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번역

 

천연기념물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 번역)

 

천연기념물 번역

천연기념물 번역(한국어 원본)

무주 오산리 구상화강편마암
천연기념물 제244호
전북 무주군 무주읍 오산리 산 116번지(무주군)
본 기념물의 분포 지역은 무주읍에서 동북쪽으로 약 5km 지점인 무주읍 오산리 왕정마을 소하천 주변에 산재해 있다. 왕정마을 가운데를 가르며 흐르는 하천의 물줄기를 따라 상류로 약 200m쯤 올라가다 보면 하천의 바닥이나 주변의 풀밭에 전석으로 산재해 있던 것을 1979년 12월 무단반출 방지책으로 철책을 두른 안치장을 계곡 부근에다 설치해 놓구 수거 가능한 기념물을 안치장으로 옮겨 보호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곳이 너무나 한적한 곳이어서 도난이나 훼손등의 사례가 생겨 1991년 10월 무주군청 정원에다 보호시설을 해놓고 기념물을 옮겨 안치해 놓았다.
본래 이 전석들은 하천 주변에서 약 10m 정도의 간격을 두고 산재했었는데 당시의 수량은 대소 15개였다. 이 암석의 크기는 직경 4m가 되는 것이 가장 크고 대개는 1~0.5m 정도가 보통이다. 대부분 하반부는 땅에 매몰되어 있어서 원래의 기반암과의 관계는 알아보기 어려웠다.
이 기념물을 처음 발견한 경위는 일제가 우리나라를 강제로 합방한 후 한반도의 지하자원에 눈독을 들이고 영국의 지질학자 홀머스를 고용하여, 우리나라 전국 방방곡곡을 답사하게 되었는데. 1928년 답사팀이 본군에 이르러 성인불명의 희귀한 암석을 목격하고 구상화강편마암이라 명명한 것이다.
이 지방 사람들은 암석의 표면이 마치 호랑이 무늬를 닮았다하여 호랑이바위라고 부르며 이것을 집에 가져다 놓으면 부자가 된다고 믿고 있다.

적상산 사고지 유구
전라북도 기념물 제88호
전북 무주군 적상면 북창리 산 117-5
적상산 사고지 유구는 1995년 6월 20일 전라북도기념물 제88호로 지정되어 안있으며, 면적은 6,083㎡이다. 우리나라의 사고는 고려 말기 이후 조선 초기에 이르기까지 역대왕조의 실록을 보관하던 곳으로 선원전(璿源殿)과 실록전(實錄殿)을 두었다.
1439년(세종 21) 경상도 성주와 전라도 전주에 사고를 신설하여 임진왜란 이전까지는 내사고인 춘추관과 외사고인 충주·성주·전주 사고의 4곳이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전주사고를 제외한 전국의 모든 사고가 불에 타버렸다.
이때 전주사고의 실록은 1593년(선조 26) 내장산, 해주 등을 거쳐 평안도로 옮겨 난을 피함으로써 임진왜란 중 멸실되지 않은 유일한 사고본으로 남게 되었다.
그후 조정에서는 1603년(선조 36)∼1606년(선조 39)에 실록을 다시 편찬하였는데, 인쇄된 실록은 전주사고본을 저본으로 정본 3부와 초본인 교정본 1부를 인쇄, 모두 5부로 만들었으며, 전화를 피할 수 있도록 깊은 산중이나 섬 지방에 사고를 설치하였다.
원본인 전주사고본은 강화의 마리산에 두었다가 정족산사고로 옮겼으며, 새로 인쇄한 정본 가운데 1본은 예전처럼 서울의 춘추관에 두고 나머지는 태백산사고와 묘향산사고에 보관하였다. 그리고 초본인 교정본은 오대산사고에 보관하였다.
그 시기 묘향산사고가 있는 북방에서는 후금(後金)의 세력이 확장되고 있었다. 이에 대비하여 묘향산사고의 실록을 옮기자는 논의가 있었으며, 1610년(광해군 2) 조정에서는 사관을 보내 적상산의 지형을 살피게 하고 산성을 수축하였다.
그뒤 1614년(광해군 6) 천혜의 요새로 이름난 적상산에 실록전을 창건하고, 1618년 (광해군 10) <선조실록>을 봉안하였으며, 1634년(인조 12)에는 묘향산에 보관하던 실록을 적상산사고로 이안하였다. 또한 1641년(인조 19) 선원전을 세우고 그해 11월 왕실의 족보인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을 봉안함으로써 적상산사고는 완전한 사고가 되었다.
그러나 1910년 일제에 병탄된 후 조선왕조실록등이 서울의 규장각으로 옮겨지면서 사고는 황폐화되었다. 사고가 있던 본래 자리도 1992년(양수발전소상부)댐 축조로 물에 잠기게 되어 현재의 위치로 유구가 옮겨졌으며, 1997년 선원각 복원을 시작으로 1998년 실록각 등이 각각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천연기념물 번역(영어 번역본)

Orbicular Gneiss in Osan-ri, Muju-gun
Natural Monument No. 244
San 166, Osan-ri, Muju-eup, Muju-gun, Northern Jeolla Province
This monument is distributed near a small river in the Wangjeong Village at Osan-ri, Muju-eup about 5km northeast of Muju-eup. Walking about 200m upstream along the rive flow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Wangjeong Village, it was scattered on the bottom of the river or in the grass near the river in the form of boulder stones. In December 1979, a lot near the valley was fenced to prevent illegal carryout, and the boulder stones were collected and moved inside the lot for protection. As the lot is in a secluded place, however, some of them were stolen or damaged. So in October 1991, a protection facility was installed in the yard of the Muju-gun county office and the monument was relocated here.
Originally these boulder stones were scattered about 10m away from one another in the surroundings of the river, and there were 15 of them. The biggest of them was 4m in diameter, and most of them are 0.5~1m in diameter. As the bottoms of most of them is buried underground, it was difficult to se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base rock.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Japan had its eye on the underground resource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hired a British geologist Holmas and had him make a field survey all over Korea. When the survey team arrived at this county in 1928, they saw unusual rocks of unknown origin, and named them orbicular gneiss.
Local residents call them Horangyi (Tiger) Rocks as the surface of the rocks resembled tiger stripes, and take them home in the belief that the rocks would make them rich.

Relics of the National Archive (Sago) at Mt. Jeoksangsan
Northern Jeolla Province Monument No. 88
San 117-5, Bukchang-ri, Jeoksang-myeon, Muju-gun, Northern Jeolla Province
The relics of the National Archive at Mt. Jeoksangsan were designated as Northern Jeolla Province Monument No. 88 on June 20, 1995, and its area is 6,083㎡.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kept the annals of kings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The National Archive at Mt. Jeoksangsan consisted of Seonwonjeon (璿源殿) and Silokjeon (實錄殿).
In 1439 (21st year of King Sejong) new archives were constructed in Seongju of Gyeongsang Provice and Jeonju of Jeolla Province. Until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re were 4 national archives in total, i.e. Chunchugwan (an internal archive), and the national archives in Chungju, Seongju and Jeonju (external archives), but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ll of them except the one in Jeonju were destroyed by fire.
As the annals kept in the Jeonju Archive were relocated through Mt. Naejangsan and Haeju to Pyeongan Province in 1593 (26th year of King Seonjo), they became the only annals that survived the Japanese aggression.
Afterwards, the Royal Court re-published the annals in the period from 1603 (36th year of King Seonjo) to 1606 (39th year of King Seonjo). For each original from the Jeonju Archive, 3 official copies and 1 proofed copy (draft) were printed. In other words, there were 5 copies in total. To avoid destruction in a war, archives were constructed deep in the mountains or on islands.
The originals in the Jeonju National Archive were kept at Mt. Mani in Ganghwa, and then moved to the national archive at Mt. Jeongjoksan, and one of the newly printed copies was kept in Chunchugwan in Seoul as previously, and the remainder were kept in the National Archives at Mt. Taebaeksan and Mt. Myohyangsan. And the proofed copy was kept in the National Archive at Mt. Odaesan.
To the north close to the national archive at Mt. Myohyangsan, Hou-chin (後金) was expanding its power. In preparation, there were discussions about relocating the annals in the archive at Mt. Myohyangsan, but the Royal Court sent a chronicler in 1610 (2nd year of Gwanghaegun) to survey the geographical features of Mt. Jeoksangsan and repair the mountain fortress.
In 1614 (6th year of Gwanghaegun) Joseon constructed Silokjeon at Mt. Jeoksangsan noted as a fortress blessed with natural barriers for defense, and enshrined the <Annals of King Seonjo> here in 1618 (10th year of Gwanghaegun). In 1634 (12th year of King Injo) Joseon relocated the annals kept at Mt. Myohyangsan to the national archive at Mt. Jeoksangsan. Also, in 1641 (19th year of King Injo), they constructed Seonwonjeon, and enshrined the genealogy of the royal family 《Seonwongyebogiryak (璿源系譜記略; Joseon Dynasty Genealogy)》here in November of the same year, making the national archive at Mt. Jeoksangsan a complete archive.
After Joseon was annexed by Japan in 1910, however,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etc. were moved to Gyujanggak in Seoul, leaving the national archive at Mt. Jeoksangsan desolated. The site of the archive went completely underwater in 1992 due to the construction of a dam (the upper part of the pumped storage hydroelectric power station), and the relics were relocated to the current location. Seonwongak was restored in 1997, and Silokgak was restored in 1998.

.

이상 무주군청에서 의뢰한 천연기념물 번역(한영 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