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행정 시스템 번역

 

한국 교육행정 시스템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영어번역)

 

한국 교육행정 시스템 번역

한국 교육행정 시스템 번역(영어 원본)

Chapter 3. System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1. The Overview of Kore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Kore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is divided into nat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and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Korea has sustained presidential system since World WarⅡ. The centralized administration has been hugely changed since 1991, when Korea adopted local self-governing system. By then, superintendent and education committee system was already in existent but was just perfunctory systems which the president appointed.
The feature of nat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is that as a presidential advisory board, it set up policies by forming, education reform council. Since 1985, previous governments have formed presidential advisory board, however, now in 2012, the current government does not. As a result of carrying forward education reform by presidential advisory board, the reform was pushed ahead progressively but had several drawbacks owing to its top-down system as well as being into conflict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However, the MEST is still the key organization of nat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it takes the responsibilities to plan, establish, and notice in public the most critical tasks of national education policies. In the past, the problem of a much too frequent reappointment of the minister has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inconsistency of the policy, but recently, a consistency of the policy has been maintained. The policy of school autonomy can be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trait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is that it has been conducted in a metropolitan(City/Do) unit. At the present, Korea consists of 17 metropolitan cities, autonomous cities and provincials. Each mayor or provincial governor is appointed by residents’ election. As a legislative organization, local councils are placed in both metropolitan (City/Do) and basic unit of administration district (City/Gun and autonomous Gu). Korea has started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since 1991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self governing system.
The purpose of this Local Education Autonomy System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education by providing the establishment of agencies which manage the affairs related to education/science/technology/sports and other arts and sciences and all matters related to the organization and its operation, so as to utilize the independence and expertise of education and the particularity of local education.
In regards to this matter, apart from mayor or provincial governor, educational superintendent system has been carried out. In terms of the method of superintendent election, residential representativeness has been gradually expanded from that of ‘board of education’ election method(1991) to ‘school operation committees’ election method(2000) and later on has again changed to ‘resident direct’ election method(2007). On the other hand, board of education, which is a decision-making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as a deliberation body. However, since 2010, it has been integrated as a standing committee within local council.
In case of Jeju, which is a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it especially carried out decentralization of education earlier than other province. Since 2006, it has started the system of board of education which is integrated with local council, and has been electing education council members among people who has education career which differs from general council members. This system has been expanded to whole country through 2010 law revision.
Recently, in Korea, each national and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ions have been sharing their role. It means that while MEST, which is centr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ion, oversees the policy mainly regarding university and science, 17 city & province level education bureaus which are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ion oversees each region’s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policy. Otherwise, the tasks of national level curriculum development, student’s achievement test and teacher evaluation are led by MEST. In addition, some national bureaucrats are detached to 17 city & province level education bureau as a vice-educational superintendent. By looking at the points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Korea still has the feature of centraliz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ystem.
2. Nat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ion
The highest organization who oversees the nation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task is the president, who is the head of government. President decides important educational policy as a chairman of state council. President appoints the minister of MEST politically, and it does not matter whether he or she is a member of a party or congressman or a professor. Occasionally, due to some mistakes or errors made, an appointed minister could be discharged as there is no specific term of appointment. Furthermore, the president establishes the plan of education reform by forming presidential advisory committee. The president can appoint ‘presidential degree’ regarding education but is mostly ‘enforcement decree’.
The MEST is originated from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1948.11.4)’. Since then, the name of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had been used for over 40 years. It was then changed to ‘ministry of education’, on 27th of December, 1990. After approximately 10 years later, on 29th January 2001, the name ‘ministry of education’ was changed to ‘Ministry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Yet again, on 29th February 2008, it was changed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was integrated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ason for the establishment of MEST, which is representative of centralized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ion is based on ‘Government Organization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GOA’). The article 22 of GOA regulates that there should be 15 administration department including MEST,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President. In addition, the article 24 of GOA regulates that the Minister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hall administer the affairs 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licies, school education, lifelong education, sciences, policy and research development on basic science, atomic energy, training of human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other affairs on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cases regarding organizing and the composition of MEST at the ordinance level are regulated based on the ‘Structure of MEST and its affiliated institutions’ which is presidential decree. Now this ‘presidential decree’ regulates the organization of MEST and its affiliation institution as well as duty scope, etc. As the affiliation institutions of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re ar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Training Institute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ppeals Commission for Teachers’,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 and ‘National Science Museum’, etc. The organization as division and team level can be established by the minister of MEST’s command (Ko,Jeon, 2006: 62).
Currently, MEST consists of 4 offices, 19 bureaus, 69 divisions with 738 people as the member of organization. The below is the organization chart of the MEST.

한국 교육행정 시스템 번역(한국어 번역본)

3장. 교육행정 시스템
1. 한국 교육행정 시스템 개요
한국의 교육행정 시스템은 국가 교육행정 시스템과 지방 교육행정 시스템으로 나뉜다. 한국은 2차 세계대전 이래 대통령제를 유지해왔다. 한국이 지방자치제를 채택한 1991년 이후 중앙집중적이었던 행정은 커다란 변화를 겪었다. 당시에도 교육감과 교육위원회 시스템은 이미 존재하고 있었지만 대통령이 지명하는 형식적인 시스템에 지나지 않았다.
국가 교육행정 시스템의 특징은 교육개혁위원회를 대통령 자문위원회로 구성해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다. 1985년 이래로 과거 정부들은 대통령 자문위원회를 구성해 왔지만, 2012년 현재 정부는 그렇지 않다. 대통령 자문위원회가 교육 개혁을 추진한 결과, 개혁은 혁신적으로 실행되었지만 교육부와의 마찰뿐 아니라 하향식 시스템에서 기인하는 몇 가지 결함들이 존재 했다. 그러나 MEST는 여전히 핵심적인 국가 교육행정 기관이며, 국가 교육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업무들을 계획하고, 확립하며, 국민들에게 이를 알릴 책임을 지고 있다. 과거에는 너무나 자주 장관이 재임명된다는 문제가 정책의 비일관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지만, 최근에는 정책의 일관성이 유지되고 있다. 학교 자율화 정책이 그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지방 교육행정 시스템의 특징은 대도시(시/도) 단위로 실행된다는 것이다. 현재 한국은 17개의 대도시와 자치시들 그리고 도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지방의 도지사나 시장은 주민 투표를 통해 임명된다. 대도시(시/도)와 기본적인 행정구역 단위(시/군과 자치구)마다 입법기관인 지방위원회가 있다. 한국은 지방자치제의 실행과 함께 1991년부터 지방 교육 자치제를 시행해 왔다.
이러한 지방 교육 자치제의 목적은 독립성과 교육 전문가들 그리고 지방 교육의 특성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학/기술/스포츠와 기타 학술과 관련된 업무들을 관리하고, 기관과 기관의 운영과 관련된 모든 문제들을 관리하는 기구들의 설립을 지원해 지방 교육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해 시장이나 도지사 외에 교육감 제도가 별도로 실시되었다. 교육감 선거 방식은 주민 대표들에 의해 점차적으로 ‘교육위원회’ 선거 방식(1991)에서 ‘학교 운영위원회’ 선거 방식(2000)으로 확대되어 나갔으며 이는 이후에 ‘주민 직접’ 선거 방식(2007)으로 다시 바뀌었다. 다른 한편에서는 의사결정 기구인 교육위원회가 심의체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2010년 이후 이는 지방위원회 내의 상임위원회로 통합되었다.
특별자치도인 제주도는 다른 지역보다 일찍 교육 분권화를 실시하였다. 2006년부터 지방위원회와 통합된 교육위원회 제도를 시행하였고, 일반 위원들과는 달리 교육 경력이 있는 사람들 중에서 교육 위원들을 선출하였다. 이러한 제도는 2010년 법 개정을 통해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최근에 한국의 국가 교육행정 기관들과 지방 교육행정 기관들은 자신들의 역할을 분담하고 있다. 이는 중앙 교육행정 기관인 MEST는 주로 대학과 학술에 관한 정책들을 감독하는 반면, 지방 교육행정 기관인 17개 시도 차원의 교육부서들은 각 지역의 초중등 교육 정책을 감독함을 의미한다. 국가 차원의 커리큘럼 개발과 학생 성취도 테스트, 교사 평가 업무는 MEST가 주관한다. 또한 일부 국가 공무원들은 17개 시도 차원의 교육위원회에 부교육감으로 파견된다. 앞서 기술한 사항들을 고찰해 보면, 한국은 여전히 중앙집중적인 교육행정 제도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2. 국가 교육행정 기관
국가 교육행정 업무를 감독하는 최고 기구는 정부의 수장인 대통령이다. 대통령은 국가위원회의 의장으로서 중요한 교육 정책들을 결정한다. 대통령이 MEST 장관을 정치적으로 임명하며, 장관은 당원이건 국회의원이건 또는 교수이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임명 기간이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간혹 어떤 실수나 잘못으로 인해 임명된 장관이 해임되기도 한다. 또한 대통령은 대통령 자문위원회를 설치해 교육 개혁에 관한 계획을 수립한다. 대통령은 교육과 관련된 ‘대통령령’을 포고할 수 있지만, 이는 주로 ‘시행령’이다.
MEST의 기원은 ‘문교부(1948.11.4)’이다. ‘문교부’라는 명칭은 이후 40년 간 이용되었다. 1990년12월 27일에 문교부는 ‘교육부’로 바뀌었다. 약10년 후인 2001년1월29일, ‘교육부’라는 명칭은 ‘교육인적자원부’로 변경되었다. 그 후 ‘교육인적자원부’와 ‘과학기술부’가 통합되어 2008년2월 29일 이는 다시 ‘교육과학기술부’로 바뀌었다.
중앙 교육행정 기관의 대표인 MEST를 설립한 이유는 ‘정부조직법’(이하 ‘GOA’라 한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GOA 제22조는 대통령의 통할 하에 기획재정부와 MEST를 포함해 15개 부처를 둘 것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GOA 제24조는 교육과학기술부가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학교 교육, 평생 교육, 학술, 기초과학 정책 연구 개발, 원자력, 과학기술인력 양성, 그 밖에 과학기술진흥에 관한 사무를 관장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MEST의 설치와 구성에 관한 케이스는 대통령령인 ‘MEST와 소속기관 직제’ 시행 규칙을 근거로 규정된다. 현재 이 ‘대통령령’은MEST와 소속기관의 직제뿐 아니라 직무 범위 등도 규정하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의 소속기관에는 ‘국사편찬위원회’, ‘국립특수교육원’, ‘교육과학기술연수원’, ‘교원소청심사위원회’, ‘국립국제교육원’, ‘국립중앙과학관’ 등이 있다. 부서와 팀 수준의 조직은 MEST 장관의 지시에 따라 설립 가능하다(Ko.Jeon. 2006:62).
현재 MEST는 4개의 실과 19개 관, 69개의 과로 구성되어 있으며, 738명의 직원들이 기관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아래는 MEST의 조직도이다.

.

이상 서울교육대학교에서 의뢰한 한국 교육행정 시스템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