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백제 교류관계 번역

 

후백제 교류관계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후백제 교류관계 번역

후백제 교류관계 번역(한국어 원본)

後百濟와 中國 吳· 越의 交流關係
– 전라북도의 해양문화적 성격과 鎭安 道通里 가마터를 中心으로

정상기(국립전주박물관)

견훤이 892년 병사를 일으킨 무진주를 버리고 전주를 도읍으로 선택한 근본적인 이유는 첫째, 백제의 전통을 계승하여 삼국을 통일하고자 하는 목적이었으며, 둘째, 892년 지금의 광주에서 국가를 건국했으나 광주의 중요한 해상교역 루트인 영산강을 흐르는 지역 즉, 나주, 목포, 영암 등이 900년대 초부터 왕건세력에게 복속되어 대 중국 및 일본과의 해상요역루트가 차단된 것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한다. 후백제의 입장에서는 나주를 중심으로 해상교통세력의 이반으로 인해 큰 타격을 받았는데, 이로 인해 나주와 비슷한 환경을 갖춘 전북의 서해안을 그 대안으로 생각하였다.
특히 전주는 만경강과 동진강이 모두 연결되는 교착점일 뿐만 아니라 충청과 호남 지역의 내륙을 연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도시로서 정치 및 경제적 목적에서 수도로 정하였던 것이다.
진안 도통리 청자 가마터는 청자의 제작과 공급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초기 청자가마인 고창 용계리나 부안 유천리 가마보다는 불리한 요소가 많이 존재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륙의 오지에 가마터를 조성한 것은 고창과 부안지역의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후백제 견훤시대에 지역적 안정성을 고려하여 진안 도통리에 가마를 조성한 것이라 추정된다. 이러한 도통리 청자들은 완주와 진안의 경계선에 있는 마치고개를 넘어 전주로 공급되거나 전주의 내륙수로망을 이용하여 다른 지역으로 공급되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하겠다. 또한 전주를 떠나 만경강과 금강 수계를 따라 공급되었을 진안 도통리 청자들은 지금의 군산시 임피면에서 충청과 호남의 다른 지방으로 운송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말해 진안 도통리 청자가마는 정치 및 군사적 상황으로 보면 후백제 견훤시대에 제작된 한반도의 초기청자 가마중에서 가장 이른 가마 중에 하나이며, 그것을 운반한 주요 항구도시는 군산의 임피일 것으로 판단된다.

후백제 교류관계 번역(영어 번역본)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Hubaekji and China’s 吳· 越 – With a Focus on Jeollabuk-do’s Marine Cultural Aspects and Jinan Dotong-ri’s Kiln Site

Sang Gi Chung(Jeonju National Museum)

The fundamental reason why Gyeon Hwon chose Jeonju as his capitol instead of Moonjinjoo where he raised his army in 892 is first, to unite the Three Kingdoms by succeeding the traditions of Baekje, and second, while he founded his nation at what is now Gwangju in 892, the region where Youngsan River, Gwangju’s major marine trade route, flows, Naju, Mokpo, Youngam were subjected to Wang Geon’s influence from the early 900s and the marine trade routes with China and Japan were blocked. Hubaekje received a large damage due to the defection of the marine traffic powers centered by Naju, and thought of the west coast of Chunbuk which has a similar environment to Naju as its alternative.
Especially, Jeonju is not only a crossing point that connects both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but is also a city that can connect the inner lands of Chungcheong and Honam regions, so it was decided as the capitol for political and economical purposes.
The Celadon Kiln Site of Jinan Dotong-ri has many disadvantageous factors compared to the early celadon kilns in Gochang Yonggye-ri or Buan Yoocheon-ri from a celadon manufacturing and supply perspective, but the reason why a kiln site was formed in the wild inner lands nonetheless is because Gochang and Buan regions were politically unstable and regional stability was considered in Hubaekje Gweon Hwon’s era.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se Dotong-ri celadons went over the Machi Gogae, which is at the border between Wanju and Jinan, and were supplied to Jeonju or other regions using Jeonju’s inner land waterway network. Also, it is believed that Jian Dotong-ri’s celadons that left Jeonju and supplied through Mangyeong River and Geum River were transported from the region which is currently Gunsan Impi-myeon to other regions in Chungcheong and Honam.
In conclusion, Jinan Dotong-ri’s celadon kins are one of the earliest celadon kilns in the Korean peninsula created in the Hubaeje Gweon Hwon eraw hen viewed in the context of political and military situations, and the major port city for transporting them was Gunsan’s Impi.

.

이상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의뢰한 후백제 교류관계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