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 여성 정치의식 번역

 

현대사회 여성 정치의식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현대사회 여성 정치의식 번역

현대사회 여성 정치의식 번역(한국어 원본)

근대화 이전까지 한국과 일본의 주된 정치사상이었던 유교의 이데올로기성은 근대화 이후 약화되었지만, 유교적 가부장제가 강한 사회문화는 그대로 유지되어 권력 자원에 대한 남성의 접근이 유리하도록 제도화 되는데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한국과 일본은 남성이 사회적 우위를 점하는 남성 empowered 사회가 되었고, 특히 정치 영역에서 ‘남성’이 주도하고 ‘여성’은 객체로 간주되는 현상이 더욱 강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성은 국민 개개인의 political participation이 전제되어야 민주주의 사회의 기초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정책 결정의 대표성이 성립되므로 정치 참여는 남성만이 아닌 여성까지 포함한 국민 모두의 중요한 권리가 되어야 한다는 측면을 간과하는 결과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민주주의 사회의 정치가 남성에 한정되는 영역으로 고착되지 않도록 여성의 정치참여를 방해하는 장애물을 없애고, 사회에서 여성의 권력과 영향력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현대 민주주의에서 한국과 일본 양국이 직면한 중요한 과제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치의식과 정치참여 사이에 높은 관련성이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근거로여성들의 정치의식에 대한 현황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한일 여성의 정치의식 현황과 정치참여에 대한 조사를 함께 진행하였고, 양 사회의 여성이 정치적 주체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적시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대 여성으로 한정하였고, semi-structured interview를 통해 한국 52명, 일본48명의 여자대학생을 인터뷰하였다. 조사대상을 20대 여성으로 한정한 이유는 한일 양국은 세계에서 여성의 정치진출, 정치참여가 현저히 낮은 국가임에도 불구하고 젊은 여성들의 투표율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점에 착목하여, 젊은 여성이 연구대상으로서 가지는 의미가 크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정치의식은 1.정치관심, 2.정치효능감, 3.정치적성역할 의 3영역으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정치참여의 정도를 알아보았다. 정치참여는 1.정당활동, 2.집회참여, 3.정치관계volunteer, 4.미디어를 통한 정치적 자기표현, 5.정치적 단순정보수집, 6.투표 로 구조화 하였다.

연구 결과는 1.정치관심에 있어서, 양국모두 여대생들의 정치적 관심이 낮은 경향을 보인다고 판단했다. 이는 과거부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젊은층의 정치무관심 현상의 연장선상이라는 점에서는 두 국가가 동일했지만, 일본의 경우는 정치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을 꺼려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정치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 그 원인이었고, 한국의 경우는 정치 불신등의 이유로 야기되어진 무관심이었다. 또한 일본의 경우 정치를 실생활에 밀착되어있는 정책중심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컸지만, 한국은 정치를 민주주의등의 거대담론으로 받아들이는 여자대학생이 많았다. 이는 정치관심의 발생요인이 일본의 경우 가정, 한국의 경우 미디어라는 점에서 부분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이데올로기적 민족분단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국만의 특성이 반영된것이라고 판단되어진다.
2. 정치효능감에 있어서는 한일 양국 모두 투표행위를 통해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신뢰감은 가지고 있었으나, 그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는 점도 인지 하고 있다는점에서 소시민적한계성을 가지고 있는 정치 효능감이었다고 할 수 있다.
3. 정치적성역할은 가장 주목해 볼만한 영역으로, 한일 여대생 모두 남성중심적 정치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고, 자신이 차별받고 있다고 판단하면서도 그러한 사회에 대해 한편으로 동의하는 양면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신의 정치참가와 정치판단에 영향을 끼친 가정의 역할 중 ‘아버지’의 역할이 지배적이라고 언급하는 여대생이 많았으며, 상대적으로 ‘어머니’를 정치적 주체에서 배제하는 경향이 짙었다.

정치참여는5.정치적 단순정보수집, 6.투표 등의 수동적 참여에 대해서는 참여한다는 응답이 높았던 반면, 1.정당활동, 2.집회참여, 3.정치관계volunteer, 4.미디어를 통한 정치적자기표현 등의 적극적 참여에 있어서는 참여 여대생의 수가 현저히 적었고, 그 뿐만아니라 적대감, 냉소적 태도마저 관찰 되었다. 특히, 자신이 ‘여성’이고 ‘어리다’라는 이유를 들어 정치 참여를 꺼려하는 언급이 많았던 점에서 고정된 정치적성역할과 연령의 사회적 제한이 여성의 활발한 정치참여에 대한 의욕을 저하시킨다고 고찰 해볼 수 있었다.

종합하자면, 일본과 한국의 여자대학생은 모두 낮은 정치적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정치효능감에도 한계를 가지고 있었으며, 정치불신이 만연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이 궁극적으로 고정된 정치적성역할에서 기인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따라서 한,일 양국모두 정치에 대한 관심과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치교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하며, 특히 고정된 정치적 성역할을 타파할 수 있는 방향에서의 접근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정치의 초기경험을 하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여자대학생’ 이라는 정치세대(Mannheime, 1952)의 정치의식과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를 통해 젊은 여성들을 둘러싼 정치영역의 실정을 살펴보고, 이들의 활발한 정치참여의 가능성을 모색한 결과가 한국과 일본 뿐 만 아니라 유사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동아시아 여성들의 정치적 발전을 꾀하는 기초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현대사회 여성 정치의식 번역(영어 번역본)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which was the main political idea in Korea and Japan before modernization, weakened in both societies after modernization but the patriarchal culture rooted in Confucianism remained and consequentially institutionalized easier access to authority for men. As a result,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ocieties have changed to empower men and put them in positions of social dominance. Especially the political realm tends to be an area dominated by ‘men’, while ‘women’ are regarded as sideline players of politics.

Because political participation of each individual citizen must come first in order to form the foundation of a democratic society and establish the representativeness of policy decision making through such premise, such tendency resulted in overlooking the perspective that political participation is an important right of every citizen, not only men but also women. Therefore, it is a self-evident fact that removing obstacles which hinder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balancing the authority and influence of women in the society in order to prevent the politics of a democratic society from becoming a realm limited to only men is a crucial task that Korea and Japan are facing in modern democracy. Based on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which show that there is high correlation between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is study believed that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women’s political awareness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solve this task. Therefore, we studied the current state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olitical participation, and presented a direction in which women in both societies can become driving forces of politics.

The following specifies the content of this study.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women in their twenties, where 52 Korean and 48 Japanese women were interviewed through a semi-structured interview.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ubject to women in their twenties is because there is large significance in having young women as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fact that the voting rate of young women is relatively much higher than men despite both countries ranking extremely low globally in women’s political entrance, participation. Political consciousness was analyzed by dividing into three areas 1. political interest, 2. political efficacy, and 3. political gender role, and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was understood based on this information. Political participation is structured by 1. political party activities, 2. rally participation, 3. political relation volunteer, 4. political self-expression through media, 5. political collection of simple information, and 6. voting.

With regards to 1. political interest,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in terest in politics in both countries tended to be low. While both countries were identical in that such point along the extension of political indifference by young people, which has been raised as a social issue since the past, it was because of lack of political knowledge, as well as the social atmosphere of avoiding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politics in Japan, and indifference caused by distrust in politics in Korea. Also, in the case of Japan, there was a large tendency to accept politics as centered on policies that are closely attached to real life, while in Korea, there were many female college students who understood politics under the context of high level discussion concepts like democracy. We found that this was partially because the factor from which political interest occurred was family in Japan, and media in Korea. Also, we believe it reflects Korea’s unique characteristic of possessing a history of separation based on ideology.
2. In terms of political efficacy, while there is trust that one is executing influence through voting in both Korea and Japan, it can be regarded as possessing bourgeois limitation from the perspective that one is also aware that such influence can relatively weaken.
3. Political gender role is the area that draws the most attention. Korean and Japanese female college students both oppose politics centered on men, and they exhibited a duality in which they judged that they were being discriminated but at the same time, agreed with such societal norms. Also,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stated that their fathers had a dominant role among their family in influence their political participation and judgement, while relatively disregarding their mothers as political subject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while there was high number of responses for passive participations such as 5. political collection of simple information, 6. voting, the number of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as involved in active participation such as 1. political party activities, 2. rally participation, 3. political relations volunteer, and 4. political self-expressions through media was not only extremely low, but also animosity and even cynical attitude were observed. Especially, we could observe that fixed political gender role and societal limitations of age discourage the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considering the frequent response that one avoids political participation by reasoning that she is a ‘woman’ and ‘young’.

To sum up, both Japanese and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had low political interest, had limited political efficacy, and political distrust was prevalent. Also, we concluded that such factors ultimately came from fixed political gender ro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both Korea and Japan to actively conduct politics education to enhance interest and knowledge, especially with an approach to dismantle the fixed political gender role that is prevalent in the society. Also, we observed the state of the political realm that surrounds young women through the study on the political consciousness and participation of the political generation (Mannheime, 1952) in ‘female college students’ who are going through initial political experiences in Korea and Japan. We hope that the result of searching for the possibility of their a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will be utilized not only in Korea and Japan, but also as a foundational reference for promoting political development of East Asian women with similar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

이상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의뢰한 현대사회 여성 정치의식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