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후기 연개소문의 정변 번역

 

고구려후기 연개소문의 정변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고구려후기 연개소문의 정변 번역

고구려후기 연개소문의 정변 번역(한국어 원본)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구려의 멸망의 주요 內因으로 지적되어 온 고구려 귀족세력의 분화와 대립을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살펴보는 데 있다. 기존에 연구된 바로는 고구려 귀족세력의 분화와 대립이 부각되는 시점인 영류왕의 즉위와 연개소문의 집권에 이르는 과정이 지나치게 단순하게 설명되거나 주요 분기점의 설정이 잘못되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영류왕의 즉위, 630년대 경관파괴, 신라 칠중성 공략 실패라는 분기점 설정을 재고하고 영류왕의 즉위, 연태조의 죽음, 東夷校尉 復設이라는 새로운 분기점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정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주요 설명 틀인 영류왕과 연개소문의 지역적 기반 역시 재고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건무는 嬰陽王의 이복동생으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이는 故國川王 이후 장자상속제가 확립되어 장자가 상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반드시 후사가 없음을 밝히고 있는 󰡔三國史記󰡕의 경향에 따르면 이례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무가 왕위를 계승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다른 배경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러한 배경으로는 먼저 건무가 가지고 있었던 무력적 기반을 들 수 있다. 건무는 대수전쟁 당시 평양성에 침입한 내호아의 수군을 5백 여 명의 결사대를 이끌고 격파하였다. 이러한 결사대의 존재는 건무의 무력적 기반을 상징하며 후일 그가 영류왕으로 즉위하는데 주요한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또한 이 과정에서 얻어진 對隋戰爭戰功者라는 명예는 그가 고구려의 臣民들의 지지를 받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영류왕은 즉위한 후 졸본의 시조묘에 행차하여 연개소문 집안의 동향을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개소문 집안의 우두머리인 연태조가 사망한 것을 알고 대수전쟁 포로들을 당에 송환하였다. 이러한 대수전쟁 포로송환은 많은 전쟁 포로들을 보유하고 있던 연개소문 집안에게는 치명적인 일이었다. 그 결과 영류왕과 연개소문 집안은 서로 다른 정치적 태도를 보였고 당에 대한 대외관계에 있어서도 생각이 달라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연태조의 죽음은 주요한 분기점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영류왕의 親唐정책에도 불구하고 이후 고구려와 당의 관계는 커다란 변화를 맞게 된다. 고구려와의 관계에 있어서 현상유지 정책을 추구하던 당 고조가 죽고 중국 중심의 일원적인 질서를 추구하는 당 태종이 즉위했기 때문이었다. 당 태종이 즉위한 지 얼마 되지 않아 동이교위를 복설하였는데 이는 해당 지역에 대한 고구려의 지배력을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을 천명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동이교위 복설 역시도 주요한 분기점으로 설정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당 태종이 동이교위를 복설한 후 고구려와 당의 관계는 급속히 냉각되게 된다. 이를 두고 급진적인 親唐정책을 추구하던 영류왕을 비롯한 대외온건파들과 대외강경책을 추구하는 연개소문을 위시한 대외강경파들이 충돌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결국 그들의 대립은 정변이라는 극단적인 결말로 끝을 맺게 된다. 다만 이러한 배경과 전개에 대해서는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배경으로는 양 세력의 새로운 정책방향과 지역적 기반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영류왕을 비롯한 대외온건파는 조공을 통한 실리외교추구세력으로, 연개소문을 위시한 대외강경파는 5세기 대의 고구려의 영광을 되찾으려는 세력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대외온건파와 대외강경파의 대표적 인물인 영류왕과 연개소문의 지역적 기반 역시도 기존과 다르게 평양성과 국내성으로 다르게 설정하였다.
전개과정으로는 기존에 제시된 연개소문과 대양왕계열의 연합가능성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영류왕과 당과의 밀약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당시 왕위계승권자인 태자 환권이 당에 갔다는 것은 고구려의 대외온건파 세력과 당과의 교감이 이루어졌음을 상정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고구려가 전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하고 천리장성 축조속도가 눈에 띄게 부진한 것은 영류왕 세력이 연개소문을 제거하려는 정치적 의도를 더욱 부각되게 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영류왕과 연개소문 세력은 단순히 대외정책을 두고 대립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한 기저에는 고구려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근원적인 대립과 양측 간의 권력투쟁에 대한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얽혀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고구려의 정치세력간의 대립은 연개소문의 정변과 영류왕의 시해라는 극단적인 결말을 낳았으며, 이는 결국 연개소문의 독재정권 구축으로 이어져 고구려 멸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고구려후기 연개소문의 정변 번역(영어 번역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vision and confrontation among the aristocrats of Koguryo, which has been pointed out as one of major causes of the fall of Koguryo,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Previous studies tend to describe the King Yongnyu’s enthronement and the processes leading to Yon Kaesomun’s ruling in rather simply. It is also the author’s opinion that the historical milestones have been set in wrong manner. Thus this paper will reconsider the enthronement of King Yongnyu, the Lanscape Destruction of 630’s, and the failure of Shilla Chiljungseong Attack, which have been set as the milestones in previous studies, and suggest a set of new milestones which are the enthronement of King Yongnyu, the death of Yeon Taejo, and the establishment of Dongi Gyowi (Eastern Bavarian Duke). Additionally, the regional basis of King Yongnyu and Yon Kaesomun shall be reconsidered also as the framework of explanation for such series of events.
Keonmu was a step brother of King Yongyang and succeeded to the throne. This case was highly unusual according to the trends shown in 󰡔Samguksagi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which specifically said that there would be no heir unless the eldest son succeeded to the throne since primogeniture had been firmly established after the King Gogukcheon. Therefore, there must have been other reason for Keonmu to succeed to the throne. One reason could be Keonmu’s access to military force. During the Koguryo-Sui War, Keonmu defeated General Lai Huni of Sui Dynasty and his navy, who invaded Peyongyangseong, only with his royal army of 500 soldiers. The existence of this royal army represented military support for Keonmu and must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his enthronement as King Yongnyu. Additionally, “the Koguryo Sui War Expert”, an honorary nickname of Keomu acclaimed during the entire progress gave him a strong foundation for the people’s support.
King Yongnyu, upon his enthronement, visited the progenitor’s tomb in Jolbon to survey the moods of Yon Kaesomun’s family. During the survey, he learned that Yeon Taejo, the head of Yon Kaesomun’s family, had passed away, and repatriated the prisoners of Koguryo Sui War to the Tang Dynasty. Thi repatriation of the prisoners of war was detrimental to the Yon Kaesomun’s family, who had possessed a large number of prisoners of war. As a result, King Yongnyu and the Yon Kaesoumun’s family displayed a different political attitude and their position on foreign policies with the Tang Dynasty also grew differently. Therefore, the death of Yeon Taejo ought to be set as an important milestone
Notwithstanding King Yongnyu’s Pro-Tang Policy, however, the relationship of Koguryo and the Tang Dynasty eventually faces a huge turmoil. The turmoil was caused by the enthronement of Emperor Taizong, who pursued an unitary order with China in the central position, after the death of Emperor Gaozu of Tang, who pursued a hold-the-line policy with the relationship with Koguryo. Emperor Taizong of Tang reinstated Dongi Gyowi (Eastern Bavarian Duke) almost immediately after his enthronement, which was his way of publically denouncing the Koguryo’s autonomy in the region. Therefore, the reinstatement of Dongi Gyowi (Eastern Bavarian Duke) should also be set as an important milestone.
The Koguryo-Tang Dynasty diplomatic relationship cooled rapidly after the reinstatement of Dongi Gyowi (Eastern Bavarian Duke) by Emperor Taizong. It was obvious that the clash between the moderate faction, who supported King Yongnyu’s radical Pro-Tang Policy, and the hard-line faction, who supported Yon Kaesomun, was unavoidable. The clash between two factions eventually resulted an extreme ending of a political upheaval. The progress and backgrounds of this political upheaval, however, needs to be examined further. As for the backgrounds, the directions of policies presented by the two factions and their
Regional basis needs to be inquired into. Here, the moderate faction, including King yongnyu, is set as a group of people who sought utilitarian diplomacy through paying tributes, and the hard-line faction is set as a group of people who sought to regain the honor and power of Koguryo in the 5th century. In addition, the regional basis of King Yongnyu and Yon Kaesomun, distinctive leaders of the two factions, have been set as Pyeongyangseong and Gungnaesoeong, different than the previous studies.
As for the progresses, instead of the possibility of alliance between Yon Kaesomun and King Taeyang, which had been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of this paper go a step further and suggest that there could have been a secret treaty between the two. The fact that the Crown Prince Hwankwon made a visit to the Tang Dynasty shows that there had been some sort of understanding made between the Tang Dynasty and the Koguryo’s moderate faction. Especially, the delayed construction of Cheollijangseong despite a hard efforts made by Koguryo can be understood as a factor which makes the political intent of King Yongnyu’s de facto power to eliminate Yon Kaesomun more obvious.
In the end, the supporters of King Yougnyu and Yon Kaesomun were in antagonistic relationship not only on foreign policies. Rather, their conflicts were results of an underlying confrontation on the direction of Koguryo’s future as well as interests and stakes in the power struggle between the two groups. The confrontation of the two groups of political factions resulted in an extreme result of Yon Kawomun’s Coup and the assassination of King Yongnyu, and ultimately led to a dictatorship of Yon Kaesomun, which in turn became an important cause of the collapse of Koguryo.

.

이상 한국고대사탐구학회에서 의뢰한 고구려후기 연개소문의 정변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