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정신보건 네트워크 분석 번역

 

지역사회 정신보건 네트워크 분석 번역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한영번역)

 

지역사회 정신보건 네트워크 분석 번역

지역사회 정신보건 네트워크 분석 번역(한국어 원본)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네트워크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유형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확인하고, 그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관간 네트워크 연결정도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별 정신보건서비스 네트워크를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네트워크 수준 측정 지표를 구성하여 유형별 네트워크 수준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에서 네트워크 활성화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인 변수들이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유형별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각 영향요인들이 네트워크 유형별로 어떠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도 함께 고찰하였다.
연구는 대전, 충북, 충남 32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직접적으로 정신보건서비스를 수행하는 정신건강증진센터,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사회복귀시설,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5개 유형의 기관 163개 중 설문에 응답한 145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네트워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지난 1년간 네트워크 연결정도는 기관당 평균 2,8회였다. 구조적 네트워크 수준은 기관간 네트워크의 밀도나 중심성이 0.5미만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관계적 수준도 기관마다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하위 단계의 네트워크 활동만 이루어지며, 지속성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의 네트워크 유형은 그래프를 통해 지역사회내 네트워크의 중심기관과 허브의 수에 따라 ‘탈허브형’, ‘단허브형’, ‘다허브형’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각 네트워크 유형별 구조적, 관계적 수준 분석 결과 지역사회 특성에 따라 하위영역별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탈허브형<단허브형<다허브형 순으로 네트워크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존 연구에서 검증된 네트워크 활성화 요인들이 네트워크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일부 변수만이 의미있는 결과를 보였으며 네트워크 유형별로 도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조직요인 변수는 탈허브형에서만 기관 유형이 ‘정신건강증진센터’일수록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요인 변수는 다허브형에는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허브형은 ‘전문자격 유무’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탈허브형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요인 변수는 단허브형에서는 지역규모 변수에서 ‘중소도시’와 ‘지역복지서비스통합조직유무’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탈허브형은 지역규모 변수에서 ‘대도시’ 변수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네트워크 수준은 조직요인(기관유형)의 영향이나 환경요인(지역규모)의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전문성이나 사적 네트워크 등 개인 요인들이 업무상에서 공적기관과 기관사이 네트워크에 더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사회 정신보건 네트워크 분석 번역(영어 번역본)

This study is aimed to classify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networks by type,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etwork type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the mental health service networks were classified by community centering on the degree of the network connection between organizations. The network level by type was estimated by configuring measurement indexes for the network level. Finally, the explanatory power of each influence factor is also considered by analyzing the impact on the network level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by type caused by the variables which had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network activation in th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145 survey respondents among 5 types of 163 institutions such as mental health centers, mental hospitals, psychiatric nursing homes,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polyclinic addiction therapy support centers which were directly performed the mental health services in 32 local governments in Daejeon, Chungbuk and Chungn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 network level, the network connection level was 2.8 times per organization on average over the past year. The structural network level was as low as less than 0.5 in terms of the density and the centrality of the network between organizations and the relationship level was also low even though each institution varied as only low level network activities were made in general and the persistence was also low.
Second of all, the network types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were classified through the graph into three types such as the ‘de-hub type’, the ‘single-hub type’, the ‘multi-hub type’ according to the central institutions of the network and the number of hubs in the networ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structural level and the relationship level by network typ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munity but the network level increased in the order of the de-hub type < the single-hub type < the de-hub type in general.
Third of al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impact on the network types caused by the network activation factors proven in previous studies, only some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results and there were differences by network type. Specifically, the organization factor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de-hub type if the institution type was ‘mental health centers.’ The personal factor variables were observed to have significant impacts only on multi-hub type but, in terms of the single-hub type, they showed significant impacts only on the ‘acquisition of professional license’ and no significant impacts on the de-hub type. In terms of the environmental factor variables, the ‘small or medium city’ variable and the ‘operation of integrated local welfare service organizations’ variable showed significant impacts on the single-hub type among the ‘regional size’ variables and the ‘big city’ variable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de-hub type among the ‘regional size’ variables.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network level of the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was influenced by the organization factors (institution types) or environmental factors (regional size) but that the personal factors such as expertise and the interpersonal network influenced more on the network between public institutions professionally.

.

이상 고려보건전문대에서 의뢰한 지역사회 정신보건 네트워크 분석 번역(한영번역)의 일부를 살펴 보았습니다. 
번역은 기버 번역