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일본교회 번역

 

한국교회 일본교회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 번역)

 

한국교회 일본교회 번역

한국교회 일본교회 번역(한국어 원본)

1945년 이후의 한국교회와 일본교회의 화해
―1965년의 한일조약 비준반대운동의 의의를 중심으로―
1945년 8월, 미국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여 일본이 항복하였기 때문에, 8월 15일에 2000만의 한국민족이 36년간의 일본제국주의의 억압에서 “해방(잃었던 자유를 회복했다는 의미)”되었다. 그러나 그 기쁨은 잠시뿐, 1950년에 한국전쟁이 발발했고, 그 와중에 미국의 주선으로 한국과 일본의 국교정상화를 위한 회담이 개최되었다. 1960년 4월 19일의 학생운동은 “정의의 절규”로 불릴 정도로 “혁명적”이었다. 그것은 당시의 이승만대통령을 사임으로 내몰았고, 부정부패에 침묵하고 있던 한국교회에 경종을 울렸다. 한일회담은 1961년의 “5 16군사구테타”로 박정희군사정권이 들어서면서 급진전되어, 1965년 6월에 조인되었다. 이에 한국교회는 교파를 초월하여 국회에서의 비준반대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했다. 그들은 양국의 국교가 정상화되는 것에는 반대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정부에 대해서는 굴욕적외교를 책망했고, 일본에 대해서는 과거 역사의 과오에 대한 반성을 촉구했으며, 일본교회에 대해서는 협력을 요청했다. 한국교회의 비준반대운동을 계기로 일본교회는 처음으로 한국교회의 진심을 이해하게 되었고, 일본의 과거의 죄악에 대해 회개와 사죄를 표명하여, 양국교회 사이에는 1965년 9월에 “화해”의 문이 열렸다. 한일교회교류는 1967년 3월에 일본기독교단The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으로 하여금 2차 대전하에서 전쟁에 협력했던 사실에 대한 회개의 성명[Confession on the Responsibility during World War Ⅱ]을 나오게 한 동기를 제공했고, 그 해 가을에 일본교회와 한국교회가 선교협약을 맺는데 기여했다. 또한 1970년대의 한국민주화운동에는 양국교회가 연대하기까지 발전했다. 양국교회의 교류는 세대로 부터 세대로 계승되어, 근년에는 신학에까지 교류의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이와같은 열매를 맺게 한 최초의 계기가 한국 크리스천의 일한조약 비준반대운동이었고, 이런 의미에서 그것은 “역사적인 의의”를 갖는다고 말할 수 있다.
소개
미국이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해서 일본이 항복한1945년 8월 15일은, 일본과 한국에 있어서 역사의 전환점이었다. 두 나라는 그 날을 각각 다른 의미의 말로 부르고 있다. 일본에서는 “Haisen”(전쟁에 패배했다는 뜻)으로 부르지만, 한국에서는 “KwangBok”(빛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부른다. 표현은 다르지만, 1945년 8월 15일 부터 두 나라는 인류보편의 가치인 자유와 인권을 존중하는 민주주의의 나라로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었다.
일본의 신학자 Hideo Ohki교수는 “인격과 인권”이라는 저서의 서문에서, 2차 대전에서의 일본의 패전을 일본사에서의 “대 변동”으로 보면서, 패전으로 인한 헌법의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즉, 옛 헌법인 “메이지 헌법”(Meiji Constitution)에서 새 헌법인 “일본국헌법”(The Constitution of Japan)으로의 변화이다. “메이지 헌법”(Meiji Constitution)은 1890년 11월부터 시행되었는데, 거기서는 천황이 국가의 원수이며, 국민의 모든 권리의 원천이며, 일체의 정치 권력이 그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일본의 2차대전의 펴전은 군국주의에서의 탈피뿐만 아니라, 엤 헌법에서도 탈피하게 했다. 미국인이 기초(起草)를 해서 새롭게 제정된 “일본국헌법”은 1946년 11월 3일에 공포되어, 1947년 5월 3일부터 시행되었다. 여기서 천황은 상징적인 존재로 기술되어 있다. 일본의 항복의 조건 안에 기본적인권의 존중이라는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일본국헌법에서는 국민의 주권과 자유와 인권이라는 인류보편의 원리(universal principle of mankind) 가 존중되어 있다. 즉 1945년 8월 15일을 전환점으로 해서, 일본은 천황제국가에서 자유민주주의국가로 새출발하게 되었던 것이다.

한국교회 일본교회 번역(영어 번역본)

Post-1945 Reconciliation of Korean and Japanese Churches
-With a Focus on the Meaning of Movement against Ratification of 1965 Treaty of Bas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August 1945, with American atomic bombing of Hiroshima and Nagasaki, Japan submitted an unconditional surrender, “liberating (re-granting foregone freedom)” twenty million ethnic Koreans from the oppressive Japanese imperialist regime of 36 years on August 15. Joy did not last long, however, with the outbreak of Korean War in 1950, and a conference was coordinated by the United States for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in the midst of much confusion. Student movements on April 19, 1960 were “revolutionary” enough to be called an “outcry for justice”. It eventually deposed the then-President Rhee Syngman, while sounding the alarm for Korean churches that maintained silence among much corruption. The newly established Park Chung-hee regime from “May 16 military coups”, the progress towards Korean-Japanese Conferences was greatly accelerated, culminating in signing in June 1965. Korean churches reacted by initiating a nation-wide pan-denomination anti-ratification movement. They did not object to the diplomatic normalization of the two countries. Rather, they criticized Korean government for its overly conciliatory diplomacy, demanded Japan to apologize for the wrongdoings of the past, and asked for cooperation from the Japanese churches. The anti-ratification movement led Japanese churches to understand Korean churches’ intentions and show repentance and apology, resulting in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churches in September 1965. Interactions between churches of Korea and Japan spurred the United Church of Christ in Japan to publish Confession of Wartime Responsibility during World War II in March 1967, and contributed to the completion of mission agreement between the churches of two countries in the fall of the same year. The relationship advanced during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s during 1970s when the two countries’ churches formally banded together. The relationship was passed down generation after generation, and it has expanded to cover the areas of theology in recent years. The initial impetus for such fruition was the anti-ratification movement by Korean Christians, which in this sense can be thought to have a “historical significance.”
Introduction
On August 15, 1945, when Japan submitted an unconditional surrender following American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Japan and Korea faced historical turning points. Two countries refer to the date with different expressions. Japanese call it haisen (meaning defeat) while Koreans call it kwangbok (meaning retrieval of light). Expressions may have differed, but the two countries embarked on a journey to become democratic countries that respect freedom and human rights, two basic human values, since August 15, 1945.
In “Personality and Human Rights,” Professor Hideo Ohki, a Japanese theologian, characterizes the Japanese surrender from World War II as a “cataclysm,” and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Constitution following the defeat. That is, the change from the old “Meiji Constitution” to the new “Constitution of Japan”. Meiji Constitution, enacted in November 1890, dictates that the Emperor is the head of the state, the origin of all rights for citizens, and the owner of all political power. The defeat from World War II, however, led the country away from not only militarism but also the old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of Japan, drafted by an American, was promulgated on November 3, 1946 and enacted on May 3, 1947. According to this Constitution, the Emperor is merely a symbolic existence. As the conditions for surrender included respect for basic human rights, the Constitution of Japan granted citizens with political rights, freedom and human rights as part of the universal principle of human race. Thus, from August 15, 1945 onwards, Japan reconstituted itself from an empire to a liberal democracy.

.

이상 카톨릭대학교에서 의뢰한 한국교회 일본교회 번역(한영 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