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 번역

 

트라우마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트라우마 번역

트라우마 번역(한국어 원본)

Ⅰ. 서 론
1.문제제기 1
2.기존연구와 연구방법 12
Ⅱ. 심층 심리적 작가의식의 형성 과정
1.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와 초기 습작 19
2. 삽화(插画) 속의 무의식 34
Ⅲ. 창작 시기별 트라우마 구현 양상
1. 심리적 외상장애 (창작 전반기 : 1941 〜 )
1) 하이퍼그라피아(Hypergraphia) 현상 45
2) 리비도(Libido)의 유출 55
2. 공황상태 (창작 중반기 : 1950 〜 )
1) 블록현상(Writer’s block) 72
2) 이마고(Imago)의 체현 82
3. 인격장애 (창작 후반기 : 1972 〜 1995 )
1) 인격장애와 ‘戒’의 해소 104
2) 자아치유와 ≪나의 회고록(对照记)≫ 122
Ⅳ. 결 론 137
*参考文献* 142
“1943년에서 1945년 이르는 3여년 이라는 시간 동안 소설, 산문을 포함해 50여 작이 넘는 작품을 발표한 천재적인 여류 작가 장아이링은 왜 이토록 쓸쓸하게 생을 마감한 여류작가로 기억되어야만 했을까.” 라는 물음으로 본고는 시작되었다. 미국을 비롯한 중국과 타이완(臺灣)의 명망 있는 신문과 각종 매체의 장아이링을 향한 애도는, 중국 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중국 현대문학의 거장으로서의 장아이링이 쓸쓸하게 홀로 생을 마감한 것에 대한 안타까움의 표현이기도 하였다. 이는 은막에 싸여있는 듯 철저하리만큼 노출을 꺼리던 장아이링의 강박증적인 성격 탓에서 비롯된 것이며, 실제로 미국에서 그녀가 홀로 쓸쓸히 죽음을 맞이하기까지 은둔생활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인간의 인성(人性)은 대부분이 어릴 적 형성된다는 말처럼, 그녀가 만년에 이르러서 이처럼 은둔생활을 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등의 심리적 장애를 겪은 데에는 근본적으로 장아이링의 유년 시절 ‘어머니’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였다. 중요한 것은 장아이링의 작품 인생을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세 시기로 나누었을 때, 마지막 만년에 이르러서는 ‘자아치유’의 양상이 뚜렷이 발견된다는 사실이다. 이처럼 본고에서는 장아이링의 첫 번째‧두 번째‧세 번째‧트라우마로 상정한 시기 즉 정신적‧내면적 상처를 중심으로 하여 만년까지 이르는 장아이링의 작품 인생을 하나의 ‘자아치유를 위한 과정’으로 보고, 세 시기로 나뉘어지는 트라우마의 시기별 소설과 산문 그리고 회고록의 작품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작가는 창작에 있어 출생적 배경과 외부적 환경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전제하에 본고는 위의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작가 장아이링이 놓여있던 내‧외적인 요소와 관련지어 장아이링의 작품을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그래서 그 초점이 정신분석학적 관점에 맞추어져 진행될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초년‧중년‧만년(본고에서는 첫 번째‧두 번째‧세 번째 트라우마로 말하고 있음.)에 이르는 장아이링의 작품을 분석하고 논지의 타당성과 일관성을 위하여 각종 장르를 아우르는 작품을 연구범위로 설정하였다. 장아이링의 만년에 쓰여진 작품이자 그녀의 유작이기도 한 ≪나의 회고록(对照记)≫을 핵심 텍스트로 정하였는데 여기서 목격되는 장아이링의 자아치유의 실현에 부응할 수 있는 몇 가지 단서가 필요했다. 이에 따라 본론의 첫 장에서는 어릴 때의 상처가 한 사람의 인성을 결정한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장아이링에게 최초의 상처를 안겨준 시점인 유년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장아이링의 ‘어머니의 부재’를 발견하였다.
여기서 중시되어야 할 사실은 그녀의 ‘어머니의 부재’라는 상황 발생 시점이 인간이 주체성을 형성하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가장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시기(남근기: 3세-6세)였다는 사실이며, 퇴폐적인 삶으로 책임감을 져버린 아버지와 어머니의 해외 유학으로 인한 자리 부재(不在)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형성되기 위한 아버지-아이-어머니라는 기본적인 삼각구도조차 형성될 수 없도록 한 점이다. 특히, 남성 주체를 위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그리고 여성 주체를 위한 ‘Electra Complex’ 모두가 이와 같은 삼각 구도가 형성되어야 한다는 전제하에 출발한다는 공통점에 착안하고 있으므로, 페미니즘적 시각에서 해석될 수 있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이트가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인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트라우마 번역(영어 번역본)

Ⅰ. Introduction
1. Raising issues 1
2. Existing researches and research methodology 12
Ⅱ. Development of the depth-psychological consciousness of the author
1. Oedipus complex and early practice pieces 19
2. Unconsciousness in the illustrations 34
Ⅲ. Aspects of the trauma by period of creation
1. Psychological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Early period: 1941 〜 )
1) Hypergraphia 45
2) Outflow of libido 55
2. Panic (Middle period: 1950 〜 )
1) Writer’s block 72
2) Embodiment of imago 82
3. Personality disorder (Latter period: 1972 〜 1995 )
1) Personality disorder and resolution of ‘homily (戒)’ 104
2) Self-healing and ≪My memoir≫ 122
Ⅳ. Conclusion 137
*References* 142
“Why must the genius female writer, Ailing Zhang (张爱玲), who wrote more than 50 pieces including movels and essays, during the three years’ time from 1943 to 1945, be remembered as a female author who ended her life in loneliness?” This questions got me to write this thesis. Renowned newspapers and various other media in the US, China and Taiwan lamented over the loss of Ailing Zhang. It was an expression of their shock over the fact that Ailing Zhang, a big shot in Chinese modern literature, who made a landmark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passed away in solitude. It stemmed from Ailing Zhang’s obsessive personality. She thoroughly shied away from exposure as if she had been shielded from outside. In actuality, she led a life in seclusion until her lonely death in the USA.
As they say that human nature is formed early in childhood, her psychological disorder, which resulted in her secluded life in her declining years, is greatly attributed to her ‘mother’ in her childhood. More importantly, if Ailing Zhang’s works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with focus on trauma, the aspect of ‘self-healing’ is apparent in her later years. In this thesis, Ailing Zhang’s creative life through the 1st, 2nd and 3rd traumatic period to her declining years is viewed as a ‘process of self-healing’ with focus on her mental and inner wounds, and her novels, essays and memoir were analyzed in each of the three traumatic periods.
On the assumption that writers cannot be completely free from their family background and external environment in their creative activities, this thesis attempted to test the aforementioned hypothesis.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analyze author Ailing Zhang’s works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she was exposed to. Therefore, focus had to be placed on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This study analyzed Ailing Zhang’s works in her early years, middle years and latter years (this thesis refers to them as the 1st, 2nd and 3rd traumatic period), and for the sake of validity and consistency of argument, her works in various genres were covered. ≪My memoir≫, her posthumous work written in Ailing Zhang’s latter years, was chosen as the core text. A few clues to her realization of self-healing, witnessed in this work, were needed. Accordingly, in the first chapter of the body of this thesis, on the basis of the theory that a childhood wound determines the personality of a person, this study traced back to her childhood that gave Ailing Zhang the first wound, and discovered the ‘absence of Ailing Zhang’s mother.‘
Important facts here are that the period of the ‘absence of her mother’ coincided with that of ‘Oedipus complex,’ the most important period during which human beings shape their subjecthood and self-identity (Phallic Phase: 3-6 years of age), and that the absence of her father and mother, who lived a decadent life, shirked their responsibility decadent and left the country to study overseas, prevented the father-child-mother triangle, necessary for molding the ‘Oedipus Complex,’ from being formed. In particular, as both the ‘Oedipus complex’ of males and the ‘Electra complex’ of females commonly require this triangular relationship, in order to prevent confusion, i.e. interpretation from the feministic point of view, the author decided to use ‘Oedipus Complex,’ a term first coined by Freud.

.

이상 고려대학교에서 의뢰한 장병의 문학적 트라우마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