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자와 구강건강실태 관계 번역

 

정신질환자와 구강건강실태 관계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정신질환자와 구강건강실태 관계 번역

정신질환자와 구강건강실태 관계 번역(한국어 원본)

일부 정신의료기관 정신질환자의 상태와 구강건강실태와의 관계
정신분열병, 알코올 사용의 의존증후군, 정신지체, 정신 발육장애, 상세불명의 뇌손상, 뇌기능 이상, 기타(망상장애, 치매 등)
본 연구는 정신의료기관에 입원한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정신질환의 상태와 구강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일부 지역 정신병원에 입원중인 정신질환자 474명을 치과의사 1인과 치과위생사 1인이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과 연구대상자들을 개별적으로 치과진료용 의자와 치과용 조명에서 치경, 탐침기, 핀셋, 세계보건기구에서 개발한 치주낭 측정기를 이용하여 우식치아, 잔존치아, 스켈링 필요여부, 치주상태를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Statia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WIN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검정을 위한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1.전체 474명의 대상자 중 남성, 여성이 각각 68.4(324)%, 31.6(150)%이며 연령대는 50대가 35.2(1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신질환자의 상태는 정신분열증이 79.5(377)%, 알코올 사용의 의존증후군이 5.3(25)%, 정신지체 2.7(13), 정신발육장애3.0(14)%, 상세불명의 뇌손상, 뇌기능 이상 1.9(9)%, 망상장애, 치매 등은 7.6(36)%로 나타났다. 2.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정신질환 상태에 따른 우식치아, 잔존치아상태의 결과 중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는 것은 연령과 정신질환 상태였다(p<.05). 연령은 40대가 3.95로 가장 높았고, 잔존치아는 20대가 26.76으로 가장 높았다. 정신질환 상태에 따른 우식치아는 알코올 사용 의존증후군이 7.44로 정신분열증 3.01보다 높았. 잔존치아는 알코올 사용 의존증후군과 상세불명의 뇌손상, 뇌기능 장애가 각각 17.33, 17.22로 가장 적게 잔존하고 있었으며 정신지체가 22.38로 가장 많이 잔존하고 있었다(p<.05).3.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정신질환 상태에 따른 스켈링 필요성과 치주상태의 결과에서통계적 유의성을 나타낸 것은 연령이었다. 20대가 80(12)%로 가장 많이 필요하고 70대 이상이 56.6(17)%로 가장 낮으며 치주상태는 ‘상’이 70대 이상이 41.3(12)%로 가장 높고 50대가 14.3(24)%로 가장 낮았다(p<.05). 4.정신질환 상태와 구강건강상태와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우식치아, 잔존치아, 스켈링의 필요성, 치주상태 모두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5). 회귀분석 결과 Y(정신질환 상태)=2.999++0.166(우식치아)-0.028(잔존치아)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우리 사회에서 구강관리를 증진하기 어려운 집단인 정신절환자들의 구강상태에 대한 심각성과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알아 그들의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전문적인 관리방법 모색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정신질환자와 구강건강실태 관계 번역(영어 번역본)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illness state and oral health management of mental patients in mental health care institutions

schizophrenia, alcohol usage dependence syndrome, mental retardation, mental growth disability, undescribable brain damage, brain dysfunction, others(delusional disorder, Alzheimer’s disease etc.)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of mental illness and oral health management of mental patients who are hospitalized in mental health care institutions.
For 474 mental patients hospitalized in certain local mental hospitals, a dentist and dental hygienist measured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ir individual decayed teeth, retained teeth, scaling necessity, and periodontal statuses using a dental mirror, pincette, probe developed by the WHO, and chairs and lights used for dental treatme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WIN12.0 progra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for verification was set to 0.05.
1.Among the 474 subjects, the male and female percentages were respectively 68.4(324)%, 31.6(150)% and for the age distribution, people in their 50s were most represented at 35.2(167)% and for mental illness status, 79.5(377)% was schizophrenia, alcohol usage dependence syndrome 5.3(25)%, mental retardation 2.7(13), mental growth disability 3.0(14)%, undescribable brain damage, brain dysfunction 1.9(9)%, and delusional disorder, Alzheimer’s disease 7.6(36)%. 2. Among the decayed teeth, retained teeth status results based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tal illness status, age and mental illness statu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For age, people in their 40s were the highest at 3.95, and people in their 20s had the highest results for retained teeth at 26.76. For decayed teeth based on mental illness status, the alcohol usage dependence syndrome was 7.44, which was higher than schizophrenia at 3.01. For retained teeth, alcohol usage dependence syndrome and undescribable brain damage, brain dysfunction were respectively 17.33, 17.2, having the least amount of retained teeth, and mental retardation had 22.38 with the most retained teeth (p<.05). 3. Among the scaling necessity, periodontal status results based o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tal illness status, ag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eople in their 20s needed scaling the most at 80(12)%, and people in their 70s or older were the lowest at 56.6(17)%, and for those who had ‘high’ periodontal status, people in their 70s or older had the largest percentage at 41.3(12)%, while people in their 50s was the smallest at 14.3(24)% (p<.05).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mental illness status and oral health status, decayed teeth, retained teeth, scaling necessity, periodontal status all showed a correlation (p<0.05).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Y(mental illness state)=2.999++0.166(decayed teeth)-0.028(retained teet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ignificant because they provide important material for recognizing the severity of oral health status of mental patients, a group to which promoting oral health management is difficult in our society, and the significance of oral health manage to develop a training problem for them and search for a professional management method.

.

이상 연세대학교에서 의뢰한 정신질환자와 구강건강실태 관계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