46dB 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차단성능 번역(영어 번역본)

3.1 Proportion of structures in each performance grade
Figure 2 shows the proportion of the 58 tested structures belonging to each grade according to their lightweight and heavyweight floor impact noise reduction capability. On lightweight impact noise, 76% of the tested structures scored Grade 1 and 17% Grade 2, thus placing most of them in Grades 1 and 2. However, on heavyweight impact noise, most of the structures placed in Grades 3 and 4, with 45% in the latter. Although the approved structures had good lightweight impact noise reduction capability, they barely satisfied the government’s criteria for heavyweight noise reduction.
The approved structures can largely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in terms of their structure. The first is the wet type, in which the damping material is installed on above the slab, with the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and the finishing mortar in turn applied on top of the damping material. The second is the half-wet type, which foregoes the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and applies only the finishing mortar on the damping material. The thickness of the damping material used in the wet type usually falls between 20 and 30mm, whereas in the half-wet type the thickness varies from 40 to 100mm. Of the 58 approved structures, approximately 62% were the wet type and 38% the half-wet type; the wet type, which had been conventionally used in Korea in the past, comprised the majority. The wet type reduces impact noise by varying the property of the damping material, which is most commonly used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damping material is usually a flat panel made of material such as EVA, PE, EPP, and EPS.
The performance grades are broken down into structural types in Figure 3, showing that on lightweight impact noise a larger percentage of half-wet type scored Grade 1 than did the wet type. It is believed that this is caused by the use of thicker damping material leading to a lower dynamic modulus. On heavyweight impact noise reduction, a higher percentage of the half-wet type than of the wet type placed in Grade 1.
Figure 3 – proportion of structural type in each performance grade
Figure 4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58 tested structures’ impact noise reduction performance grades. The distribution of lightweight impact noise reduction capacity is concentrated around 31-40dB, and 46-50dB for heavyweight noise reduction capacity. In both cases, the results do not follow a normal distribution curve, but are skewed around certain points.
Figure 5 plots the accumulative distribution curve of lightweight and heavyweight impact noise reduction capacity. Whereas the curve for lightweight impact noise reduction capacity is wide, that of heavyweight impact noise reduction capacity shows a steep increase at 46dB and above.

.

이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의뢰한 차단성능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