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미술 작가들 번역

 

한국 현대 미술 작가들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한국 현대 미술 작가들 번역

한국 현대 미술 작가들 번역(한국어 원본)

권수현 작품의 주제, 코끼리는 암컷이 이끄는 가족 단위 무리생활을 하며, 무리생활을 통해 서로 의사소통을 나눈다. 코끼리는 생태계에서 여러 가지 중요한 일을 수행하여 많은 종류의 동물이 살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 줄 뿐 아니라 기억력이 좋아 사람들은 수 천년 전부터 코끼리를 길들여 이용해 왔다. 이러한 코끼리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힘, 승리, 장수, 부귀영화 등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권수현의 작품 속에서 코끼리는 천사, 낙원, 성채, 이슬람 양탄자 등 상상적 존재들과 함께 등장하거나 또는 새의 날개를 달거나 인어의 이미지가 중첩된 은유적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작가에게 코끼리는 인간이 꿈꾸는 보편적 희망이나 가치를 반영한 캐릭터이며, 작가는 이러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통해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하고 있다.
감각적이고 명쾌한 색채들로 채워진 모자이크 방식은 삶에서 포착한 작은 행복의 단편들을 상징한다. 그리고 금분으로 칠해진 길은 인간 삶의 여정을 의미하며 거미가 자신의 분비물로 집을 촘촘하게 엮어가듯 나락으로 떨어지지 않게 하는 모성의 공간, 사랑이 발생하는 공간, 삶의 배후를 감싸는 안전망을 의미하는 것이다. 권수현은 작품을 통해 긍정적인 생각이 행복의 출발점임을 말하고 있다.

아트놈은 대학에서 한국화를 전공하고 몇 년 간 캐릭터디자인 회사에서 일했다. 아트놈의 작업은 한국화와 캐릭터의 연결고리를 찾음으로써 시작되었다. 아트놈이 모티브로 삼은 민화는 조선시대 서민들의 소망을 담은 그림이다. 당시 민화는 생활 속에서 쓰임이 분명한 실용화였다. 새해가 되면 대문 앞에 붙이거나, 선물로 주고 받거나, 민화가 그려진 병풍 앞에서 혼례를 치르는 등 서민들의 삶 가까이에서 있었으므로 당대인들의 삶의 모습과 철학 등이 가장 잘 담겨 있다. 또한 민화를 그린 화가들은 그림에 흔적을 남기지 않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었다.
아트놈은 한국화에서 가장 중요한 조형요소 “선”을 캐릭터의 심플함과 연결시켰다. 그리고 그 옛날 민화처럼 현대인들 누구나 바라는 일상 속 행복을 그림에 담았다. 우연히 써본 양머리 모자에 착안하여 양의 모습을 하고 있는 주인공 자신, 언제나 그 옆을 지키는 아내 ‘가지’, 강아지 ‘모타루’를 캐릭터화하고 이들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담아냈다. 작가 아트놈만의 유머와 친근감으로 보는 이들에게 행복 바이러스를 전달한다.

이동기는 한국 팝아트의 위치를 확보하고 영역을 넓힌 대표적 작가이다. 그의 아토마우스는 일본을 대표하는 만화 주인공 ‘아톰’과 미국 대표 캐릭터 ‘미키마우스’의 절묘한 결합이다. 그가 유년 시절을 보냈던 1970~80년대 우리 문화는 미국과 일본의 컨텐츠가 지배적이었고, 그 대표적인 것들이 아톰과 미키마우스였다. 따라서 아토마우스는 작가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유년의 기억이 자연스럽게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작가가 대학에서 순수미술을 전공하던 시기, 그리고 처음 아토마우스를 발표했던 1990년대 초, 한국 미술계는 추상미술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며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구분이 분명하던 시기였다. 그리고 아토마우스는 단순한 대중적 이미지의 재사용이 아니라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경계를 허물고자 했던 작가의 의지에서 비롯된 것이다. 꽃밭에 있는, 라면을 먹는, 정신병동에 있는, 십자가에 못박힌, 담배를 피우고 있는, 버블 등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아토마우스는 사회와 예술에 대한 균형과 긴장을 작가 자신만의 방식으로 기록하고 있는 것이다.

임지빈은 ‘베어브릭(Bearbrick)’이라는 곰 모양 장난감을 모티브로 한 조각 작품을 통해 현대 소비문화의 이면들을 이야기하고자 한다. 베어브릭은 곰과 브릭의 합성어로 2001년 일본의 한 완구업체가 성인들의 수집 목적으로 기획한 장난감이다.
임지빈은 베이브릭 모양의 조각에 자동차 전용도료와 섬세한 표현마감으로 상품 그 이상의 질감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어떤 때는 조각의 표면에 다양한 명품 로고들을 뒤덮기도 한다. 작가는 이러한 작품을 통해 상품을 소비하고 소유함으로써 존재를 증명하는 현대인을 풍자했다. 그의 작품에 일괄되게 붙어 다니는 제목 ‘Slave’는 이처럼 상품의 소비에 집착하다 결국 노예가 돼버리는 우리 모습에 대한 성찰을 유도하고 있다. 그는 최근 집 문 위에 걸어놓는 소위 장식용 사슴에서 모티브를 따온 일련의 작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상품의 소유에 대한 욕망과 사냥한 동물을 박제해서 집안에 전시하는 행위, 다시 말해 ‘소유’와 ‘지배’에는 정서적인 유사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임지빈의 작품은 이러한 현대인의 왜곡된 욕망, 다시 말해 물신화된 상품에 대한 맹목적인 ‘소유’에 대한 성찰을 유쾌하게 담고 있다.

한국 현대 미술 작가들 번역(영어 번역본)

The theme of Kwon Soo Hyun’s work is elephants living in groups based on family led by a matriarch, and communicating through group activity. Because elephants not only conduct various important tasks in an ecosystem to provide a place to live for many types of animals but also have good memory, men have domesticated and used elephants since thousands of years ago. Whether in the East or West, elephants possess positive meanings such as power, victory, longevity, wealth and prosperity.
Within Kwon Soo Hyun’s work, elephants appear with imaginary figures such as angels, paradise, castles, and Islam carpets or in metaphorical forms such as having bird wings or a mermaid image overlapped on it. To the artist, an elephant is a character that reflects typical hope or value that humans dream about, and she communicates the hope that everything with turn out well or wishes will come true through such positive imagery.
The mosaic method that is filled with sensible and lucid colors symbolizes small pieces of happiness captured in life. Also, the road colored with gold dust represents the journey of a man’s life, and represents the maternalistic space such that one doesn’t fall into oblivion, a space where love occurs, and a safety net that wraps the rear of life as if a spider densely weaves its house with its secretion. Through the work, Kwon Soo Hyun addresses that positive thoughts are the starting point of happiness.

Art Nom studied Korean painting in college and worked at a character design company for a few years. Art Nom’s work began by finding the connection between Korean painting and character. The folk painting that Art Nom used as motive is a drawing that contains the hope of commoners during the Chosun dynasty. During that time, folk paintings were practical artworks that had a clear usage in people’s lives. They would attach them on the front gate on New Years, give them as gifts, or have weddings in front of folding screens that have folk paintings drawn on it. They depict the lives and philosophy of people during that time most accurately because they were intimately involved in the lives of the commoners. Also, artists who drew folk paintings did not leave any marks on their drawings. Because of that, they were able to not confine themselves in a specific form and use their imagination.
Art Nom connected “line”, the most important modeling element in Korean painting, with the simplicity of characters. Also, like the old folk paintings, he depicted happiness within everyday life, something that any modern person desires. Based on the sheep head hat that he coincidently wore, he characterized the protagonist as himself in the form of a sheep, his wife ‘Gaji’ who is always next to him, and pet dog ‘Motaru’ and delightfully depicted their story. With Art Nom’s unique humor and friendliness, he transcends the happiness virus to his viewers.

Lee Dong Gi is a representative artist who positioned Korean pop art and spread its boundaries. His Atomouse is a clever combination of ‘Atom’, a cartoon character that represents Japan, and ‘Mickey Mouse’, America’s famous character. During the 1970s and 80s, when he spent his childhood, our culture was dominated by contents fr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represented by Atom and Mickey Mouse. Therefore, Atomouse can be viewed as a natural reflection of the artist’s childhood memories which lied dormant inside him. Also in the early 1990s, when the artist was studying fine arts in college and also released Atomouse for the first time, abstract art was mainstream in the Korean art world and it was a time when the divide between fine art and popular art was clear. Also, Atomouse is not simply a reuse of pop image, but originated from the artist’s determination to break down the border between fine art and popular art. By continuously changing Atomouse within the piece, whether it is in a flower pad, eating ramen noodles, in a psychiatric ward, nailed on a cross, smoking cigarettes, or trapped in a bubble, the artist is recording balance and tension of society and art in his own way.

Lim Ji Bin wants to talk about hidden side of modern consumer culture through a sculpture piece that uses a bear-shaped toy called ‘Bearbrick’ as motive. Bearbrick is a word that combines ‘bear’ and ‘brick’, and is a toy that was developed by a toy manufacturer in Japan in 2001 as a collector’s item for adults.
Lim Ji Bin makes a texture that goes beyond the product with car paint and delicate expressions on the Bearbrick shaped piece. Also, sometimes he covers the surface of the piece with various luxury brand logos. Through such artwork, the artist satires the modern people who prove their existence by consuming and possessing products. By naming all of his works as ‘Slave’, he encourages observation of ourselves who have eventually become slaves by being obsessed with consumption. He showcases a series of work that got their motive from a decoration deer hanging on top of a house door. The desire to possess an item and the action of stuffing an animal one has hunted and exhibiting it at home, or in other words, ‘possession’ and ‘command’ have emotional similarity. Lim Ji Bin’s work cheerfully contains an observation about such distorted desire of modern people, or in other words, reckless ‘ownership’ on fetished products.

.

이상 갤러리에서 의뢰한 한국 현대 미술 작가들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