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디자인 연구 번역

 

패션디자인 연구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패션디자인 연구 번역

패션디자인 연구 번역(한국어 원본)

현대사회는 인간의 감성이 중요시됨에 따라 문화 예술분야에서는 감성의 충족을 위하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현대인과 가장 밀접한 패션은 다른 문화 예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시각적인 만족을 넘어 다양한 감각의 자극을 통해 감성의 만족을 주는 공감각적인 디자인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패션 디자이너들로 하여금 회화, 조각, 사진, 건축, 공예 등 여러 분야에서 공감각이 표현된 작품의 영감을 받아 의상디자인에 그 개념을 적용하고 통합하도록 하였다.
공감각의 현상 중 하나인 음악의 시각화 경우 보이지 않는 음악을 색이나 형태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 하는 것으로 19세부터 20세기까지 활동했던 바슬리 칸딘스키가 회화를 통해 대표적으로 시도하였다. 칸딘스키는 음악적 경험을 통해 받은 영감이나, 음악의 표현을 회화에 색과 선, 형태를 이용하여 나타내고자 하였다. 패션 디자이너들은 이러한 칸딘스키의 회화를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서 의상에 음악의 시각화를 나타내려했다.
본 연구에서는 바슬리 칸딘스키 회화의 분석을 통하여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도출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현대패션에 나타난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음악의 시각화를 나타내기 위해 의상에서 사용되어진 표현방법과, 대표적으로 표현되어진 조형적 특성과 미적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음악의 시각화를 패션디자인에 표현하기 위한 방향과 유사 연구의 방법론적인 측면을 제시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범위로는 칸딘스키의 회화를 적용한 조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의 2000 Spring Ready-to-Wear와 제니(Genny)의 2000 Fall Ready-to-Wear에서 발표된 작품 158점을 살펴보았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슬리 칸딘스키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음악의 시각화가 표현된 작품(인상3, 즉흥19, 구성5,9)을 분석한 결과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공간성, 운동성, 중첩성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칸딘스키는 회화에서 나타난 공간성은 강렬한 원색의 대립과 부딪힘, 선의 구조와 변형, 기호들의 형태에 의한 공간감의 부여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성을 통해 불협화음의 표현, 음악회의 연상, 정서적인 감각을 이루어낸다. 운동성은 색의 대비와 불규칙성, 선의 곡선을 통한 유동성 부여, 생물 느낌의 기하학적 모양의 배치를 통해 표현하고 있으며 이는 음정의 울림, 악기음의 분출, 리듬과 화성의 비유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중첩성은 선과 색, 모형의 겹침을 통해 생명의 이미지 연상, 원근감과 부피감 부여, 운동감과 공간의 표현을 이루어내고 있다.
둘째, 칸딘스키 회화를 이용하여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현대패션 작품을 선별하여 연구한 결과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패션에서는 선과 형태, 색, 소재를 사용하여 표현하였고 이에 따른 미적 효과 또한 강조, 통일, 입체, 유희, 노출, 간결의 6가지 효과가 나타났다.
의상 안에서 강조는 통일된 형태 안에서 사용은 긍정적인 효과를 주지만 과도하게 되면 다른 부분의 효과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통일의 효과는 표면상에 질서나 운동감이 나타나며, 입체의 효과를 통해서는 팽창과 활발의 느낌을 준다. 유희의 효과는 즐거움, 쾌락, 흥분과 같은 다양한 감성을 반영하거나 감성을 끌어오기도 하며, 노출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을 충족시켜 주기도 하며 취향의 차별화나 탈신체화를 이루기도 한다. 간결은 본질을 더욱 추구하는 의상에서 자주 표현이 되며 현대 패션에서는 미니멀리즘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셋째, 음악의 시각화 특성에 따른 현대의상의 분석을 통해 각 특성에 따라 두드러진 표현방법이나 미적효과를 도출하였다.
공간성이 표현된 현대의상의 경우 색의 대비와 탈색을 통하여 공간성을 부여한 의상이 가장 많았으며 이로 인해 간결하면서도 유희적인 효과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선의 중첩과 의상의 주름선을 이용하여 색의 강조와 입체적인 효과를 나타내기도 했으며 기호학적인 형태의 사용와 소재의 특성을 이용한 노출의 효과가 표현되었다. 운동성을 표현된 의상을 분석한 결과 색의 자유로운 배치나 대비와 명암을 통하여 가장 많이 운동성이 표현되었으며 유희적인 효과가 나타난 의상이 가장 많았다. 또한 소재의 광택이나 변형을 통하여 강조나 통일, 노출의 효과를 주기도 하였으며 기하학적 모형들의 형태를 인용하거나 곡선의 배열을 통해 간결, 입체, 통일의 효과를 표현하였다. 중첩성이 나타난 의상을 분석한 결과 색과 소재의 중첩의 이용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이를 통한 색상, 형태, 선의 강조가 유희, 노출의 효과를 표현하였다. 또한 통일된 형태의 소재로 중첩하여 의상의 방향성을 부여하기도 하였으며 선의 중첩을 통해 입체적이며 간결한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시각화를 통한 패션디자인을 연구하는데 바슬리 칸딘스키를 중심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후속 연구로 칸딘스키뿐만 아니라 음악의 시각화를 표현한 다양한 추상 화가들의 회화를 적용한 현대 패션을 고찰함으로 연구의 폭을 다양하고 넓게 가질 수 있겠다. 아울러 다른 문화 예술분야의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차용한 현대패션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 또한 흥미로울 것으로 생각된다.

패션디자인 연구 번역(영어 번역본)

As the human emotion becomes important in the modern world, there are various attempts in the cultural art sector to satisfy human sensibility. Especially fashion is most closely connected to the modern people as well as other cultural arts. Its synesthetic designs attempt to satisfy the human sensibility by stimulating not only vision but also various senses. Such trends motivate fashion designers to be inspired by various arts expressing synesthesia in paintings, sculpture, photography, architecture, craft, etc. and apply and integrate the concept into their fashion design.
One of the synesthetic phenomena is visualizing music through colors and shapes. Such attempts were made by the paintings of Wassily Kandinsky in the 19th to 20th century. Kandinsky tried to use colors, lines, and shapes in his paintings to express inspiration he received through musical experiences and fashion designers applied such paintings of Kandinsky to clothing.
This research analyzes Wassily Kandinsky’s paintings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ization of music and based on this, explore such characteristics in modern fash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explores the methods of expression, representative figurativ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effects used in clothing to visualize music. Such research is expected to suggest the direction in expressing music in fashion designs and in methods of similar researches.
The range of this study is based on 158 pieces of clothing including Giorgio Armani’s 2000 Spring Ready-to-Wear that applied Kandinsky’s paintings and Genny’s 2000 Fall Ready-to-Wear pieces. The research method carries out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studi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of Wassily Kandinsky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visualization of his paintings (impression3, improvisation19, composition5,9 can be summarized as spatiality, mobility, and duality.
The spatiality in Kandinsky’s paintings expresses the opposition and conflict between strong primary colors, forms and changes of lines, and shapes of symbols. Such spatiality successfully expresses dissonance, musical concerts, and emotions. Mobility is expressed through the contrast and irregularity of colors, liquidity of curves, and arrangement of geometric shapes like organisms. Such mobility represents the vibration of tunes, spurt of instrumental sounds, and the comparison between rhythm and harmony. Finally, duality is expressed through the overlapping lines, colors, and shapes. It represents the image of life, three-dimensional effect, space, and movement.
Secondly, we chose some modern fashion pieces that tried to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ization of music through Kandinsky’s painting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ization of music were expressed in lines, shapes, colors, and material and there were six artistic effects of emphasis, unification, three-dimensional structure, amusement, exposure, and simplicity.
The use of emphasis within a uniform form of clothing has a positive effect. However, if it is overused, the effects of other parts decrease as well. The effects of uniformity appear in the order and mobility. The third-dimensional effects give an expansion and lively feeling. The effects of amusement reflect various emotions like joy, pleasure, and excitement and draws sensibility. Exposure satisfies the basic human desires, differentiates personal preferences and achieves desomatization. Simplicity is often used in clothing that seeks to express the essence. In modern fashion, it developed into minimalism.
Thirdly, through the analysis of modern fash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sualization of music, we draw an artistic effect or unique expression method of each characteristic.
In the case of modern clothing that expresses spatiality, spatiality was most commonly expressed through contrast in colors and bleaching which showed the effects of simplicity and wit. Overlapping lines and pleated decorations expressed the emphasis in colors and three-dimensional effects. The effects of exposure were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semiotic forms and fabric. Mobility was most commonly expressed through the free arrangement of colors, contrast, and shading and this had a witty effect. Moreover, the effects of emphasis, uniformity, and exposure were given through the gloss and transformation of materials. Effects of simplicity, three-dimension, and uniformity were given through the geometric shapes and arrangement of curves. Duality in clothing was most commonly expressed through the overlapped use of colors and materials and the emphasis of color, form, and line had the effects of wit and exposure. In addition, some clothing were directed by overlapping uniform forms of materials and overlapping lines had a three dimensional and simple effect.
This research studied the visualization of music through fashion design in the range of only Wassily Kandinsky. Therefore, follow-up studies can have a broader range in studying modern fashion that applied the paintings of other various abstract painters who visualized music. Also, it will be interesting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visualization of other cultural art sectors integrated into modern fashion.

.

이상 한국패션산업연구원에서 의뢰한 패션디자인 연구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