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 논문 발표 번역

 

학위 논문 발표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학위 논문 발표 번역

학위 논문 발표 번역(한국어 원본)

우선 제가 발표하게 될 내용은, 연구계획 단계에 있기 때문에 A와 B와 달리 다소 미흡합니다. 발제가 끝난후, 많은 코멘트를 해주시면, 반영해서 좋은 연구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3가지 질문 모두 매우 중요한 점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먼저 첫 번째 질문에 대해 답하도록 하겠습니다. 신뢰란 것은 타인을 얼마만큼 믿고 의지하는것인가와 관한 것이다. 호혜성과 신뢰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신뢰가 무조건 적인 믿음을 의미한다면, 호혜성은 지금 내가 가진 것을 남에게 주면 당장은 나에게 손해가 되지만, 미래에 내가 어려움에 처했을때 나에게 도움을 받은 사람이 나를 도와줄 것이라는 기대에 근거하여 타인을 돕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진정한 의미의 호혜성은 신뢰에 기초한다. 따라서, 신뢰와 호혜성 모두 사회적 요소로 고려할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신뢰는 사회구성원들을 얼마만큼 믿느냐 등으로 측정되었으며, 호혜성은 위험에 처한 사람을 도와줄 용의, 비선호시설 입지에 찬성할 용의 등으로 측정되었다. 조직적 차원의 요소를 분석 모형에 포함시키지 못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전이이론은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감정상태가 다른 활동에 영향을 미쳐 직무 성과로 이어짐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의 감정상태를 의미하는 A와 B라는 요소를 통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요한 지적입니다. 하지만, 연도별로 구분하여 분석하게 될 경우 논문의 양이 많아질것 같습니다. 저는 그것이 걱정됩니다. 그러나 경제위기 등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적 요인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너의 연구는 세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졌던 리더십 변수인 A와 B가 아니라, C를 고려했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A와 더불의 B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연구의 강점이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는 기존에는 주로 조절변수나 매개변수로 다루어졌던 A와 B를 선행변수로서 다루어졌다는 점이다. 특히, C에 선행변수로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는데, 흥미로운 발견이라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A와 C의 차원을 각 3가지씩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는데, 잘 구조화된 모형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가지 의문이 드는점이 있다. 너는 A를 선행변수로, B를 결과변수로 설정했는데, 이는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된다. 너는 왜 A를 선행변수로, B를 결과변수로 설정하였는지 설명해 주기 바란다. 특히 이둘의 관계를 설명할수 있는 이론이 존재하는가?

너의 연구는 경로모형도 흥미로웠지만, 그것보다는 A분석을 통해서 민간부문과 공공부문의 신뢰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는 점이다. 신뢰 수준 비교에 있어 민간영역보다 공공이 높게 나왔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그런데, 너의 연구모형에서 의문이 드는 부분이 있다. 나는 사회자본 차원과 조직신뢰 차원이 어느정도 유사해 보인다. 따라서 분석에서 있어 다중공성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학위 논문 발표 번역(영어 번역본)

First of all, my presentation will be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A and B because it is still in the research planning stage. I encourage you to provide many comments and feedback after the presentation, so that we can reflect them to conduct a better study. I believe all three questions are very significant. I will answer the first question. Trust is about how much you believe and depend on another person. Reciprocality and trust have slightly different meanings. If trust refers to unconditional faith, reciprocality refers to helping others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they will help me later when I face difficulties, even though giving something I possess will be a loss to me right now. Yet, true reciprocality is based on trust. Therefore, both trust and reciprocality can be considered as social factors. In this study, trust was measured by how much one has faith in members of a community, and reciprocality was measured with the will to help people in difficulties, or the will to support non-preference facilities. It is unfortunate that a component on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was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model. However, transition theory shows that emotions felt in daily life impact other activities, which in turns influences work performance. Therefore, through the factors A and B, which represent the emotional state in daily life, we believe it can indirectly explain th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is an significant point. However, the size of the paper will increase if we divide the data by year and analyze it. That is what we are concerned about. However, we will consider this because there exists external factors like economical crises that can impact the quality of life.

I think your study has significance in three different perspectives. First, it considers C as a leadership variable, not A nor B which were mainly covered in previous researches. Because the significance of B, along with A, is recently being emphasized, this is the strength of the study. Second, it puts A and B as precedence variables, rather than as moderating or mediating variables as mainly regarded in previous studies.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it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C as a precedence variable, and I believe it is an interesting discovery. Lastly, A and C are presented by dividing each into 3 different dimensions, which I think is a well structured model. However, there is one thing that is questionable. You set A as a precedence variable and B as a result variable, but I think thi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searcher’s perspective. I’d like to ask you to explain why you set A as a precedence variable and B as a result variable. Specifically, is there a theory that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he path model in your study was interesting, but more importantly, it was interesting to observe the difference in the trust level of civil and public sectors through analysis of A. It was interesting that the public sector was higher than the civil sector in the trust level comparison. However, there is something that is questionable in your research model. I view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trust dimensions as similar to a certain degree. Therefore, in terms of analysis, I believe a multicollinearity problem can occur.

.

이상 경북대학교에서 의뢰한 학위 논문 발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