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잎돼지풀 방제 가능성 번역

 

단풍잎돼지풀 방제 가능성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단풍잎돼지풀 방제 가능성 번역

단풍잎돼지풀 방제 가능성 번역(한국어 원본)

단풍잎돼지풀의 영명은 giant ragweed이고 학명은 Ambrosia trifida L. 로 국화과에 속하며 북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유럽, 일본은 물론 전 세계에 분포하고, 종자로 번식하는 일년생 초본성 식물이다(박 1995). 단풍잎돼지풀은 키가 3-4m정도이고, 잎의 폭은 20-30cm에 이르며 단풍잎 모양과 같이 3~5개로 깊게 갈라지고, 많은 가지를 치고 거친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종자를 생산한다. 단풍잎돼지풀은 작물과 타식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초형이 대형이고 광합성 능력이 높아 광을 차단하여 다른 식물이나 잡초의 발생을 억제시켜 생물 다양성을 단순화시키고 있다(양 등 2004). 특히 개화기에는 화분증의 유발로 알러지를 일으키는 문제 잡초이다(손 2002). 환경 및 인체에 유해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환경부는 생태계 위해 외래 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환경부 고시 제 1999-1호, 국립환경연구원 2002). 강 등(1998)에 의하면 단풍잎돼지풀에 의한 토양 중금속 제거효과는 Cu나 Zn에 대하여 효과적이었으나 Cd, Cr, Ni, 및 Pb의 제거 효과는 낮았다고 보고한다. 단풍잎돼지풀의 사료가치 연구에서도 옥수수 사일리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사료가치와 가축 기호성 등을 보여주었다(농촌진흥청 2008). 백 등(1999)에 의하면 단풍잎돼지풀은 처음에는 주로 한강과 북한강 이북의 군부대 부근에 집단 발생하였으나, 최근에는 강변과 하천을 따라 광범위하게 퍼져나가고 있어, 하천과 떨어진 건조지역까지 확산하여 분포영역을 확대하며 고수부지의 습한 토양. 저지대의 폐경지, 생활폐수가 정체되어 유기물이 축적된 습지, 강변의 휴경지, 도로변의 농수로 등지에서 특히 많이 관찰되며, 나대지, 공한지 등 건조하고 척박한 곳으로도 빠르게 공간을 점유해 가고 있다고 보고한다. 1970년대 군수물자 수입, 운송 과정에서 유입되어 서울 근교의 하천부지, 임진강변, 춘천 등 중부지방에 발생 분포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전 60주년을 맞아 DMZ평화공원의 건설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는 요즘, 그 어느 때보다 DMZ에 세계의 관심이 높다. 다양한 생태계의 보고인 DMZ를 정기적으로 탐사하면서 위해 외래 식물 단풍잎돼지풀의 생육을 2년간 관찰하였고 단풍잎돼지풀이 DMZ 내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실태를 파악하였다. 단풍잎돼지풀의 군락지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주변 토종 식물의 생태계를 단순화시키고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단풍잎돼지풀의 적극적인 방제 작업이 절실한 상황이다. 현재 DMZ 밖에서는 단풍잎돼지풀의 제거를 위한 방제작업이 생육초기와 중, 후기에 걸쳐 전국 곳곳에서 산발적으로 주민과 군장병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DMZ 내에서는 드물다. 우리는 DMZ를 정기적으로 탐사하면서 단풍잎돼지풀 생육 초기의 주변 잡초들과 생육 후기의 주변 잡초들을 면밀히 관찰하였고, 각 군락지별로 서로 다른 생태계가 형성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 단풍잎돼지풀 군락지 주변에 단풍잎돼지풀이 유입하여 성장하기 좋은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단풍잎돼지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살아가는 여러 토종 잡초 식물 군락지를 발견하였고 그 잡초 식물에 대한 관찰도 시행하였다. 지금 현재 단풍잎돼지풀의 확산을 막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방제 방법으로는 화학적 약제 방제법인 제초제(엠씨피피 Mecoprop,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Glufosinate ammonium)의 연간 2회(4월, 6월)살포법와 환경부에서 제시하고 있는 물리적 방제법인 뿌리째 뽑아 건조시킨 후 폐기하는 방법 등이다. 그러나 단풍잎돼지풀은 도로변, 수로변, 하천변에 주로 발생하는 관계로 제초제에 의한 화학적인 방제가 제한적이고, 지렁이 같은 땅속 동물과 논에 사는 미꾸라지, 개구리 등에 피해를 주어 생태를 교란시킨다. 또 단풍잎돼지풀에서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증가도 발표된 바 있다(Ian A. Zelaya et al. 2004). 물리적 방제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요구된다. 곤충(돼지풀잎벌레 Ophraella communa, 반원무늬애기잎말이나방 Epiblema sugii)방사를 이용한 생물적 방제법도 연구되어 있다 (권 등 2004; 농업과학기술원 2007; 농촌진흥청 2008). 그러나 이 방법에 사용되는 곤충은 방제대상 식물을 제외한 작물이나 식물은 섭식하지 않는 기주특이성이 확보되어야만 하는 데 기주식물에 해바라기가 포함되어 주의를 요하며, 곤충을 실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량사육 기술개발과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연천군 등지에서 민가주변의 풀밭 등 척박한 토양에서도 3m까지 자라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인 돼지감자를 식재하여 단풍잎돼지풀 확산저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돼지감자 외의 다양한 토종 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는 DMZ내 단풍잎돼지풀의 군락지와 주변관찰을 통해 단풍잎돼지풀에게 우점권을 내주지 않는 잡초들의 생태를 관찰하여 토종잡초를 이용한 생물학적이고 친환경적 방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돼지감자를 이용한 대체식물 식재운동과 함께 앞으로 우리의 연구 결과를 보완, 발전시켜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여러 대체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를 기대한다. 나아가 DMZ내에 단풍잎돼지풀의 확산을 막아 생물다양성이 단순화되지 않는 다양한 생태계의 보고로 DMZ가 존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단풍잎돼지풀 방제 가능성 번역(영어 번역본)

With its botanical name being Ambrosia trifida L., the giant ragweed is a plant in the chrysanthemum family. It originated from North America and spread across around the world including Europe and Japan. It is an annual herbaceous plant that reproduces with seeds (Park 1995). The giant ragweed is around 3-4m tall, its leaves are 20-30cm wide and divided into 3-5 pieces like the shape of a maple leaf, and has many branches and rough fur. Its flowers blossom in July and August and produce seeds. The giant rag weed has a great influence on crops and other plants. The plant is tall and has high photosynthetic capability, making it restrict the growth of other plants or weed by blocking light and simplifying biological diversity(Yang et al. 2004). Especially during flowering season, it is a problematic weed that causes allergy with its pollen (Son 2002). Because it is highly likely to harm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designated it as an ecosystem hazardous foreign plant(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cation 1999-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2). According to Kang et al.(1998), the removal effect of heavy metal in the soil by giant ragweed was effective for Cu or Zn, but it has low removal effect for Cd, Cr, Ni, and Pb. In studies of the giant ragweed’s usage as animal feed, it was shown that the plant’s value as an animal feed and livestock palatability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corn silage(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According to Baek et al.(1999), mass outbreak of giant ragweed occurred initially around military bases located north of the Han river and Bukhan river, but recently, they are spreading widely along river banks and streams, They are spreading by expanding into dry regions that are distant from streams, especially being observed most frequently in moist soil of the terrace land of the river. deserted area in the lowlands, swamps where organic matter is accumulated because of congested domestic waste water, fallow ground of the river banks, and agricultural waterways on the roadside, and is reported to be rapidly spreading into even dry and barren areas. After entering the country when military supplies were imported and transported and spreading into the river lands near Seoul, Imjingang riverside, and the central region of the country such as Chuncheon in the 1970s, it has recently been confirmed that they are occurring across the country. At a time when plans for building the DMZ Peace Park are becoming more specific to commemorate the 60th anniversary of the armistice, the world’s interest in the DMZ has never been higher. By regularly exploring the DMZ, a diverse ecological treasure house, and observing the growth of giant ragweed, a hazardous foreign plant, for two years, we found that giant ragweed is spreading rapidly even within the DMZ. As giant ragweed colonies rapidly increased, actively controlling them has become desperately required since such spread simplifies the ecosystem of surrounding native plants. Currently, local residents and military personnel around the country are sporadically removing giant ragweed during their initial, middle, and latter growth stages outside the DMZ, but such effort is rarely made inside the DMZ. By regularly exploring the DMZ, we observed nearby weeds during both the initial and latter growth stages of giant ragweed, and discovered that the ecosystems that were formed in each colony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e also found colonies of various native weed plants that live around the giant ragweed colonies without being influenced by giant ragweed, despite the conditions being ideal for them to come in and grow. The control methods that are currently being used to prevent the spread of giant ragweed are the chemical drug control method, which sprays herbicides(MCPP Mecoprop, Glufosinate ammonium) twice a year(April, June) and the physical control method th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proposes, which is to completely pull out the plants, dry and dispose them. However, because giant ragweed mainly occur on the roadsides, the waterways, andthe river banks, chemical control using herbicides is restricted, and can disturb the ecosystem by damaging underground animals like worms and mudfish, frogs that live in rice paddies. It was also found that giant ragweed increased their resistiveness against herbicides(Ian A. Zelaya et al. 2004). Physical control requir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A biological control method by grazing insects(Ophraella communa, Epiblema sugii) was also studied. (Kwon et al 2004;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However, it must be guaranteed that the insects used in this method must not digest crops or plants other than the one subjected for control, but caution is needed because sunflowers are included in the list of host plants, and mass breeding technology development and more research are needed to practically use insects. Recently, Jerusalem artichokes, a perennial plant in the chrysanthemum family that grow up to 3m even in barren soil such as grass fields near houses, were planted in the area of Yeoncheon-gun, and is expected to prevent the spread of giant ragweed. However, research on biological control using various native plants other than Jerusalem artichokes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We observed the ecology of weed plants that do not become dominated by giant ragweed by observing the giant ragweed colonies in the DMZ and their surroundings and aim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a biological and environment-friendly control using native weeds. Along with alternative planting using Jerusalem artichokes, we look forward to a biological control method that uses various alternative plants that can be applied different environments by supplementing, developing our research. Moreover, we hope that the DM can exist as an ecological treasure house where the biological diversity does not become simplified by preventing the spread of giant ragweed inside the DMZ.

.

이상 민족사관고등학교에서 의뢰한 단풍잎돼지풀 방제 가능성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