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시각화가 표현된 현대패션 연구 번역

 

음악의 시각화가 표현된 현대패션 연구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음악의 시각화가 표현된 현대패션 연구 번역

음악의 시각화가 표현된 현대패션 연구 번역(한국어 원본)

본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칸딘스키의 이론에 입각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으며 연구대상으로 몬드리안 회화에 영감을 받은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의 2014 Spring Ready-to-wear 컬렉션을 선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실리 칸딘스키가 이론을 바탕으로 몬드리안 회화를 분석한 결과, 음악의 시각화 특성은 공간성spatiality, 운동성Mobility , 중첩성Duality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은 전체적인 디자인에 몬드리안 회화를 적용하여 디자인하거나 회화안의 모형 형태 자체를 형상화하거나 색, 선을 응용하여 패턴화 한 후 의상에 도입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기호학적 형태를 의상의 일부분이나 장식적인 요소로 도입하여 디자인하였다. 셋째, 공간성은 선과 색, 형태를 이용한 비움이나 채움으로 공간감을 이루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몬드리안이 사용한 색의 대비, 선과 실루엣의 역동성, 기호학적인 양식과 문양을 응용하여 음악의 불협화음, 분위기와 같은 음악적인 분위기를 의상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넷째, 운동성은 통상적으로 어떤 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움직임을 뜻하는 것이다. 음악의 울림과, 내적 공명, 음의 높낮이를 몬드리안은 색의 불규칙성과 원색대비를 통한 강조, 거친 붓의 터치, 자유롭고 유기적인 문양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맥퀸은 소재의 차이를 이용한 원색의 대비, 질감에 의한 거친 터치, 변형을 통한 문양의 재현으로 표현하였다. 다섯째, 중첩성은 통상적으로 겹치거나 포개짐으로 인한 예술적 효과를 지칭하며 몬드리안은 색과 색, 선과 선, 선과 색의 중첩을 통하여 불협화음과 음악의 연상을 이루어 내고자 하였다. 이를 디자이너의 예술적 감각에 기반을 두어 의상디자인 요소간의 중첩으로 표현하였다.
인간 생활의 3대 요소인 의식주는 고대사회부터 삶의 필수적인 요소로 인간의 그 무엇보다 중요시 되어왔다. 인간은 이를 통하여 기본적인 육체적 보호와 안락을 취하였으며 기본적인 요소의 안정을 가진 후 문화와 예술, 체육활동을 통한 정신적 만족을 이루며 살아왔다. 3대 요소 중 하나인 의복은 시대를 거듭할수록 그 역할이 인간의 육체를 보호하는데 머무르지 않고 신분, 사회경향, 분위기, 심리를 나타내는 내외적 표현 요소가 되었다. 현대 사회에 이르러 의복은 패션이라는 명칭으로 어느 한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그 시대에 인간이 걸치는 복식, 두발 등으로 인해 일어나는 문화 현상과 예술적인 표현양식을 아우르는 문화예술의 필수적인 요소로 지칭하게 되었다.
21세기에 이르러 현대 패션은 다양한 분야와 협업을 통해 인간에게 더 이상 촉각, 시각의 감각을 만족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양한 감각기관의 만족과 경험을 이루는 지속적인 시도와 발전을 하고 있다. 특히 추상회화에서 받은 영감을 의상에 나타내는 것은 단순히 회화의 표면적인 디자인 차용이 아닌 회화에 나타난 공감각적 특성을 공유하고 표현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는 현대 패션을 통하여 인간에게 공감각의 경험과 만족을 주기 위한 발전적인 노력으로 볼 수 있다.
현대 회화와 패션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공감각 현상으로는 음악의 시각화를 꼽을 수 있다. 음악의 시각화는 추상미술의 아버지로 손꼽히는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의 회화에 나타나는 공감각 현상으로 후속 추상화가 피에트 몬드리안(Piet Mondrian), 프란티세크 쿠프카(Frantisek Kupka), 로베르 들로네(Robert Delaunay), 파울 클레(Paul Klee)의 작품에도 나타난다. 이들의 작품은 현대 패션디자이너들의 컬렉션에서 디자인적 모티브를 제공하거나 영감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최근 추상회화 작품을 모티브로 한 컬렉션 분석이나 의상에 나타난 음악의 시각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연구(Jung, 2002; Lee, 2003; lee 2008)를 살펴보면 음악의 장르를 설정하여 특징을 분석한 후 그 음악관련 이미지를 바탕으로 패션디자인을 개발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Kang and Kim(2009)는 몬드리안과 칸딘스키를 비롯한 추상회화 작가들의 작품을 모티브로 하여 작품을 기획 및 제작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Cho(2004)는 몬드리안의 작품을 응용한 컬렉션을 발상법과 발상빈도를 기준으로 분석하는 연구를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음악의 시각화와 추상회화를 모티브로 한 패션디자인 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대부분 작품제작과 표현방법에 대해 분석을 결과로 하는 연구가 주를 이뤘다. 이에 본 연구진은 기존의 선행 연구를 발전시키는 후속 연구로 의상에 나타나는 공감각적인 특성 분석 및 표현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의 설정하였다. 첫째, 몬드리안 회화를 모티브로 한 디자이너 컬렉션 의상에 몬드리안 회화의 대표적인 공감각 현상인 음악의 시각화 표현되었는가? 둘째, 음악의 시각화가 표현되었다면 의상 안에 어떠한 표현 방법이 사용되었는가? 셋째, 의상 안에 몬드리안 회화에 나타난 음악의 시각화 특성이 그대로 나타났는가?
연구의 범위의 설정은 연구의 필요성과 연구문제에 입각하여 음악의 시각화가 이루어진 회화 작가인 몬드리안 회화를 응용한 현대 패션으로 선정하였다. 회화작가 중 몬드리안을 선정한 것은 음악의 시각화를 표현한 대표적 추상회화 작가이며 그의 작품이 1960년대 이브 생 로랑의 몬드리안 룩과 같이 패션디자이너들에 의해 많이 응용되었기 때문이다. 현대 패션으로 한정한 것은 19-20세기 몬드리안 작품의 음악의 시각화 표현이 21세기에 타 분야의 디자인으로 재창조되는 과정에서 어떠한 발전이 있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다. 몬드리안 회화를 응용한 디자이너의 컬렉션으로 한정한 것은 몬드리안의 회화를 바탕으로 의상의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분석하는데 연구 대상간의 연관성을 위함이었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컬렉션을 객관적으로 선정하기 위해서 해외 패션매거진 에디터가 몬드리안의 작품에 영감을 받거나 응용하였다고 패션매거진을 통하여 밝힌 컬렉션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선정 방법에 입각하여 London evening standard의 에디터인 Karen Dacre(2013)이 ‘몬드리안은 맥퀸의 새로운 뮤즈’라 하였으며 미국 스타일닷컴(Style.com) 에디터 Tim Blanks(2013)이 ‘몬드리안의 다양한 시각적 형상이 나타났다’고 밝힌 알렉산더 맥퀸의 2014 Spring Ready-to-wear 컬렉션으로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와 범위에 따른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몬드리안 회화에 나타난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고찰한다. 둘째, 몬드리안 회화를 응용한 알렉산더 맥퀸의 Ready-to-wear 2014 S/S 컬렉션을 분석하여 음악의 시각화를 위한 표현 방법을 살펴본다. 셋째, 알렉산더 맥퀸의 컬렉션에 나타난 음악의 시각화 특성을 분석한다.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선행 연구와 전문 서적, 인터넷 자료를 중심으로 음악의 시각화의 정의와 몬드리안 회화에 나타난 음악의 시각화 표현 특성을 고찰하는 문헌연구와 국내외 패션 잡지 및 인터넷 매거진을 통한 알렉산더 맥퀸의 컬렉션 이미지 자료를 기초로 진행한 사례 분석연구를 하였다.

음악의 시각화가 표현된 현대패션 연구 번역(영어 번역본)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sic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in modern fashion based on Kandinsky’s theory. Alexander Mcqueen’s 2014 Spring Ready-to-wear Collection inspired by Mondrian’s paintings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nalyzing Mondrian’s paintings based on Wassily Kandinsky’s theory shows that music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can be categorized into spatiality, mobility, and duality. Second, Mcqueen applied Mondrian’s paintings on the overall design, structured the model’s shape in the painting, or created patterns using colors, lines and introducing them in clothes. Also, symbolic forms were introduced as part or decorative factor of the clothes. Third, spatiality refers to creating a feeling of space through emptiness or fill using lines, colors, and shape. By applying color contrast, lines and silhouette dynamics, and symbolic format and patterns used by Mondrian, musical atmosphere such as dissonance were expressed in the clothing. Fourth, mobility generally refers to motion caused by a certain stimulus. Mondrian expressed vibration, internal resonance, sound level in music with emphasis through color irregularity and primary color contrast, rough brush touches, and free and organic patterns. Mcqueen expressed this with primary color contrast using different materials, rough touch based on texture, and pattern repetition through transformation. Fifth, duality generally refers to the artistic effect caused by overlap. Mondrian created resemblance of dissonance and music through duality between colors, lines, and line and color. This was expressed through duality between components of clothing design based on the designer’s artistic sense.
As mandatory components of life since ancient times,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three main necessities of human life have been considered as extremely important. Through these elements, humans have obtained basic physical protection and comfort, and after achieving stability in the basic elements, they lived by forming mental satisfaction through culture, art, and physical activities. With the flow of time, the role of clothing, one of the three main necessities, has shifted from simply protecting the human body to serving as an internal and external expression component that displays class, societal tendency, atmosphere, and psychology. Under the term ‘fashion’, clothing in the modern society is considered a mandatory element of culture and art that is not limited to a certain field and encompasses the cultural phenomenons and artistic ways of expression in that era that occur due to the clothes and hair that humans wear.
In the 21st century, modern fashion no longer just satisfies the aural, visual senses of humans but is continuously attempting and developing to create satisfaction and experiences of various sensory organs through collaboration with various fields. Especially, displaying the inspirations drawn from abstract paintings onto clothing is not simply about borrowing the superficial design of the paintings but rather an attempt to share and express the multi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Through modern fashion, this can be considered an expansive effort to give a multisensory experience and satisfaction to humans.
Music visualization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synesthesia phenomenon that appears in modern paintings and fashion. It is a synesthesia phenomenon that appears in the painting of Wassily Kandinsky, who is regarded as the father of abstract art, and also appears in the works of succeeding abstract artists Piet Mondrian, Frantisek Kupka, Robert Delaunay, and Paul Klee. Their works are providing the design motives and inspirations for the collections of modern day fashion designers.
Recently, analysis of collections that use abstract paintings as motives and studies on music visualization in clothing have been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Jung, 2002; Lee, 2003; Lee 2008) related to this research, they set a music gen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a fashion design is developed based on those music related images. Also, Kang and Kim(2009) conducted a study that planned and produced a piece that uses the works of abstract painters like Mondrian and Kandinsky as motives, while Cho(2004) analyzed collections that applied Mondrian’s works based on conception methods and frequency. While various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fashion design that used music visualization and abstract paintings as motives, most of them resulted in analyses of artwork production and expression methods. Consequently, our research team realized the need to research the multisensory characteristics analysis and expression methods that appear in clothing as a succeeding study that develops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Based on the necessity for such research, our research team set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is music visualization, a representative synesthesia phenomenon in Mondrian’s paintings, expressed in the designer collection clothing that uses his paintings as motives? Second, if music visualization is expressed, what kind of expression method is used on the clothing? Third, are the music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from Mondrian’s paintings expressed in the same way in the clothing?
In terms of setting the scope of the study, modern fashion which applied paintings of Mondrian, a painter who incorporated music visualization in his works, was selected based on the necessity of the study and research problems. Mondrian was selected among other painters because he is a leading abstract artist who expressed music visualization and his works have been widely applied by fashion designers as in Yves Saint Laurent’s Mondrian Look in the 1960s. We limited it to modern fashion in order to investigate what developments were made in the process of recreating music visualization expression in Mondrian pieces from the 19-20th centuries into the design of another field in the 21st century. We limited it to designer collections that applied Mondrian’s paintings for the relevance between research subjects in analyzing the clothing’s music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Mondrian’s paintings. To objectively select a collectio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 chose the collection which overseas fashion magazine editors have stated through fashion magazines to have been inspired by or applied Mondrian’s work. Based on such selection method, Alexander Mcqueen’s 2014 Spring Ready-to-wear Collection, which was praised as ‘Mondrian’s new muse’ by London evening standard’s editor Karen Dacre(2013) and ‘Mondrian’s various visual forms have appeared’ by Style.com’s editor Tim Blanks(2013), was set as the scope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the goal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s and range. First, we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visualization that appears in Mondrian’s paintings. Second, we analyze Alexander Mcqueen’s Ready-to-wear 2014 S/S Collection, which applied Mondrian’s paintings, and observe the methods for expressing music visualization. Third, we analyze the music visualization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
For the research method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search of related previous studies and professional books, Internet references to inquire on the definition of music visualization and the music visualizati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in Mondrian’s paintings, and conducted a case study research based on Alexander Mcqueen’s collection image material with domestic and overseas fashion and Internet magazines.

.

이상 한국의류산업학회에서 의뢰한 음악의 시각화가 표현된 현대패션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