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패권 이론과 현실 번역

 

해양패권 이론과 현실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해양패권 이론과 현실 번역

해양패권 이론과 현실 번역(한국어 원본)

해양패권 경쟁의 이론적 고찰

역사적으로 볼 때 패권을 주도하고 있는 국가와 패권에 도전하는 국가들은 육지와 해상에서 패권 경쟁을 다투어 왔다. 물론 2차 세계대전 시에는 공중영역을 통해 패권의 힘이 펼쳐진 경우도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전쟁과 관련된 패권 경쟁은 주로 육지와 해상에서 일어났다. 독일해군은 1935년부터 비스마르크의 건조를 개시하고 제2차세계대전 개전 후인 1940년 8월에 준공했다. 당시 영국 해군에는 비스마르크에 단독으로 맞설 수 있는 전함이 존재하지 않았다. 현재의 패권국가인 미국 또한 제1차 세계대전 후 급속히 해군 군비를 강화하여 영국에 이은 세계 제2의 해군국이 되었다.

해양패권
국제정치경제(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차원에서 패권에 관한 이론을 제시한 사람은 Charles P. Kindleberger이다. 킨들버거는 패권에 있어 경제적 힘과 군사적 힘을 강조하였다. 먼저는 그는 국가가 영예(prestige), 소위 패권을 얻으려면 경제적 힘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킨들버거가 말하는 경제적 힘이란 다른 국가를 통제하는 중요한 힘으로서 국민소득(national income) 또는 국민총생산(GNP) 등의 객관적인 경제적 힘의 규모뿐만 아니라, 그 힘을 도구화하여 타 국가가 패권국의 영향을 받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Charles P. Kindleberger, Power and Money/The Econo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Economics (New York: Basic Books, 1970), p. 2-17
킨들버거는 군사적 힘을 패권국이 가지고 있어야 할 힘으로 보고 있다. 해양패권의 힘의 요소를 규명하기 위해 전쟁의 원인을 연구해온 유명한 학자들의 패권개념과 힘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코헨(Robert O. Keohane)은 경제적 힘과 군사적 힘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19세기 영국과 미국이 세계질서를 주도할 수 있었던 것은 경제적 힘과 군사적 힘이 타 국가 또는 이념을 달리하는 동맹세력보다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Robert O. Keohane, After Hegemon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p.31-39
군사적 힘은 경제적 세계질서를 유지하는 데 있어 사용되어야 할 수단으로서 경제적 힘을 보호하는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경제적 힘은 국가이익과 연계되어 있어 국가안보와 결코 떼어 놓을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반드시 지켜내야만 하고, 이를 위해 군사적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코헨과 조셉 나이(Joseph S. Nye)는 도전국이 패권국가가 의도하는 바에 따라오게 하려면 패권국은 비대칭적 상호의존성(asymmetrical interdependence)이라 불리는 군사적 힘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Robert O. Keohane, Joseph S. Nye, Power and Interdependence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77), p.11

조셉 나이도 국제정치질서 체계를 주도할 수 있는 힘의 근원을 경제와 군사 분야에서 찾고 있다. 나이는 스마트 파워에서 힘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그 힘은 역사적으로 인구 규모, 경제력, 군사력, 그리고 사회 안정 등의 기준으로 평가되어 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경성권력(hard power)와 연성권력(soft power)를 통해 국제정치질서를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경성권력이란 물질적인 경제요소를 동원하여 타 국가를 통제하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고 연성권력은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 타 국가가 자발적으로 미국의 정책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나이는 경제와 군사적인 분야에서 경성권력이 최근 약해졌지만 연성권력 차원에서 미국이 우세하기 때문에 세계적 차원의 패권을 유지하고 있다고 말한다. Joseph S. Nye, Jr., “U.S. Security Policy: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UAIA Electronic Journals 3(3), July 1998, p.20

세력전이이론을 이야기하는 오간스키(A.F.K. Organski)는 패권의 힘이 전이되는 과정을 통해 패권적 힘에 대하 정의를 내리고 있다. 오간스키는 전쟁의 원인을 국제정치경제질서에서 가장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패권국과 그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도전국 간의 힘의 격차가 좁혀지는 가운데, 패권국이 유지하고 있는 국제정치 경제질서에 불만을 품은 강대국이 지배국에 도전하면서 마찰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결국 전재잉 일어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길핀(Robert Gilpin)은 예전 영국이 전 세계적으로 패권을 확보 및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산업혁명 이후 선도적 산업기술력을 토대로 세계경제를 이끌어갈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영국이 세계 최강의 해군력을 보유하여 전 세계 해역에서 해상통제권을 실현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패권적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음을 강조하고 있어 경제적 힘과 함께 군사적 힘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길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패권적 지위를 가질 수 있었던 것은 해상통제권을 장악해 세계경제질서를 보호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Robert Gilpin, US Power and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 (New York: Basic Books, 1975), p.45
길핀은 패권적 힘을 정의함에 있어 경제와 해양력을 특별히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길핀의 해양패권 이론을 기반으로 중국이 과연 패권국가가 되기 위한 조건을 충족했는지, 현재 대두되고 있는 중국위협론이 사실인지 검증하기 위해 중국의 경제력상승에 따른 국방비 증가를 알아볼 것이다. 실질적 지표를 도출하기 위해 국방비 증가에 포함되는 소비자물가 상승, 임금상승 등을 함께 비교해보고 마지막으로 현재 중국의 해군력을 알아봄으로써 길핀이 이야기 하는 패권적 힘을 중국이 가지고 있는 지 검증해보는 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해양패권 이론과 현실 번역(영어 번역본)

A study on the theory of maritime hegemony

Historically, states holding hegemony and states challenging hegemony have been competing for hegemony on land and on the sea. Of course, during the Second World War, there was competition for hegemony in the air too, but in general, the competition for hegemony related to a war happened mostly on land and on the sea. The German Navy began to build the Bismark in 1935, and completed it in August 1940 after the start of the Second World War. At that time, the British Navy did not have a battle ship that could fight against the Bismark single-handedly. The present hegemonic state, the US, rapidly reinforced its naval armaments after the First World War, and became a naval power second only to the UK.

Maritime hegemony
It was Charles P. Kindleberger who proposed a theory on hegemony from the viewpoint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Kindleberger stressed economic strength and military force with regard to hegemony. First of all, he emphasizes that states must have economic strength to gain prestige, i.e. hegemony. What Kindleberger calls economic strength is an important power controlling other states. He explains that not only the size of the objective economic strength, such as national income or GNP, but also utilization of the power to exercise the influence of the hegemonic state on other countries is important. Charles P. Kindleberger, Power and Money/The Econo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the Politics of International Economics (New York: Basic Books, 1970), p. 2-17
Kindleberger views military force as a power that a hegemonic state must have. maritime If the concept of hegemony and the components of power as described by famous scholars who studied the causes of war are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onents of the hegemonic power, they are as follows:
Robert O. Keohane stresses economic strength and military force. He argues that the UK and the US could dominate the world in the 19th century because their economic strength and military force were superior to those of other countries or allied forces with different ideologies. Robert O. Keohane, After Hegemony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4), p.31-39
military force is essential to protecting economic strength, which is a means that must be used to maintain the economic world order. As economic strength is linked to national interests, it is inseparable from national security. So it must be defended, and to do so, military force is necessary.
Keohane and Joseph S. Nye argues that, to make sure that challenging states follow what the hegemonic state intends, the hegemonic state must hold military force called asymmetrical interdependence. Robert O. Keohane, Joseph S. Nye, Power and Interdependence (Boston: Little, Brown and Company, 1977), p.11

Joseph Nye also holds that economic and military force are the sources of the power that can dominate the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In Smart Power, Nye defines power as the ability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others to get the outcomes one wants, and argues that this power has been historically evaluated in terms of population size, economic strength, military force, and social stability. He argues th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through hard power and soft power. Hard power is to use material economic elements to control other countries and exercise influence on them, whereas soft power refers to other countries’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the US policies. Nye says that hard power has weakened recently in the economic and military areas, but as the US is superior in terms of soft power, it is maintaining global hegemony. Joseph S. Nye, Jr., “U.S. Security Policy: Challenges for the 21st Century”, UAIA Electronic Journals 3(3), July 1998, p.20

A.F.K. Organski, who advocates the power transition theory, defines hegemonic power in terms of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of hegemonic power. Organski argues that the gap in power between the hegemonic state at the top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order and the challenging states below is narrowing, and a powerful nation, dissatisfied with the inter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order maintained by the hegemonic state challenges the dominant power, and friction will be created and eventually a war will break out.
Robert Gilpin argues that the UK could secure and maintain global hegemony previously because it could lead the world economy on the basis of the leading industrial technolog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He emphasizes that, as the UK had the world’s most powerful naval force, and could have sea control in all waters of the world, it could maintain the hegemony: that is to say, he also stresses economic strength and military force. Gilpin also holds that the US could have the hegemonic position after the Second World War because it had the sea control and thus could protect the global economic order. Robert Gilpin, US Power and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 (New York: Basic Books, 1975), p.45
Gilpin especially emphasizes economic strength and maritime power in defining hegemonic power.

Accordingly,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increase of China’s national defense budgets accompanying its rising economic power on the basis of Gilpin’s theory of maritime hegemony in order to check if China satisfied the conditions for becoming a hegemonic state and validate the theory of China threat, which is gathering strength at present. To derive actual indexes, the increases of consumer prices and wage increases, included in the increase of national defense budgets, will be compared. Lastly, the current naval power of China will be examined to see if China has what Gilpin calls hegemonic power, which is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

이상 통일연구원에서 의뢰한 해양패권 이론과 현실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