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시대의 유물 번역

 

신라시대의 유물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신라시대 번역

신라시대의 유물 번역(한국어 원본)

<02> 1실-3. 돌을 갈아 도구를 만들다
신석기시대에는 도구를 숫돌에 갈아 만드는 마제기술이 본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돌과 뼈를 때려 쪼갤 때 자연적으로 생긴 날을 주로 이용했던 구석기시대와는 큰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죽변리 유적에서는 간석기를 만드는 데 사용된 석재, 석재를 자르는 도구, 숫돌, 모룻돌 등이 함께 발견되어 당시의 제작 기술을 엿볼 수 있습니다.
<8> 1실-23. 교동 금관
경주 교동의 한 무덤에서 도굴되었다가 1972년에 압수된 금관입니다. 관테에 3개의 나뭇가지 모양의 장식을 세웠는데 그 형태가 전형적인 신라 금관의 ‘산’자 모양과는 다릅니다. 오늘날까지 발견된 6개의 신라 금관 가운데 시기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여겨집니다. 크기도 가장 작은 이 금관은 마립간 시기 초기의 것으로 추정됩니다.
<18> 2실-13 금굽다리접시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것입니다. 이 무덤에서는 총 8개의 금으로 만든 굽다리접시가 발견되었는데 달개를 단 것 네 개와 작고 달개가 없는 것 네 개입니다. 이것은 총 7개의 나뭇잎모양 달개가 사방에 달려있으며, 접시와 굽다리는 별도로 만들어 조립한 것입니다.
<22> 2실-25 나비모양 관꾸미개
천마총에서 출토된 나비모양의 관 꾸미개입니다. 고깔모양 관의 앞에 끼워 넣어 장식하던 것으로 달개를 매달아 화려하게 장식하였습니다. 달개는 하나하나 매단 것이 아니라 바느질을 하듯 하나의 금실로 여러 개를 이어 매달았습니다.
<24> 3실-1 포항 중성리 신라비
이 비는 재물과 관련된 소송의 평결을 담고 있습니다. 과거에 모단벌의 재물을 다른 사람이 빼앗았는데, 그 진상을 조사하여 본래의 주인에게 되돌려 주고 향후 이에 대한 재론을 못하게 하였습니다.
비문이 새겨진 연대는 첫 대목에 신사(辛巳)라는 간지가 보이고, 비문 내용이나 표기법 등에서 볼 때 501년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는 지금까지 가장 오래된 신라 비석으로 알려진 포항 냉수리 신라비보다 2년 앞서는 것입니다.
<25> 3실-2 2장 울진봉평신라비
이 비는 524년에 건립되었습니다. 비문의 내용은 법흥왕을 비롯한 14명의 6부 귀족들이 회의를 열어 죄를 지은 ‘거벌모라 남미지촌’의 주민들을 처벌하고, 지배자들에게는 곤장 60대와 100대씩 때일 것을 판결한 것입니다.
<27> 3실-4 대구무술명오작비
비문은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매우 어려운 상태입니다. 건립 연대는 578년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합니다. 비문의 내용은 영동리촌另冬里村에 오塢(저수지나 제방)를 쌓고, 책임자들의 이름, 오의 규모, 동원된 인력, 작업기간 등을 기록하였습니다. 저수지 축조의 책임자가 도사나 나두 등의 지방관이 아니라 승려라는 점이 특징적입니다.
<33> 3실-16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신라는 대가야의 영역으로 진출하는데 있어 중요한 길목에 있는 창녕을 555년에 병합하였습니다. 561년, 진흥왕은 여러 신료들을 데리고 창녕을 순시하였습니다.
비문은 마모가 심하여 대부분 판독이 어려운 상태이나 후반부는 비교적 선명합니다. 내용은 주로 진흥왕이 비화가야를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한 사실, 왕의 통치이념, 포부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습니다. 후반부에는 당시 왕을 수행하던 신하들의 명단이 직관, 직위, 소속의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35> 3실-18 18장 명활산성 작성비
551년 11월에 명활산성을 쌓은 뒤 축성에 관여한 지방관, 역부를 동원한 지방의 촌주(郡中上人), 공사의 실무자와 공사구간의 길이, 비의 위치, 공사기간, 비문을 작성한 사람 등을 기록한 비입니다. 이 비는 신라의 금석문 가운데 군郡이란 표기가 나오는 최초의 것이며, 군제郡制의 정비와 관련하여 귀중한 자료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36> 3실-19 남산신성비
남산신성비는 591년 남산에 신성(新城)을 쌓고, 축성에 참여한 지방관 및 지방민들에 관하여 기록한 비입니다. 이 비는 현재까지 10개가 발견되었습니다. 모두 비의 첫머리에 ‘591년(신해) 2월 26일 남산 신성을 쌓을 때, 법에 따라 쌓은 지 3년 만에 무너지면 죄로 다스릴 것을 널리 알려 서약하게 한다’라는 공통된 문장으로 시작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37> 3실-20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비문은 글자의 마모가 심하여 판독이 어려운 상태입니다. 비문의 내용은 진흥왕이 한강유역을 개척하고 북한산을 순행한 사실을 기념한 것입니다. 끝으로 왕을 따라왔던 신료들의 명단, 비의 건립 배경과 보존에 관한 내용을 추가하였습니다.
<38> 3실-20 황초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
이 비는 본래 함경남도咸慶南道 함흥군咸興郡 하기천면下岐川面 황초령黃草嶺에 있었던 것입니다. 비문의 내용은 568년에 진흥대왕이 황초령에 순수한 사실, 진흥왕의 영토확장과 선정善政을 칭송한 내용, 변경 지역을 두루 순수하고 백성들에게 훈시한 사실, 진흥왕을 따라 왔던 신료의 관직과 이름 등입니다.
황초령 신라 진흥왕 순수비는 마운령에서 발견된 순수비와 함께 진흥왕이 영토를 함경도 함흥 지역까지 넓혔음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또 ‘태창泰昌’이라는 연호의 사용, 육부명, 관직과 관등, 인명 등은 당시 신라의 정치사 및 제도사를 이해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신라시대의 유물 번역(영어 번역본)

<02> Room 1-3 Grinding Stone to Make Tools
The technique of grinding whetstone to produce tools was used in the Neolithic age. This skill indicates a huge difference from the Paleolithic age, during which people mainly used blades naturally created when hitting and splitting rocks and bones. Stones used for making polished stone tools, cutting instruments for stone, whetstones, and anvil stones were discovered in Jukbyeon-ri relics, giving a peek of the manufacturing skills at that time.
<8> Room 1-23. Gyodong Golden Crown
Gyodong Golden Crown was confiscated in 1972 after being robbed at a tomb located in Gyodong, Gyeongju. The form of three twig-shaped decorations on the edge of the crown is different from the “山“ shape of typical Silla golden crowns. Gyodong Golden Crown is estimated to be the oldest one among six golden crowns from Silla that have been discovered so far. It is assumed that this crown, the smallest among the six golden crowns, was produced in the early Maripgan period.
<18> Room 2-13 Golden High-Footed Dishes
Golden High-Footed Dishes were excavated from the north mound of Hwangnamdae Tomb. In total, eight Golden High-Footed Dishes were discovered from this tomb. Among them, four have wings and another four do not have wing. The dishes have seven leaf-shaped wings on all sides. The foot and the plate were separately produced and then put together.
<22> Room 2-25 Butterfly-Shaped Crown Ornament
This is a Butterfly-Shaped Crown Ornament excavated from Cheonma Tomb. This ornament, which is splendidly decorated with wings, was inserted in the front of a conical crown. The wings are not hung one by one. Instead, a single golden thread connects these wings as if they are sewn together.
<24> Room 3-1 Pohang Jungseong-ri Silla Stele
This stele contains the verdict of a litigation on property. The inscription on the stele writes that someone stole the properties of Modanbeol in the past, the properties were returned to the owner after investigation, and review of this incident is not permitted in the future.
It is estimated that the text dates back to 501 based on its content and orthography, and the characters, “sinsa (辛巳)“ in the first part of the inscription. If so, this stele is two-years older than Pohang Naengsu-ri Silla Stele, which has been known as the oldest Silla stele.
<25> Room 3-2 Chapter 2 Uljin Bongpyeong Silla Stele
This stele was erected in 524. The epigraph of the stele is the judgment from fourteen 6-Bu aristocrats, including King Beopheung, to punish the residents of Geobeolmora Nammijichon, and flog the rulers of this village sixty times and one hundred times as a punitive action.
<27> Room 3-4 Daegu Musulmyeong Ojakbi Stele
The inscription of this stele is severly worn out, making it very difficult to read. Many assume that it was erected in 578. The epigraph records about the construction of reservoir or levee in Yeongdongrichon (另冬里村 塢) with the names of persons in charge, size of the reservoir or levee, people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period. It is unusual that a Buddhist monk, not local government officials such as Dosa and Nadu, was in charge of such construction.
<33> Room 3-16 Changnyeong Silla King Jinheung Commemorative Stele
Silla in 555 annexed Changnyeiong, which was located in an important passage to enter territory of Daegaya. King Jinheung patrolled Changnyeong with many retainers in 561.
Most texts of the stele are severly worn out, making it difficult to read, but the latter half is relatively clear. The inscription is mainly about King Jinheung’s territorial expansion through occupation of Bihwa Gaya, and aspirations and ruling ideology of the King, Titles, positions, and affiliations of the retainers who accompanied King Jinheung are listed in the latter half of the epigraph.
<35> Room 3-18 Myeonghwal Fortress Commemorative Stele 3
This stele was erected after building Mydonghwal Fortress in November 551. It records the length of construction area, location of the stele, construction period, person who wrote the epigraph of the stele, workers of the construction, local official who mobilized laborers, and local government official who was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This is the first Silla stele that contains the character “gun (郡)” in the middle of epigraph. It drew attention as a valuable record on the reform of administrative system.
<36> Room 3-19 Namsansinseong Fortress Stele
This stele was erected to record about the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si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Namsansinseong Fortress after building the fortress in 591 at Nam Mountain. Ten Namsansinseong Fortress Steles have been discovered so far. All of the ten steles begin with the sentence, “When building Namsansinseong Fortress on February 26, 291, it was declared and pledged that punishment will be given by law should the fortress is collapsed within three years upon construction.”
<37> Room 3-20 Bukhan Mountain King Jinheung Mounument
Epigraph of this monument is illegible due to severe abrasion. The epigraph commemorates that King Jinheung developed Han River basin and patrolled Bukhan Mountain. It also records the list of the retainers who accompanied King Jinheung, and the background and preservation of the monument.
<38> Room 3-20 Hwangchoryeong Silla King Jinheung Monument
This monument was originally located in Hwangchoryeong, Hagicheon-myeon, Hamheung-gun, South Hamgyeong Province. The inscription on the monument is about King Jinheung’s visit to Hwangchoryeong in 568, praise for territorial expansion and wise governing of King Jinheung, King’s visit to remote regions and guidance on the people, and titles and names of the retainers who accompanied King Jinheung.
This monument, along with the monument found in Maunryeong, is a valuable source which indicates that King Jinheung expanded territory to Hamheung in Hamgyeong Province. Also, the use of reign name “taechang (泰昌),” names of “6 Bu,” positions, ranks, and names of officials in the epigraph serve as a foundation in understanding political and institutional history of Silla.

.

이상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의뢰한 신라시대의 유물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