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장증후군 번역

 

과민성장증후군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과민성장증후군 번역

과민성장증후군 번역(한국어 원본)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의 과민성장증후군 증상과 수면의 질
Table 2. 과민성장증후군의 유병율과 배변양상 유형별 분포
Table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Table 4. 과민성장증후군 유무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
Table 5. 과민성장증후군의 배변양상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
Table 6. 수면의 질 하위요인의 상관관계
본 연구는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을 대상으로 과민성장증후군과 수면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4개 대학 치위생과 344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5월부터 9월 까지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과민성장증후군의 배변양상유형은 혼합형이 57.6%로 가장 많았고, 변비형 10.5%, 미분류형 7.1%, 설사형 6.1%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은 3학년 11.45점, 2학년 10.90점, 1학년 9.53점으로(P=0.034)학년이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과민성장증후군일 경우(P=0.026)에서도 수면의 질이 낮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과민성장증후군 유무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습관적 수면효율성, 수면제 복용(P=0.043), 낮 시간 기능장애(P=0.007)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대조군에 비해 수면의 질이 낮았다.
4. 과민성장증후군 배변양상유형에 따른 수면의 질 차이는 수면방해에서 혼합형이 6.86점으로 가장 높았고, 습관적 수면효율성은 변비형이 1.00점, 주관적 수면의 질은 변비형이 1.42점, 수면제 복용은 미분류형이 0.15점으로 가장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낮 시간 기능장애에서는 변비형이 2.61점으로 가장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2).
5. 수면의 질 하위요인간의 상관관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과민성장증후군의 경우와 학년이 높을수록 수면의 질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과민성 장증후군의 경우 낮은 수면의 질로 인하여 낮 시간동안의 기능장애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과민성장증후군의 증상에 대해 교육하고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적절한 스트레스관리법과 올바른 식습관에 관한 교육 및 예방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과민성장증후군 번역(영어 번역본)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Sleep Quality Of Dental Hygiene Students In Certain Areas
Table 2. Irritable bowel syndrom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each bowel movement condition
Table 3. Sleep quality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able 4.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pres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Table 5.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bowel movement condition of irritable bowel syndrome
Table 6. Correlation between sub factors of sleep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he relevance between irritable bowel syndrome(IBS) and sleep quality for dental hygiene students in certain areas. It was conducted on 344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Chunbuk from May to September 2013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1. 57.6% of the IBS bowel movement conditions were mixed type, 10.5% constipation type, 7.1% uncategorized, and 6.1% diarrhea type.
2. For sleep quality based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years were 11.45, second years 10.90, and first years 9.53(P=0.034). The sleep qual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as the years increased, and even for IBS(P=0.026), it was low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3. For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IBS presence, habitual sleep efficiency, sleeping pill dosage(P=0.043), and day time functional disorder(P=0.007)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lower sleep quality than the control group.
4. For difference in sleep quality based on IBS bowel movement condition, mixed type was the highest for sleep disturbance at 6.86, constipation type was 1.00 for habitual sleep efficiency, constipation type was 1.42 for subjective sleep quality, uncategorized type was 0.15 for sleeping pill dosag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ay time functional disorder, constipation type was the highest at 2.61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12).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s of sleep quality were positive.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we learned that for IBS, sleep quality becomes lower as the year increases, and functional disorder was observed during day time due to low sleep quality. Education on irritable bowel syndrome symptoms is needed, adequate stress management method to alleviate symptoms and prevention programs for correct diet must be developed to enhance sleep quality.

.

이상 연세대학교에서 의뢰한 과민성장증후군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