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어민 영어교사 만족도 번역

 

원어민 영어교사 만족도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원어민 영어교사 만족도 번역

원어민 영어교사 만족도 번역(한국어 원본)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교사와 학생들 간의 원활하지 못한 의사소통 장애가 원어민 영어교사 활용의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보고 이에 원어민 영어교사 또한 한국어 실력 및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전제로 원어민 영어교사의 한국어 실력 및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교수효율성과 흥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방법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4개구(강남, 강동, 강북, 강서)에 소재한 인문계 및 특수 고등학교 네 곳과 중학교 두 곳에 재직하고 있는 원어민 영어교사 6명, 원어민 영어교사와 각각 같은 학교에서 함께 근무하는 원어민 전담 한국인 협력교사 51명, 위 원어민 영어교사의 수업을 듣는 중 · 고등학생 중 영어 성적이 중급 정도인 학생들 38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한국어 실력과 한국어와 한국문화 연수 경험, 학생지도방법을 배운 경험, 학생에 대한 이해도를 원어민 영어교사 활용에 대한 인식, 원어민 영어교사 운영실태(개인별), 원어민 영어교사 운영실태(수업활동), 원어민 영어교사 활용효과, 학생들의 흥미 만족도로 나누어 검사하였으며 원어민 영어교사 활용에 대한 인식은 7개 항목, 원어민 영어교사 운영실태(개인별)는 5개 항목, 원어민 영어교사 운영실태(수업활동)는 12개 항목, 원어민 영어교사 활용효과는 11개 항목, 학생들의 흥미 만족도는 2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프로그램(Version 21.0)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원어민 교사의 교수 효율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원어민 영어교사의 한국 이해도에 따른 교수 효율성 및 한국 이해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사후 다중 비교 검정(Scheffe 검정)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어느 그룹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 외에 설문조사 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인터뷰는 14일간 1회 당 30분에 걸쳐 진행되었다. 인터뷰 대상은 한국 체류와 교직 경력이 1년 이상 3년 미만인 원어민 영어교사 교사, 같은 학교에서 함께 근무하는 경력 3년 이상의 한국인 영어교사, 그리고 영어 성적이 중급 정도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모든 설문 참여자가 인터뷰에 응하기 어려운 상황인 점을 감안하여 각 대표가 전체의 의견을 모아 수렴하여 그 내용을 토대로 인터뷰에 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영어교사의 한국어 실력은 교수효율성 및 흥미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인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원어민 영어교사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익숙할수록 오히려 매너리즘에 빠져 수업에 소홀해진 것 같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 이해도가 교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였으나 의도하지 않게 이전 연구들과는 다른 결과에 대한 요인으로 원어민 영어교사의 매너리즘이나 연수의 문제점 등이 인터뷰에서 밝혀졌고 이에 다수의 선행연구를 살펴봤을 때, 원어민 영어교사가 겪는 현지 적응의 어려움이나 직무 수행 과정에서의 좌절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그들에게 긍정적이지 못한 영향을 끼치고 이러한 이유들로 교수 효율성이 떨어진 것일 수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의 주제와는 다른 방향이나 원어민 영어교사 제도의 효율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문제인 만큼 추후 연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어 연수 경험 및 연수 시간에 따른 원어민 영어교사의 교수효율성과 학생들의 흥미만족도를 설문조사한 결과, 한국어 연수 경험을 보유한 원어민 영어교사보다 연수 경험이 없는 원어민 영어교사의 교수효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수시간에 따른 교수효율성 또한 연수 시간이 긴 원어민 영어교사보다 연수 시간이 짧은 원어민 영어교사의 교수효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인터뷰에서 원어민 영어교사는 한국어 및 한국 문화에 대한 교육을 받았지만 수업 중에 자주 활용하지는 않는다고 답변했고 원어민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수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음을 제기한 문헌 자료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다수의 선행연구들이 연수 프로그램의 문제점 및 이에 대한 원어민 영어교사의 낮은 만족도에 대해 다루고 있어 현행 연수 프로그램을 원어민 교사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내용들로 재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현재의 원어민 영어교사의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 또한 추후 연구해 볼 과제이다.

원어민 영어교사 만족도 번역(영어 번역본)

In this study, it was hypothesized that poor communication between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and students reduces their instructional efficiency. The hypothesis was validat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by examining the effect of the Korean language skills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by th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on the instructional efficiency, interest, and satisfaction of the students.
Toward this goal,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6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51 Korean cooperating teachers who support those native speaker teachers in the same schools, and 382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take classes from those native speaker teachers and have average English class grades in regular and special high schools located at four districts (Gangnam, Gangdong, Gangbuk, and Gangseo) in Seoul.
First, the Korean language skill, Korean culture training, teaching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by th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were assessed. In the survey, these were implemented as questions about opinion on employing native speaking teachers (7 questions), management of native speaking teachers at individual schools (5 questions), instructional activity of the native speaking teachers (12 questions), effectiveness of instruction by native speaking teachers (11 questions), and student interest and satisfaction (24 question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for Windows) program (Version 21.0).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test differences in
instructional efficiency between groups with varying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post hoc multiple comparison (Scheffe 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group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4 days in 30-minute sessions to supplement the survey results. Interview subjects wer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who have lived and taught in Korea for more than a year and less that three years, cooperating Korean teachers who have worked with the native speaking teachers in the same schools and taught for three or more years, and students with average English class grades. Since it was difficult to interview all survey participants, representatives from each group within the same school provided collective opinion of the group in the interviews.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n language skills of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instructional efficiency or interest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students,
which differed from previous reports.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cooperating teachers revealed that the more familiar a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 is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more likely he or she is to fall into mannerism and care less about his or her classes. Although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how the native English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and culture influence their instructional efficiency, the mannerism of the teachers and problems in training were identified as competing factors that may have yielded different result from the previous studies.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the difficulty faced by the foreign teachers in adapting to a new environment and frustration in their work acted together to reduce their instructional efficiency. A future study will help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the utilization of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Second, survey of Korean language training of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showed that the instructional efficiency of teachers who lacked the training was higher than for those who were trained. Moreover, teachers with less training were more efficient that those with longer training. In the interviews,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responded that the knowledge from the training programs was generally inapplicable to their teaching. Multiple studies also report the problems with the training programs and low satisfaction levels of the native speaking teac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urren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reorganized to provide more useful training to the teachers. Also, the problems of the current training program would be a useful topic to be explored in a future study.

.

이상 세종대학교에서 의뢰한 원어민 영어교사 만족도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